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COMPOSITION COMPRISING OSMUNDACETON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18/062895
Kind Code:
A1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osmundaceton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osmundaceton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or an osmunda japonica extract as an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rheumatoid arthritis, arthralgia, Paget disease, bone metastatic cancer, or fracture;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ement; a use of a salt; and a treatment method.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 which causes bone loss, and activation of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and thus can be usefully utilized in developing medicines for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of bone diseases or functional foods for improving symptoms of bone diseases.

Inventors:
PARK GIL HONG (KR)
SON GEU RIM (KR)
HONG SEONG SU (KR)
CHOI CHUN WHAN (KR)
CHOI YUN HYEOK (KR)
KIM WOO JUNG (KR)
KIM HAN KYEOM (KR)
KANG JAE WOO (KR)
LEE EUN JUNG (KR)
PARK SERK IN (KR)
LEE KEE HO (KR)
CHOI MIN JI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822
Publication Date:
April 05, 2018
Filing Date:
September 28, 2017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KORPHARM CO LTD (KR)
UNIV KOREA RES & BUS FOUND (KR)
International Classes:
A61K31/12; A23L33/10; A23L33/105; A61K36/11
Foreign References:
CN103623383A2014-03-12
CN104083582A2014-10-08
KR20110036317A2011-04-07
Other References:
LYU, H.-N.: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 Body of Phellinus linteus Increase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of Human Osteoblast-like Cells",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 17, no. 6, December 2008 (2008-12-01), pages 1214 - 1220
ZHANG, D.: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Osmundacetone in Osmundae Rhizoma", CHINESE PHARMACEUTICAL JOURNAL, vol. 5, no. 21, 4 November 2010 (2010-11-04), pages 1612 - 1614
Attorney, Agent or Firm:
LEE, Hee Sook (KR)
Download PDF: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1>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 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2】

<3> 계 1항에 있어서, 상기 osmudacetone은 고비과 (Osmundaceae) 식물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청구항 3】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과 식물은 고비 0 ζ/? japonica) QA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청구항 4】

<7>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 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

<8>

【청구항 5】

<9> LBK Osffiund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 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6]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주정, 메탄을, 프로판을 (propanol ) , 이소프로판올 ( i sopropanol ), 부탄을 (butanol ),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핵산, 시클로핵산, 석유 에테르 (petrol eum ether ) , 디에틸에테르, 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청구항 7】

<13> 고비 ( <¾»ί /7ώ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 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14>

【청구항 8]

<15>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제 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의 용도.

<16>

【청구항 9】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osmudacetone은 고비과 (Osmundaceae) 식물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의 용도.

<18>

【청구항 10】

<19>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 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치료 방법 .

<20>

【청구항 11】

<21>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고비 ( (¾ / /a japonica) 추출물의 용도.

<22> ·

【청구항 12]

<2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을, 주정, 메탄올, 프로판올 (propanol ) , 이소프로판올 ( i sopropanol ) , 부탄을 (butanol ),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쩨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핵산, 시클로핵산, 석유에테르 (petro l eum ether ) , 디에틸에테르, 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4>

【청구항 13]

<25> 고비 ( //2ώ japonica) 추출물꾀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치료 방법.

<26>

【청구항 14】 <2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주정, 메탄올, 프로판올 (propanol), 이소프로판올 (isopropanol ) , 부탄을 (butanol ),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핵산, 시클로핵산, 석유에테르 (petroleum ether), 디에틸에테르, 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방법.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오스문드아세톤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 방또는 치료용조성물

. ' '【가술분야】 ' '

<ι> 본 출원은 2016년 9월 30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 2016-0126767 호 및 2016년 10월 28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6— 0142422호를 우선 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명세서 전체는본출원의 참고문헌이다.

<2>

<3> 본 ^명은 osmundacetoiie 또는 °ί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고비 (Osmund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개선 용 식품용조성물,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 치료방법에 대 한 것이다.

【배경기술】

<5> 뼈는 몸의 골격 구조를 형성하고 혈중 칼슘 (Ca ?+ ) 수준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뼈는 대사적으로 뼈를 흡수하는 파골세포 (osteoclast)와 생성 하는 조골세포 (osteobl ast) 간의 뼈 리모델 ¾ 순환 (bone remodel l ing cycle)의 균 형을 통해 유지된다. 뻐의 흡수와 생성 간의 균형이 파괴되어 흡수량이 생성량보다 많아지면 다양한 뼈 관련 질환이 발생하며, 과골세포의 분화 및 활성화와 관련된 대표적인 질환은 골다공증, 류마티스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 절 등을 들 수 있다. (Kim JH and Kim N, 2016; Shiozawa Y et al. , 2011; Singer FR, 2016) .

<6>

<7> 이 중에서, 골다공증은 파골세포의 활성화로 삐의 흡수의 · 생성 간의 균형이 파괴되어 흡수량이 생성량보다 많아지면 유발된다. 골다공중은 뼈 실질의 밀도를 감소시켜서 골절 빈도를 증가시킨다. 중년 및 노년 여성 등 호르몬 균형이 무너진 여성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골절이나 중증 질환으로 거동을 못하는 환자에 서도 발병한다. 최근에는 중장년층 이상의 남성에서도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았다.

대체용지 (규칙 제 26조) <8> '

<9> 골수 대식세포 /단핵세포 세포주 (macrophage/monocytes lineage) 세포가 파골 세포로 분화하는 분자적 기전에는 먼저 아래 2개의 cytokine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Teitelbaum SL and Ross FP, 2003) . ( i ) Macrophage colonyᅳ st imulat ing factor(M-CSF)가 그 수용체인 c— Fms와 결합하면 파골세포 전구세포들이 증식하고 생존한다.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Β 1 igand(RAML)이 그 수용체 인 RANK에 결합하면 파골세포의 분화와 골 흡수 기능을 활성화하고 성숙한 파골세 포가 생존하게 한다 (Lacey DL et al. , 1998; Lum L et al. , 1999; Sherr CJ, 1990; Suda T et al. , 1999; Wong BR et al. , 1999). (ii) M-CSF가 cᅳ Fms의 활성화를 유 도하면 파골세포 전구세포가 ERK 및 PI3K/Akt 경로를 통하여 증식하고 생존한다 (Mancini et al. , 1997). (iii) RANK.L(0PGL, 0DF, TRANCE)과 RAN 역시 파골세포 형성과 기능을 조절한다 (Anderson DM et al. , 1997; Dougal 1 WC et al. , 1999; Kong YY et al. , 1999). RANKL이 RANK에 결합하면 TRAFs 1, 2, 3, 5, 6 등의 TNF receptor-associated f actor(TRAF)들이 RANK와 결합한다 (Darnay BG et al. , 1998; Walsh MC and Choi Y, 2003). 이중 TRAF6가 파골세포 형성과 기능에 가장 중요하다 (Loniaga MA et al . , 1999; Naito A et al. , 1999). TRAF6는 RANKL/RANK 신호를 NF一 κΒ, c-Jun Ν·— terminal kinase(JNK) , extracellular s igna卜 regulated kinase(ERK), p38, Akt ,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 Is l(NFATcl)에 전달하 여 파골세포 증식 , 융합, 분화가 이루어진다 (Kobayashi N et al . , 2001; Loniaga MA et al. , 1999; Naito A et al. , 1999; Takayanagi H et al. , 2002; Wong BR et al. , 1998; Wong BR et al. , 1999)

<\ϋ>

<ll 기존의 골다공증의 치료제 개발 방향은 파골세포의 삐 흡수를 억제하여 뼈 실질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을 발굴하는 것이었다. 그 대표적인 약품이 bisphosphonate 계열의 Fosainax이다. 같은 맥락에서 arachidonate 대사산물이 삐 조직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Lee Sung-eun , 1999). Leukotriene— B4(LTB4)는 arachidonate의 대사 경로인 5-1 ipoxygenase pathway의 대사산물 중 하나이다 (Ford-Hutchinson, A. W. et al. , 1980). Giant cell tumor에서 얻은 간질세포주 (interstitial cell)인 C433은 5-1 ipoxygenase 대 사산물을 증가시켜서 조골세포의 수와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Mundy, G. R. et al. , 1993). 뼈 조직 배양 과정에서 LTB4를 투여하면, 뼈 흡수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Bonewald, L. F. et al. , 1996) . In w ?와 in vivo 연구에서 LTB4는 파골세포의 생성을 증가시켜서 뼈 흡수를 유도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Bonewald, L. F. et al . , 1996) . 이에 따라, LTB4 수용체 억제제 (LTB4 receptor antagoni st)들이 골다공증 치료를 위하여 많이 개발되었지만, 파골세포의 뼈 실질 흡수를 층분히 억제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12>

<13> 뿐만 아니라, 기존 골다공증 치료제의 부작용과 고가의 약값도 환자의 치료 에 충분한 용량으로 투여하는데 큰 장애가 되고 있다. Fosamax의 주요 부작용으로 는 중증 식도염, 신 손상, 간 손상, 저칼슘혈증. 근육 경련 등이 있고, 로슈 (Roche)의 Bonviva는 전신근육통, 몸살 등의 부작용이 있다. 노바티스 (Novart is)의 Aclasta(zoledronate)와 일라이 릴리 (Eli Lilly)의 anabolic 치료제인 parathyroid hormone인 Porsteo와 Forteo(ter iparat ide)는 효과는 좋으나 가격이 너무 비싸서 사용이 매우 ' 제한적이다. 특히 Forsteo/Forteo는 약물 과민반웅 환자, 임산부, 모 유수유, 고칼슘혈증 (hypercalcemia), 신부전,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hyperparathyroidism)과 파제트 병 (Paget' disease) 등의 대사성 골 질환, 원인미 상의 알칼리포스파타제 활성 증가 (unexplained elevations of alkaline phosphatase), 방사선 치료 환자, 골수암 혹은 골 전이암 환자 등에게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적용 가능한 환자군이 크지 않다.

<14>

<15> 따라서 보다 효과가 강력하고 안전하며, 기존 치료제보다 저비용으로 생산가 능한 골 관련 질환 치료제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16>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17>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며 효과가 뛰어난 골 관련 질환 치 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물 성분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오랫동안 식품으로 이 용되어 온 고비의 추출물에 골 손실 억제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 성하였다..

<18>

<1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0>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 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 하는 것이다.

<2l>

<22>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3>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 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 하는 것이다.

<24>

<25>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6> L ^ ) S nd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류마티 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27>

<28>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9> 고^ ( Os/m!nd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류마티 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30>

<31>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

<32>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 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의 제조에 사 용되는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 이다.

<33>

<34>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5>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 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36>

<37>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8> 골다공증, 류마티스 판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 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의 제조에 사 용하기 위한 고비 ( fls/ffl/ 70¾ japonica)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39>

<40>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41> 고비 ( fls/w//M¾ japonica) 추출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하 는 것이다.

<4 2 >

【기술적 해결방법]

<43>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본 발명은

<44>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 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 한다.

<45> - <46>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7>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유효성분으로 구성되 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과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 한다.

<48>

<49>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본 발명은

<so>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유효성분으로 필수적 으로 구성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 성물을 제공한다. '

<51>

<52>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예 본 발명은

<53>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 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 한다.

<54>

<55>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본 발명은

<56>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유효성분으로 구성되 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 한다.

<57>

<58>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본 발명은

<59>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유효성분으로 필수적 으로 구성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 성물을 제공한다.

<60>

<61>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62> 고비 (Osmunda j aponi 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류마티 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63>

<64>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65> 고비 (Osmunda j apon i ca)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구성되는 골다공증, 류마티 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66>

<67>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본 발명은

<68> 고비 (Osmunda j aponi ca)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골다공 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69>

<70>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본 발명은

<71> 고비 (Osmunda j apon i 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류마티 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

<7 2 >

<73>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74> . 고비 (Osmunda j aponi ca)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구성되는 골다공증, 류마티 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7 >

<76>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본 발명은

<77> 고비 (Osmunda j aponi ca)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골다공 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78>

<79>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본 발명은

<80>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 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의 제조에 사 용되는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81>

<82>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83>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 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84>

<85>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86>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 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의 제조에 사 용하기 위한 고비 ( β»¾/ ί¾ japonica)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

<87>

<88>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본 발명은

<89> 고비 7Η/ ί japonica) 추출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¾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한 <91>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

<92>

<93> 본발명은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유효성분으 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 물을 제공한다.

<94>

<9 >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osmundacet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 는 조성물일 수도 있고, 유효성분으로서 osmundacetone으로 구성되는 조성물일 수 도 있으며,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osmundacetone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조성물일 수도 있다.

<96>

< 7>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을 포함하는 (comprising)' 이란 '함유하는 (including)' 또는 '특징으로 하는 (character ized by)' 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 며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추가적 인 구성 성분 또는 방법의 단계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로 구성되는 (consisting of)' 이란 별도로 기재되지 않은 추가적인 요소, 단계 또는 성분 등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essentially consisting of) ' 이란, 조성물 또는 방법의 범위에 있어서, 기재된 물질 또는 단계와 더불어 이의 기본적인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 또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99>

<100> Osmundacetone은 C 10 H 10 ¾의 분자식 (분자량 178.184Da)으로 표시되며, 상단의 화학식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고비 추출물로부터 파골세 포의 중식 및 분화 억제 활성과 조골세포의 분화 활성화 능력을 갖는 것으로 분리 동정된 성분이다. Dihydroxybenzyl ideneacetone, ( 3E ) -4- ( 3 , -d i hydr oxypheny 1 ) -3- buten-2-one 또는 IUPAC 이름으로 5, 7-cH hydr oxy-2- ( 4-hydr oxypheny 1 )-8- [(2S, 3R, 4R, 5S, 6R)-3 ,4, 5-tr ihydroxy-6-(hydroxymethyl )oxan-2-yl ]-6-[ (2S , 3R, 4S, 5S)— 3,4,5-trihydroxyoxari-2-yl]-4H-chromen-4-one으로 . 불리며, 상온에서 무색 또는 황 색에서 갈색의 유색 결정으로 존재한다.

<ioi> Osmundacetone은 다수의 미국 유해독성물질 규제기관에서 인체독성, 자극성, 발암성, 환경독성 등 모든 검사에서 무해하며 안전하다는 관정을 받았다 (참고: TSCA: Not Listed; CLEAN WATER ACT(CWA): Not Listed; SARA313: Not Listed; MARINE POLLUTANT: Not Listed; RIGHT TO KNOW LIST(NEW JERSEY): Not Listed; RIGHT TO KNOW L I ST ( MASSACHUSETTS ) : Not Listed; RIGHT TO KNOW LIST(PENNSYLVANIA): Not Listed; ILLINOIS TOXIC AIR CONTAMINANTS: Not Listed; CLEAN AIR ACT(CAA): Not Listed; DHS CHEMICALS OF INTEREST: Not Listed; CALIFORNIA PROP 65: Not Listed; OSHA: Not Listed; CALIFORNIA PROP 65 TOXICITY TYPECCANCER, DEVELOPMENTAL, FEMALE, MALE): None; OSHA HAZ CLASS (CARCINOGEN, CORROSIVE, FLAMABLE, REACTIVE, TOXIC): None 둥).

<102>

<i03>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osmundacetone은 그 자체 또는 염 , 바람직하게 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1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웅 또는 이와 유사한 반웅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며 .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 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 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 산, 옥살산, 트리폴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 신산, 4-틀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름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104>

<105> 상기 osmundacetone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일 수도 있고, 천연물에서 분리 된 것일 수도 있는데, 천연물에서 ^리된 osmundacetone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고비과 (Osmundaceae) 식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비과에 속하는 L^(OsmuncIa ' a/¾ /ca)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106>

<107> 고비과 (Osmundaceae)의 식물은 고비목 (Osniundales)에 속한 유일한 과목 식물 이다. 고비목 (Osniundales)은 약 2억 1000만 년 전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서 기원 한 오래된 양치식물군으로서, 박벽포자낭고사리류 (Leptosporangiate fern)로 분류 된다.

<108>

<109> 고비과에 속하는 고비 ((¾歸 7<ώ japonica) 학명이 Osmunda japonica Thunb.

≡—는 ' Os inda nipponica Makino이며, 라틴명으로는 Osmundae Rhizoma라고 한다. 영 문으로 Japanese royal fern 또는 Japanese flowering fern으로도 불리는 식물로, 일본, 중국, 한국, 대만 등지의 동아시아와 러시아 등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고비 의 어린잎이 오랫동안 식재료로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전통의학 및 민간요법 으로 다양한 질병에 사용되어 온 약용식물이다. 고비는 osmunda lactone, osmundacetone, osmunda 1 in, d i hydro i soomunda 1 i n . parasorboside 및 ponasterone A, ecdysone, ecdysterone 등 탈피호르몬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전통의학에서는 뿌리줄기를 자기 (紫 또는 자기관중 (紫^貫衆)이라 하여 , 독이 조금 있으나 회 층, 촌백층, 요층 등 구층, 항바이러스, 항균 등 살층 (殺蟲), 청열해독 (熱解毒), 거어지혈 0ΐ去疲止血), 풍열감모, 온열반진, 토혈, 비혈, 암치질로 인한 변혈, 적리, 대하증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중약대사전).

<110>

<πι> 본 발명자들은 일실시예에서 고비의 추출물이 뼈 조직을 파괴하고 재흡수하 는 역할을 하는 과골세포 (osteoclast)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 였다. 마우스에서 분리한 골수세포에서 파골세포의 줄기세포 전구세포인 단핵구 세 포를 분리하여 분화촉진인자인 RANKL과 M— CSF로 자극하고, 고비 추출물을 처리하여 파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고비의 열수 추출물 또는 에틸 아 세테이트 추출물이 골수세포가 다핵 파골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 였다.

<112>

<Π3> 본 발명자들은 HPLC와 NMR을 이용하여 고비 추출물에서 파골세포 분화 억제 및 조골세포 분화 활성화 효과가 있는 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고비의 열수 추출 물과 에틸 아세트 추출물 /분획물로부터 분리 동정된 단일 화합물이 osmundacetone 이다. Osmundacetone은 뛰어난 파골세포 분화 억제 활성과 조골세포 활성화 활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은 매우 낮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자들이 규명한 고비 추출물과 osmundacetone 의 상기 활성을 이용하여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와 조골세포에 의한 새로운 골 기질의 형성 및 이후의 무기질화 과정의 골 대시" 과정의 균형이 깨지면서 골밀도와 강도가 감소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골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증상의 개선 또 는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골 질환은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 절통, 파제트 병 , 골 전이암 또는 골절일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질환과 파골세포 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적용예를 참고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 '란 치료되는 개체 또는 세포의 자연적 과정을 변경시키 려는 임상적 시술을 의미하몌 임상적 병리의 예방을 위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치 료의 바람직한 효과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 억제, 증상의 완화, 질병의 임의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의 감소 , 질병 진행 속도의 감소 , 질병 상태의 개선, 호전, 완화 또는 개선된 예후 둥을 포함한다. 또한 용어 '예방'은 질병의 발 병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투여 시간, 치료 횟수, 치 료 기간, 치료가 필요한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약 물에 대한 민감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상술한 특정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유효량" 이란 개체에게 투여하였을 때, 골 질환의 개선, 치료, 예방, 검출 또는 진단 효과를 나타내기에 층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 '개체' 란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 게는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일 수 있으며, 동물에서 유래한 세포, 조직, 기관 등일 수도 있다. 상기 개체는 치료가 필요한 골 질환 환자 (pat i ent )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 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병용하여 투여할 경우 다른 치료 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단독 투여 또는 병용 투여시 본 발 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 다.

<124>

<125>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 (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 (multiple dose)으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 법 (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126>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kg 당 약 0.0 내지 10,0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n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용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 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 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 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 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127>

<128>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 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게형화될 수 있다 .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찮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 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미 j ,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견,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 이크로좀이 포함된다.

<12 >

<130> 투여 경로로는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 비경구적인 투여 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 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 다.

<131>

<132>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경구투여용 담체와 함깨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 캡슐제, 액게 , 겔제 , 시럽게 , 현탁액 ,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를, 만니 틀. 자일리톨, 에리스리틀 및 말티를 둥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를로즈. 메틸 샐롤로즈, 나트륨 카 르복시메틸셀롤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를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를로즈 류, 겔라틴, 폴리비닐피를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를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 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1 33>

<134> 또한,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 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태로 당업계애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히-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을 (예를 들어, 글 리세를,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흔합물 및 /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 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liate buf fered sal 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을,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 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 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 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 다.

<1.35>

< 136> 경피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게, 파스타제, 리 니맨트제 , 에어를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ᅳ경피투여 ' 는 약학적 조성 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약학적 조성물을 주사형 제

. 형으로 제조하여 이를 30게이지의 가는 주사 바늘로 피부를 가볍게 단자 (pr i ck)하 거나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제약 화 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 (Remington ' s Pharmaceut i cal Sci ence ,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 any , Easton, Pennsylvania)에 기술되어 있 다.

<138> 흡입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풀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 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 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디-.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 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술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오즈 또는 전분 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흔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139>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 (Remington' 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

<14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완층제 (예를 들어, 식염 수 또는 PBS), 카보하이트레이트 (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즈, 슈크로즈 또는 텍 스트란),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 (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아 쥬반트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및 /또는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143>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 화될 수 있다.

<14 5 >

<146> 또한 본 발명은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147>

<148> 본 발명자들이 규명한 osmundacetone의 상기 골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개선 의 효과는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149>

<i50> 상기 식품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functional food) , 영양보조제

(nutritional sup lement), 건강식품 (health food) 및 식품첨기-제 (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151>

<152>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 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가 있다 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흔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1 5 3>

<'54>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 (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 ( 예를 들어 과일 통조림 , 병조림 , 잼, 마아말레이드 등) , 어류 , 육류 및 그 가공식 품 (예를 들어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 (예를 들어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 (예를 들어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 식품, 각종 조미료 (예를 들어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 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1S5>

<156>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 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총 중량 중 0.01 내지 50증량%이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을 식품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157>

<158> 또한 본 발명은 고비 (fls/wm/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 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159>

<160> 본 발명자들이 규명한 고비 추출물에서 기대되는 골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는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특히 고비 추출물에 포함된 화합 물 osmundacetone이 뻐 흡수를 담당하는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하고 조골 세포 분화를 활성화하는 활성을 갖는 것으로 규명한 바 있다 .

<161>

<162> 상기 Di Osi nda japonica) 추출물은 신선한 고비로부터 제조할 수 있으 며. 냉동, 건조 등 보관을 위한 가공 과정을 거친 고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비 추출물의 형태나 성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용액, 농축물일 수도 있고, 추출물 제조에 사용된 용매를 제거한 고형분 또는 분말일 수도 있다.

<163>

<164> 상기 고비와추출물은 천연물 추출 방법으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없이 선택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osmundacetone이 포함되는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 추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절한 추출 용매를 선팩 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산 /염기추출, 열수추출, 상온교반추출, 냉침, 환류냉각추출, 초음과추출, 가압가열추출, 저은고압추출, 효소처리추출. 용매추출 등의 추출 방법 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165>

<166>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 에탄올, 주정 , 메탄을 , 프로판올 (propanol ) , 이소프 로판을 ( i sopropanol ) , 부탄올 (but anol ) ,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 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핵산, 시클로핵산, 석유에테르 (pet ro l eum ether ) , 디에틸 에테르, 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167>

<168>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비 추출물은 상기 용매 추출법에 의하여 1차로 추출 된 추출물일 수도 있고, 추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1차 추출 후 추출 잔류물을 재추출하여 1차 추출물과 흔합할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불순물을 제거하고 활성 성 분의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추가적으로 크로마토그래 피에 의한 분리, 분획, 규조여과, 한외여과 (막분리, ul traf i l terat i on) 등의 다양 한 정제 또는 여과 과정을 거친 것일 수도 있다. 최종 추출물은 침전농축, 증발농 축 , 공비농축, 감압농축 , 증류농축, 원심분리 , 역삼투법 등 공지된 농축방법과 농 축장치를 이용하여 농축할 수 있으며, 동결건조, 분무건조, 열풍건조 등의 방법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고 고형화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169>

<170> 상기 고비 추출물에서 osnmndacetone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고비로 부터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열수 추출물을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 등 유기용매로 추출물 및 분획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71>

<1 V2> 상기 고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화, 투여 경로와 투여량 등의 투여 방법 등에 대하여서 는 전술한 바와 같다.

<173>

<17 > 또한 본 발명은 고비 (Osmunda j aponi 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 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17 5 >

<I V6> 상기 식품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고비 추출물에 대하여서는ᅳ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식품용 조성물의 예시 및 함유량에 대하여서도 전술한 바와 같다.

<177>

< 1 78> 또한 본 발명은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제 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Osni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 를 제공한다.

<1 79>

<1 80>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 을 말하며,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 ( f ree ac i d)에 의하여 형 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 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 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 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틀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 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름산, 황 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181 >

<182> 본 발명의 치료용 제제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투여 시간, 치료 횟수, 치료 기간, 치료가 필요한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약물에 대한 민감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상술한 특정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유효량" 이란 개체에게 투여 하였을 때, 상기한 골 질환의 개선, 치료, 예방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 한다. 상기 '개체' 란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 함하는 동물일 수 있으며, 동물에서 유래한 세포, 조직, 기관 등일 수도 있다. 상 기 개체는 치료가 필요한 골 질환 환자 (pat i ent ) 일 수 있다.

<183>

<1 84>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 료용 제제는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병용하여 투여할 경우 다른 치료 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단독 투여 또는 병용 투여시 본 발 명의 치료용 제제의 투여량은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 다.

<18 5 > 상기 osmudacetone은 고비과 (Osmundaceae) 식물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분리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186>

<V87> 또한 본 발명은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유효 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 나 이상의 골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188>

<189> 본 명세서에서 '치료 1 란 치료되는 개체 또는 세포의 자연적 과정을 변경시키 려는 임상적 시술을 의미하며, 임상적 병리의 예방을 위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치 료의 바람직한 효과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 억제, 증상의 완화, 질병의 임의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의 감소, 질병 진행 속도의 감소, 질병 상태의 개선, 호전, 완화 또는 개선된 예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용어 '예방 '은 질병의 발 병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190>

<191> 또한 본 발명은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제 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고비 japonica)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192>

<193> 상기 고비의 추출물은 천연물 추출 방법으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없이 선택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osmundacetone이 포함되는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 추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절한 추출 용매를 선텍 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산 /염기추출, 열수추출, 상은교반추출, 냉침, 환류냉각추출, 초음파추출, 가압가열추출, 저온고압추출, 효소처리추출, 용매추출 등의 추출 방법 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194>

<195>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 에탄을, 주정, 메탄을, 프로판을 (propanol ) , 이소프 로판올 ( i sopropanol ) , 부탄올 (butanol ) ,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 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핵산, 시클로핵산, 석유에테르 (pet rol eum ether ) , 디에틸 에테르, 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196> .

<197>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비 추출물은 상가 용매 ' 추출법에 의하여 1차로 추출 된 추출물일 수로 있고, 추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1차 추출 후 추출 잔류물을 재추출하여 1차 추출물과 흔합할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불순물을 제거하고 활성 성 분의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추가적으로 크로마토그래 피에 의한 분리, 분획, 규조여과, 한외여과 (막분리. u! traf n terat ion) 등의 다양 한 정제 또는 여과 과정을 거친 것일 수도 있다. 최종 추출물은 침전농축, 증발농 축, 공비농축, 감압농축, 중류농축, 원심분리 , 역삼투법 등 공지된 농축방법과 농 축장치를 이용하여 농축할 수 있으며, 동결건조, 분무건조, 열풍건조 등의 방법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고 고형화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198> .

<199> 상기 고비 추출물에서 osi mdacet one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고비로 부터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열수 추출물을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 등 유기용매로 추출물 및 분획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0>

<2ϋΐ> 또한 고 aV )s mda japonica) 추출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202>

<203> 상기 고비 추출물의 유효량, 투여 경로와 투여량 등의 투여 방법 등에 대하 여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발명의 효과】

<204> 따라서 , 본 발명은 os匪 ndacetone 또는 그 유도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고비 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 질환 예빙- ,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독성이 매우 낮으면서도, 뼈 손실을 야기하는 파골세포에 대하여 강력한 증식 및 분화를 억제하 는 효과를 보였으며, 동시에 조골세포 분화를 활성화하는 호과를 보였다.

<20 5 >

【도면의 간단한 설명】

<206> 도 1은 고비에 포함된 파골세포 분화억제 활성 물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한 고비의 물 (열수)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EA) 추출물의 HPLC 결과를 나타낸다 (검출파 장 280nm) . EA-2는 7개 분획으로 분리된 EA 추출물 중 2번째 분획이다. Osniundacetone의 peak은 검정색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적색 타원형으로 표시한 peak들은 정제 과정에서 관찰되는 동일한 peak의 위치를 나타낸다.

<207> 도 2는 고비 추출물과 분획물, osmundacet one의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억 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TRAP assay 결과를 나타낸다.

<208> 도 3은 osmundacetone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능력인 IC 50 을 구하기 위하여, 상업적으로 구입한 osmundacetone(Al f a Aesar , Thermo Fi sher Sci ent i f i c) 1, 4 , 7 , ΙΟ μ Μ의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TRAP assay 결과를 나타낸다.

<209> 도 4A는 osmundacetone과 공지된 약물인 Fosaraax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효과 를 비교하기 위하여, 골수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osmundacetone과 Fosamax를 처리하 여 분화를 유도한 후, 이의 1(: 50 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B는 파골세포와 조 골세포 전구세포들을 공동배양하며 osmundacetone이 동시애 파골세포 분화는 억제 하고 조골세포 분화는 활성화하는 능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2io> 도 5는 osmundacet one의 조골세포의 0C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 하여, osmundacetone을 처리한 후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여 0CN의 발현을 확인한 결 과를 나타낸다.

<2U> 도 6은 osmundacetone이 RUNX2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osmundacetone을 처리한 후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여 RUNX2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213>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

<214>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 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1 >

<216> <실시예 1> 실험방법

<217> T. T7비 추출물과 분획물 제 ^ 및 학합물 분리 동정

<218> 고비 (Osmundae Rhizoma 또는 Osmunda japonica)를 열수,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의 순서로 추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EA 추출물)을 HPLC 로 7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219> 구체적으로, 고비 추출물은 강원도에서 채취한 고비 200~250g을 깨끗이 씻어 증숙용기 (OSK-2002, 홍삼박사, Well sosanaTM, 대웅제약)에 넣고 물 1.5L를 첨가하 여 24시간 증숙한 후, 물 3.5L를 추가로 첨가하여 72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냉장보 관한 것을 열수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열수 추출물에 동일한 부피의 에틸 아세테이 트 (ethyl acetate, EA)를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 , EA 층을 rotary evaporator로 건 조하여 EA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EA 추출물을 최소량의 DMS0에 녹인 후 물로 회석 하였는데, 이 때 회석 배수는 수율을 대략 70%로 예상하여 열수 추출물 원래 부피 의 70%까지 희석하였다. EA 추출물을 HPLC로 7개의 ' 분획으로 나눈 후, 두 번째 분 획을 rotary evaporator로 건조하여 EA-2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7개 분획물 중, 2 번째 분획물 (EA-2)이 파골세포 분화억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1, <실 시예 2> 참고).

<220>

<22i> 파골세포 분화억제 활성을 갖는 물질을 동정하기 위하여 EA-2 분획물에서 9 개의 단일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고, 핵자기공명 (匪 R)과 칠량분석 (MS)으로 각 화합 물의 종류와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 EA-2 분획물에서 단일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 한 HPLC의 조건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분리된 화합물 중, 파골세포 분화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osmundaceton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참고). 고 비 추출물에서 동정된 osmundacetone의 구체적인 NMR과 MS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 다:

<222> 匪 R(700 MHz, methanol-o^) δ 7.52(1Η, d, J=16.1, H— 7), 7.08(1H, d,

7=2.1 Hz, H-2), 6.99C1H, dd, J=7.7, 2.1 Hz, H-6) , 6.79(1H, d, J=7.7 Hz, H-5), 6.55 1H, d, J=16.1 Hz, H-8) , 2.34(3H, s, II- 10); "C-NMR 175 MHz, methanol-^) δ 201.7(09), 150.1(04), 147.1(03), 147.0(07), 127.9(01), 124.9(C-8), 123.7 C-6), 116.7(C-5), 115.4(C-2), 27.2(010); ESI -MS (negative mode) m/z 177

[MH]; ESIMS(positive mode) /z 179 [M+H] + , 201 [M+Na] + .

<223> 【표 1】

EA-2 fraction HPLC separation method

<224>

<225>

<226 2. 세포 tij^

<227> MC3T3-E1 서브클론 4 뮤린 조골세포 (Subclone 4 murine osteoblastic cells,

#CRL-2593TM, ATCC)는 37'C, 5% C¾ 조건으로 a -MEM(Mimmum Essential Medium

Eagle-Alpha Modification, #LM00853, WELGENE, Seoul, Korea) 배지를 이용하여 배 양하였다.

<22s> HaCaT 인간 상피 각질형성세포 (human epidermal kerat inocyte, #ATCC PCS-

200-011)는 DMEM(Dulbecco' s modified Eagle' s medium, #DME -HPA, Capricorn Scientific, Ebsdorfergrund, Germany) 배지를 이용하여 37'C, 5% C0 2 조건으로 배 양하였다. NIH3T3 마우스 배이ᅳ 섬유아세포 (embryo fibroblast, #KCLB 21658) , RAW264.7 murine macrophage(preosteoclast cell line, #KCLB 40071) , HCT116 인간 결장암 (#KCLB 10247), PC3 인간 전립선 샘암종 세포 (prostate adenocarcinoma cell, #KCLB 21435), IIT1080 인간 섬유육종세포 (fibrosarcoma cell, #KCLB 1121) 및 Β16Π0 마우스 악성 혹색종세포 (melanoma cell, CLB 80008)는 한국세포주은행

RECTIFIED SHEET (RULE 91) iSA/KR 에서 구매하였고,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C, 5% C0 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229> AGS 인간 위선암세포 (stomach adenocarcinoma, #KCLB 21739) , Α549 인간 폐 암종세포 (lung carcinoma cell, #KCLB 10185), Caki-1 인간 신장암세포 (kidney carcinoma cell , #KCLB 30046), T24 인간 방광암종세포 (bladder carcinoma cell, #KCLB 30004) , TC-1 P3 HPV-16E7-발현 마우스 폐상피세포 , MHC class I(고려대학교 김태우 교수 제공)는 RPMKRosewell Park Memorial Institute) 1640(#RP T-A, Capricorn Scientific, Ebsdor f ergrund, Germany) 배지를 이용하여 37 ° C , 5% C0 2 조 건에서 배양하였다.

<230> 인간 지방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인 ADMSCs(CEF0 Bio, Seoul , Korea)는 CB-ADMSC-GM(CEFO Bio, Seoul , Korea) 배지를 이용하여 37 ° C, C0 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 2 31>

<232> 3.파골세포의 일차배양 (primary culture)

<233> 골수세포를 5-8 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의 대퇴골 및 정강이뻐로부터 수 집하였다. 뼈에서 근육을 제거한 후 차가운 인산완층식염수 (PBS; # CAP08-050, GenDEPOT, Katy, TX, USA)에 보관하였다.

<234> 각 뼈의 양쪽 끝을 절단하고, 골수를 25G 바늘을 사용하여 차갑게 유지한 폴 러싱 배지 (serum-free α-ΜΕΜ, 2 πιΜ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thylenediaminetetraacet ic acid))로 플러시하였다 (flushed) .

<235> Labogene 1248R (Labogene, Lynge, Denmark)를 이용하여 3,000 rpii의 속도로

3 분간 원심분리하여 골수세포를 수집한 다음 세척용 배지에 재현탁하였다. 그런 후 , 수집한 8 niL의 골수세포를 6 mL의 림프구 분리 배지 (LSM; # 50494, MP Biomedicals, Santa Ana, CA, USA) 위에 겹쳐 놓았고 1,600 rpm의 속도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단핵세포를 분리하였다.

<236> 단핵세포의 밴드는 메디아 인터페이스 (media interface)에서 수집되었고, 완 전한 α— MEM 배지 (10% 소태아혈청 (FBS; Capricorn Scientific, Ebsdor f ergrund, Germany) 및 1%(ν/ν)의 항생제 (100 U/mL 페니실린 G(pemcillin G) 및 100 mg/niL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포함)로 37 ° C , 5% C0 2 의 조건에서 3일마다 배지를 갈 아주며 배양하였다.

< 23 7> 파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기 위해, 48-웰 플테이트에서 well 당 0.5 mL의 배 지에서 1 X 10 5 세포를 파골세포 분화인자인 PeproTec(Seoul, Korea)에서 구매한 -CSFC60 ng/mL)와 RANKL(150 ng/mL)의 존재 하에 배양하였다. 하나의 골수에서 유 래한 대식세포 /단핵세포는 공지된 바와 같이 ' , 6일 후에 성숙 다핵 파골세포로 완전 히 분화되었다 (Gurt et al. , 2015).

<238>

<239> 4. 파골세포 (osteoclast) 및 ^골세 (osteoblast)와 공동배양

<240> 48 웰 (well) 플레이트 웰 당 1X10 5 의 C57BL/6 쥐 골수 단핵세포 (bone marrow mononuclear cell)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였고, 1.5><1으의 MC3T3- E1 뮤린 조골세포와 10% FBS 및 1% 항생제 (100 U/mL 페니실린 G 및 100 mg/mL 스트 랩토마이신)를 포함한 500 yL Q-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 C , 5% C0 2 의 조건으로, 3 일 간격으로 배지를 교체하며 공동배양하였다.

<241> 양성 대조군 세포는 파골세포 분화인자 (osteoclast differentiation factors)인 M-CSF(60ng/mL) 및 RANKL(150ng/mL)과 조골세포 분화인자인 아스코르브 산 (ascorbic acid, 50 μ g/niL) 및 lOmM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 β glycerophosphate) 와 함께 배양하였다.

<242> 음성 대조군 세포는 분화인자로 Mᅳ CSF만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Osn ndacetone이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기 위해, 세 포를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1일째 osmundacetone을 10μΜ의 최종 농도로 양성대조 군 세포에 투여하였다.

<243> Osmundacetone을 처리한 양성대조군은 분주 후 6-7일이 지나면 파골세포가 완전히 사라졌기 때문에 분주 8일 후부터 조골세포 분화인자만 투여한 상태에서 21 일 까지 배양하였다.

<244>

<245> 5. §· 흡수 분석

<246> 인간 골 콜라겐의 in vitro 파골세포 매개 분해 (osteocl ast—medi atecl degradation)의 정량적 측정은 OsteoLyse TM Assay Kit((Lonza Walkersvi I le, Inc. Walkersville, MD, USA)를 사용하여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수행하였다

<247> 이 분석법은 파골세포의 흡수 열공 (lacuna) 내로의 금속단백분해효소 (matrix metal loproteinase) 방출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Delaisse et al. , 2003).

<248> 간략하게, 상기와 같이 준비한 2 X 10 4 마우스 골수세포를 형광물질—결합 인간 골 콜라겐 (europium-conjugated collagen)이 코팅된 96-웰 OsteoLyse TM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249> M-CSFC60 tig/ mL)와 RANKL (150 ng /mL)의 존재 하에 각 well 당 0.1 niL의 완전한 α-ΜΕΜ 안에서 37 ° C, 5% C¾의 조건으로 6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분주 3 일째에 배지를 교환하였다.

<250> 성숙한 파골세포 기능에 대한 저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6일 째에 배지를 교체하며 osmundacetone을 TRAP분석으로부터 얻은 IC 50 농도로 첨가하였다.

<25i> 성숙한 파골세포에 osmundacetone을 3일간 처리한 후, 세포 배양액의 상등액

K iL를 취하여 Fhiorophore— Releasing 시약이 담긴 두 번째 96-웰 분석 플레이트 에 넣고, 분해된 콜라겐은 시간 결정 형광물질 형광 측정기 (time-resolved fluorescence f luorimeter)인 Wal lac Victor (Perkin Elmer , Wal tham,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400 μ초의 초기 지연 후에 400y초의 시간 간격 동안 340nm에서 여기 (excitat ion) 및 615ηιιι에서 방출 (emi ssio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52> 골 재흡수율 (%)은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osinundacetone의 존재에 따른 골 재흡수 양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얻었고, 세포 DNA에 의해 정상화하였다.

<253>

<254> 6. 웨 ^턴 붙랏

<25> 분화과정에서 조골세포 분화 마커의 발현을 분석하기 위해, 3X10 5 MC3T3-E1 세포를 각 well당 아스코르브산 (50 yg/niL)과 10 mM -글리세로포스페이트가 함유 된 완전한 α-ΜΕΜ 10 mL과 함께 100mm 배양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 이에 50 μΜ의 Osmundacetone을 첨가 또는 미첨가하고 3그 C , 5% C0 2 배양기에서 21일 동안 배양하 며 매 3-4 일마다 배지를 교환하였다.

<256> 음성 대조군 세포는 분화인자 없이 배양하였고, 조골세포와 이의 배양액은 분주한 후, 7일, 14일 또는 21일에 수집하였다.

<257> 상기 세포를 RIPA 버퍼를 이용하여 용해한 후, RUNX2(Runt— 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발현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0CN 분비를 분석하기 위해 배 양액을 채취하고 세포 DNA로 정상화시켰다 .

<258> 단백질은 12.5 % 풀리비닐리덴트리스 젤 (polyvinyl idene-Tr is gels)에서

SDS-PAGE로 분석하였고,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막에 전기영동을 통해 이동시켰다.

<2?9> 상기 막은 탈지유를 이용하여 블록하였고, anti-RUNX2(DlH7) 토끼 단클론항 체 (#8486, Cell Signaling Technology, M, USA) 또는 anti-0CN(FL-95) 항체 (#sc一 30045, Santa Cruz Biotechnology, TX, USA)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Anti-액틴 항 체(#^77— 3, MEDICAL & BIOLOGICAL LABORATORIES CO. , LTD. , Nagoya, Aichi , Japan)는 내부 기준으로써 이용하였다.

<260> 블랏 상의 단백질 밴드는 강화된 화학발광 검출 키트 (enhanced chemi luminescent detection kit) (#EBP-1073, PicoEPD Western Reagent , ELPIS- BIOTECH, Dae j eon, Korea)를 이^하여 가시화하였다.

< 2 61>

<262> 7. ALP 활성 측정

<263> ALP 활성은 Quant ichrom ALP Assay Kit (Bioassay Systems, Hayward , CA,

USA)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조사하였다.

<264> 간략하게, 3X10 MC3T3-E1 세포를 각 well당 아스코르브산 (50 yg/mL) 및

10 ηιΜ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100 의 완전한 α-ΜΕΜ과 함께 96웰 플 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osmundacetone LO μΜ 및 50 μΜ)을 첨가 또는 미첨 가하였고, 배지는 3~4일 간격으로 교체하였다.

<265> 배양 14일째, 세포 분획에서 ALP 활성으로 인한 비색 변화를 분광 광도계 플 레이트 판독기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405ηιιι에서 측 정하였다 (Kim et al., 2016). ALP 활성의 % 활성화는 실험 화합물을 처리한 세포의 ALP 활성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의 ALP 활성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266>

<267> 8. TRAP assay분석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억제 활싀 측정 J_

<268> 1) ¾수세포 배양

<269> 6~8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의 정강이뼈 (tibia)와 대퇴골 (femur)을 무균적 으로 절제하고 골수세포를 syringe(21G, Korea Green Cross)로 무균적으로 채취하 였다. 골수세포를 sodium bicarbonate(2.0g/L), streptomycin(100mg/L) , peniciinn(100,000unit/mL)을 포함하는 α-ΜΕΜ 배지 (Gibco BRL Co.) 500 uL에 부 유하여 48well plate에 분주하고, triplicate으로 assay를 진행하였다. 파골세포의 전구세포인 단핵구세포를 분화촉진인자인 RANKL과 M-CSF로 처리하면 5~7일 내에 파 골세포로 분화되었다.

<270> ?) 파골세포 분학 억제 측정

<27i> 2-1) 시료 준비: 고비의 열수 추출물, EA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실시예 . 1> 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EA-2 추출물은 최소량의 DMS0에 녹인 후 EA- 2 추출 과정의 수율을 대략 70%로 예상하여 원래 열수 추출물 부피의 70%까지 물로 회석하였다. <272> 2-2) 시료 투여 : 시료는 골수세포 배양 첫날부터 l:20(v/v; 배지 500 μ L당 시료 25 yL)로 지속적으로 배지에 투여하고, 배지는 2~3일 간격으로 교체하였다.'

<273> 2-3) 파골세포 분화 측정: 파골세포는 TRAP으로 염색된 TRAP-양성 다핵세포 로 정의하였다. TRAP 염색 용액은 기질인 naphthol AS-MS phosphate (Sigma N-4875) 5mg과 발색시약인 Fast Red Violet LB salt 25mg을 약 0.5mL의 Ν,Ν- dimethylformamide에 녹인 후, 50mM tartaric acid를 포함하는 0.1N NaIIC0 3 buffer solution(50mL).과 흔합하였다. 반응시약은 사용 전까지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274> 골수세포는 분화촉진인자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7일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 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0% formal in을 포함한 PBS로 2~5분 뽕안 고정하였다. 이 후 ethanol과 acetone의 1:1 흔합용액으로 1분간 고정하고, 건조하였다. 고정된 세 포는 TRAP 염색용액으로 15 분간 처리하고 PBS로 세척한 후, 세포의 염색 정도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27 5 > 현미경 시야에서 TRAP-양성세포 중, 2개 이상의 핵을 갖는 세포를 파골세포 로 판정하고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고비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억제 효과는 대 조군 대비 50% 억제 농도를 1(: 50 로 계산하였다.

<276>

<277> 9. TRAP assay분석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하 억제 활성 Κ:5ο~£·¾

<278> 1) 파골세포 분하 측정

<279> 1-1) 入 1료 준비: Osmundacetone을 Alfa Aesar , Thermo Fisher Scientific에 서 구입하여 최소량의 DMSO(dimethylsulfoxide)에 용해하였다. Fosamax는 CaymanCAnn Arbor, MI, USA)에서 구입하여 최소량의 무균 증류수에 용해하였다.

<280> 1-2) 시료 투여: Osmundacetone과 Fosanᅵ ax는 골수세포 배양 첫날부터 l:20(v/v; 배지 500nL당 시료 25μϋ으로 최종농도 각각 1, 4, 7, 10 μ Μ이 되도록 지속적으로 배지에 투여하고, 배지는 2~3일 간격으로 교체하였다.

<281> 1-3) 파골세포 분화 측정: <실시예 ᅵ>의 8.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282> 현미경 시야에서 TRAP-양성세포 중, 2개 이상의 핵을 갖는 세포를 파골세포 로 판정하고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Osmundacetone의 파골세포 분화억제 효과는 대조군 대비 50% 억제 농도를 1(: 50 로 계산하였다.

<283>

<284> 10. 세포독성 확인

<285> <실시예 1>의 1.에서 제조한 고비에서 분리된 화합물은 MTT assay를 이용하 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286> MTT assay 방법은 다음과 같다.

<287> 세포들을 1 X 10 3 eel ls/well의 농도로 10% FBSCfetal bovine serum)가 첨가 된 DMEM를 포함하는 96 well plate에서 5% C0 2 , 37 ° C에서 배양한 후, osiiiundacetone 을 세포배지에 첨가하고 ¾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MTT(0.5mg/ml PBS) 100 μ L를 투 여한 후, 2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각 well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lOOyL의 DMS0를 가하였다. 10분간 배양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mi crop late reader; SPCTRA MAX 340PC,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 도는 생존한 세포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하단의 식으로 계산되며, 3회의 실험 으로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288> 세포 증식율 (%)=0D550(sample)/0D550(control)

<289>

<290> <실시예 2>실험결과

<291> 1.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억제 활성 확인

<29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비의 추출물, 분획물과 분리된 화합물은 파골 세포 특이적인 염색법인 TRAP assay( tart rate-resist ant acid phosphatase)를 이용 하여 파골세포에 대한 증식 및 분화억제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293>

<294>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DMS0를 처리한 골수세포는 양성대조군 (배양 배 지에 고비 추출물 없이 분화촉진인자만 첨가한 군)과 같이 정상적으로 거대한 파골 세포를 형성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같은 부피의 고비의 물 추출물, EA 추출물 EA-2 분획물 및 os醒 ndacetone(lOuM)으로 처리한 군에서는 음성대조군 (배양 배지 에 고비 추출물과 분화촉진인자 모두 첨가하지 않은 군)과 유사하게 다핵세포인 거 대한 파골세포 형성이 현저히 억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음성대조군의 결과에 부가 적으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증식도 현저히 억제되어 파골세포의 분화뿐만 아니라 증식 억제효과도 매우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osmundacetone을 처리한 경우에 는 10 μΜ농도에서 골수의 단핵구 세포가 증식하고 융합하여 다핵 세포인 파골세포 로 분화하는 과정이 95% 이상 거의 완전히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Osmundacetone ΙμΜ을 처리한 군에서는 거대한 파골세포가 형성되었으나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그 수가 적었다. Fosamax ΙμΜ을 처리한 군 역시 거대한 파골세포가 형성되었으니- 양 성대조군에 비하여 수가 적었으며 osmundacetone ΙμΜ 처치군과 파골세포 밀도가 유사하였다. 더불어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 억제 활성 IC 도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확인할 있듯이, osmundacetone(Alfa Aesar, Thermo Fisher Scientific)을 ΙΟμΜ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는 골수의 단핵구 세포가 증식하고 융합하여 다핵 세포 인 파골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이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으며 7μΜ농도로 처리한 경우 에는 약 3-40%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IC 50 =~8yM). 공지된 골다공증 치료제로서 positive control로 사용된 FosamaxC alendronate)^ IC 는 ~4μΜ이었다 (도 4Α) .

Osmundacetone이 완전히 분화된 성숙한 파골세포의 골 흡수 기능을 억제하는 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IC 50 농도인 8μΜ의 osmundacetone 촌재 하에서 성숙한 파 골세포를 이용한 골 흡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Osmundacetone은 <실시예 1> 5. 방법에 근거하여 뗴농도에서 성숙한 파골 세포의 골 흡수 기능을 처리되지 않은 파골세포의 58.7±13 %까지 억제하였다.

2. Osmundacetone의 조골세포의 활성화 및 파골세포 분화 억제효과 확인

Osmundacetone이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조골세포 분화를 활성 화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C57B176 마우스로부터 수집한 단핵세 포 (bone marrow mononuclear cell)와 조골세포 전구세포인 MC3T3-E1을 48웰 (well) 풀레이트 웰 당 1X10°의 골수세포와 3X10 3 MC3T3-E1 세포 농도로 공동배양하였디-. 공동배양한 골수세포와 조골세포 전구세포 중 골수세포의 단핵세포 /대식세포 계통 세포는 M-CSF와 RANKL 존재 하에 6-7 일 . 이내에 성숙한 다핵 파골세포로 분화되었 다.

Osmundacetone 10 μ M을 투여한 경우에는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도 4Β, 0s). 반면 조골세포는 증식과 분화를 지속하였다. Osmundacetone 10μΜ을 투여한 경우 공동배양 7, 14, 21일째 ALP 활성의 ¾활성화는 투여 안 한 경우와 비교하여 각각 104%, 111%, 95%로서 osmundacetone 10 μΜ 투여 후 단독배양한 조골세포의 ALP 활성화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Osmundaceton은 조골세포의 존재 및 부재 하에 파골세포의 분화에 대해 유사 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Osmundacetone 10 μ M을 투여한 후 6일째에 성숙한 파 골세포는 완전히 사라진 반면, 조골세포는 지속적으로 증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과골세포 (preosteoclasts)와 전조골세포 (preosteoblast)의 공동배양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osmundacetone은 공존하는 조골세포의 활성 및 증식에는 억제활 성을 보이지 않았다. <303>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 osmundacetone은 동시에 파골세포 분화는 억제하고 조골세포 분화는 활성화하는 능력을 가진 것을 확인했다.

<304> 대조적으로, Osmundacetone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파골세포 및 전조골세 포 공동배양 7 일 후, 파골세포 및 조골세포 분화인자의 존재 하에서 파골세포와 조골세포가 모두 증식 및 분화를 계속하였다. (도 4B , 양성대조군) .

<305> 그러나 분화된 파골세포의 크기는 조골세포 부재 하에 성장한 것들과 비교하 여 다소 작았는데, 이는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의 공존 때문에 중가된 세포 밀도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306> 음성 대조군 배양에서 증식한 세포는 M-CSF만을 분화인자로 이용하였기 때문 에 대식세포 /단핵세포 계통 세포로 구성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도 4B, 음성대조 군) .

<307> 종합적으로, 이를 통해 osmundacetone은 독립적으로 동시에 파골세포 분화는 억제하고 조골세포 분화는 활성화하는 능력이 있음올 보여 주었다.

<308>

<309> 3. Osmundacetone의 조골세포에 의한 ALP와 0CN 생성 증가 효과 확인

<3 io> Osmundacetone의 골 생성 유도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조골세포 분화의 조기

/중간 단계 마커인 ALP(alkal ine phosphatase)의 활성을 증가시키는지 여부를 확인 했다.

<311> 【표 2】

<3 i2> MC3T3ᅳ E1에서 os匪 ndacetone의 ALP 활성화의 활성 ¾

% Activation of

ALP activity

Compounds

10 u 50 u M

Osmundacetone 115 ± 9.4 279 ± 61 *

Parathyroid hormone-related pept i de 138 + 19

(1 u M)

<313>

<314> 상기 값은 3번의 독립적인 실험의 mean土 s . d .이다. 상기 *는 PO .05를 나타 낸다. 부갑상선 호르몬 관련 펩타이드 (Parathyroid hormone-rel ated pept ide)를 양 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31 5 >

<3i6>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mundacetone을 처리한 조골세포 유사

MC3T3-E1 세포에서의 ALP 생산은 미처리된 대조군 세포의 ALP 생산에 비해 유의하 게 중가되었다.

<3i7> Osmundacetone은 기존 공지된 문헌 (Lyu et al. , 2008)의 결과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50 μΜ의 농도에서 ALP 생산을 279 土 61 %자극하였다 (Ρ <0.05). .

<318> 더불어 osmundacetone은 공존하는 파골세포의 분화 억제에 관계없이 MC3T3-

E1 세포에 의한 ALP 생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조골세포와 파골세포 전구 체는 10 μΜ osmundacetone 및 파골세포 및 조골세포에 대한 분화인자와 공동 배양 하였을 때, 6일 째에서 성숙한 파골세포가 완전히 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도 4B, 0s).

<3i9> 그 후 osmundacetone으로 처리한 세포는 조골세포 분화인자의 존재 하에서 계속 성장하였다.

<J20>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공동배양 후 7일, 14일 및 21일째에, osmundacetone이 처리된 세포의 ALP 활성의 ¾ 활성화는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세포 에 비해 각각 104 %, 111 % 및 95 %이었고, 이는 공존하는 파골세포가 없을 때 얻 은 % 활성화 값과 거의 유사하였다 (표 1).

<32i> 따라서 osmundacetone은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하고, 이와 동시에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능력을 유지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322> 주요 비-콜라겐 매트릭스 단백질 (noncollagenous matrix protein)인 0CN은 광물화 (mineralization) 시점 또는 그에 근접한 시점에서만, 즉 MC3T3-E1 세포의 분화 유도 후 21일 경에 발현이 가장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Young et al., 1992).

<323> 조골세포에 의한 0CN 생산에 대한 osmundacetone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MC3T3-E1 세포를 50 μΜ osmundacetone 존재 하에 배양하였다 .

<324> 웨스턴 분석에 따르면, osmundacetone 투여 후 14일과 21일에 조골세포에 의 한 0CN 생성이 처리되지 않은 양성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여 각각 2.9와 1.2 배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5A. 0s).

<325> 이를 통해 osmundacetone은 조골세포에 의한 0CN 생산의 현저한 중가를 조기 에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26 전조골세포와 전파골세포의 공동배양에서도, osmundacetone은 0CN의 생산을 초기에 증가시키면서,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능력은 유지했다 (도 5B, 0s). <327> Osmundacetone을 투여하지 않은 공동배양 환경에서. 조골세포와 파골세포 분 화인자의 존재 하에 성장한 양성 대조군 조골세포는, 7일부터 분주한 후 21일까지 osmundacetone이 처리된 공동배양 환경의 조골세포와 유사한 수준까지 0CN 생산을 초기에 유도하여 증가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도 5B . P . O . 이는 파골세포와의 상 호작용에 의하여 0CN 생산의 증가가 초기에 유도된 것으로 사료된다.

<328>

<329> 흥미롭게도, 조골세포 분화인자 없이 성장한 음성 대조군 전조골세포는 파골 세포 없이 성장한 조골세포의 경우와 비교하여, 14 일과 21일에 파골세포가 존재한 양성 대조군 세포의 수준까지 0CN 생산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330> . 이러한 결과는, 조골세포 분화인자가 없는 경우, 골수 단핵세포 또는 성숙한 파골세포와의 상호작용이 조골세포에서의 0CN 생성의 증가에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 하였다.

<3 > 따라서 osmundacetone은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면서 조골세포에서 ALP와

0CN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능력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32>

<333> 4. Osmundacetone의 RUNX?, 발현 증가 효과

<334> 다음으로 osmundacetone이 조골세포의 조기 분화 마커인 RUNX2의 발현을 증 가시키는지 ' 확인하였다. 상기 RUNX2는 조골세포에서 ALP와 0CN의 전사를 자극하여 골 형성을 증가시키는 전사인자로 알려져 있다 (Phimphl a i et al. , 2006) .

<335> Osmundacetone을 투여한 MC3T3-E1 세포의 RUNX2의 발현은, 처리되지 않은 양 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투여 후 7일, 14일 및 21일째에 각각 1 . 1 , 1. 1 및 2. 1 배 증가하였다 (도 6) .

<336> Osmundacetone이 처리된 조골세포에서 RUNX2 발현은 분주 후 21 일까지 현저 하게 감소하지 않은 반면, 처리되지 않은 조골세포에서 RLINX2 발현은 21일째에 14 일 최대 발현량의 거의 절반으로 감소했다.

<337> 이를 통해, osmundacetone은 조골세포에서 RUNX2 발현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38>

<339> 5. Osmundacetone의 암세포 -특이적 세포독상

<340> Osmundacetone은 정상세포 (non-cancer ee l I s )에 비해 암세포에 대해 높은 선 택성 지수값을 갖는 특이적 독성을 보였다.

<34i> IC 50 이 100 μ Μ 미만인 화합물은 세포 사멸 /항 증식 활성 측면에서 활성으로 간주 될 수 있다 (Boyd, 2003).

이에 따라, 하기 표 3을 참고하면, osmundacetone은 정상세포주에 대해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5.3 값은 3 번의 독립적인 실험에 대한 평균 土 표준 편차 (average土 standard deviation)이다. Fosamax는 참고 (reference) 화합물로 사용하였다.

<348> 본 실험에 사용한 세포는 하기와 같다.

<349> HaCaT, 인간 표피 각질형성세포 (Human epidermal kerat inocyte); ADMSC, 인 간 지방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Human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KCEFO, Korea)); RAW264.7, 마우스 대식세포 세포주 (Mouse macrophage cell line (preosteoclast)); NIH3T3,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 (Mouse embryo fibroblast); AGS, 인간 위 선암 (Human stomach adenocarcinoma); A549, 인간 폐암 (Human lung carcinoma); HepG2 , 인간 간 간모세포종 (Human liver hepatoblastoma); HCT116, 인간 결장암 (Human colon carcinoma); PC3, 인간 전립선 샘암종 (Human prostate adenocarcinoma); Caki-1, 인간 신장암종 (Human kidney carcinoma); T24, 인간 방광암 (Human bladder carcinoma); HT1080 , 인간 섬유육종 (Human fibrosarcoma); B16F10, 마우스 혹색종 (Mouse melanoma); TOl P3, HPV- 16E7-발현하는 마우스 폐 상피세포 (HPV-16 E7-expressing mouse lung epithelial cell(- MHC class I))

<350>

<3 5 i> 특히, MTT 분석에 따르면, osmundacetone은 ADMSC 인간 지방세포 유래 중간 엽 줄기세포, HaCaT 인간 표피 각질세포 및 NIH3T3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에 대해 각각 2, 760 ± 220, 3510 土 110 및 > 5,000 μΜ의 IC 50 값을 갖는 미미한 세포 독 성을 나타냈다.

<352> 한편, osimmdacetone은 RAW264.7 마우스 대식세포 세포주에 대해 507 士 98 μΜ의 LD 50 으로, 상대적으로 유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osimmdacetone 이 고농도에서 일부 탐식세포의 생존력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53> 흥미롭게도 MTT 분석에 따르면 osmundacetone은 AGS 인간 위암 (stomach adenocarcinoma), PC3 사람 전립선 선암 (prostate adenocarcinoma) 및 B16F10 마우 스 흑색종 (melanoma)을 포함한 암 세포주에 대해 59.9 土 6.1, 65.5 士 8.7 및 75.8 士 9.2 μΜ의 낮은 LD 50 을 나타내 중등도의 세포독성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54>

<355> 특히, 인간 정상세포주 (HaCaT, ADMSC)와 비교하여 인간 암 세포주 (AGSᅳ PC) 를 사멸시키는 데 있어서 osmundacetone의 세포 독성의 암 선택도 지수가 45 내지 60으로 매우 높았다.

< 35 6>

<357> 결론적으로 파골세포 분화 억제에 대한 osmundacetone의 IC 5 。는 8 μΜ, 조골 세포를 280% 활성화시키는 농도는 50 μΜ, 및 몇 암세포주에 대한 LD 50 값 50 내지

70μΜ에 비하여, 정상세포주에 대한 LD 50 는 2,500 내지 5,000μΜ 범위를 나타내므 로, 이를 기반으로 osmundacetone을 치료제로 사용하는 경우 큰 안전성을 갖는 것 을 확인하였다.

< 58>

<3 5 9> <적용예 1>

<360> ¾다공증

<36i> 뼈는 대사적으로 뼈를 흡수하는 파골세포 (osteoclast)와 생성하는 조골세포

(osteoblast) 간의 뼈 리모델링 순환 (bone remodelling cycle)의 균형을 통해 유지 된다. 그러나,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의 균형이 깨어지고 과골세포가 지나치게 활성 화되면 뼈의 흡수와 생성 간의 균형이 파괴되어 흡수량이 생성량보다 많아지면서 골다공증이 유발된다 (Kim JH and Kim N, 2016; Shiozawa Y et a/., 2011).

<362> 따라서 , 본 발명의 osmundacetone은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하는 효 과와 동시에 조골세포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363>

<364> <적용예 2>

<365> 류마티 관¾염

<366> 류마티스관절염은 자가면역질환인데 자가면역항체가 파골세포 분화를 촉진한 다. 그로 인한 과도한 골 흡수는 류마티스관절염을 악화시킨다 (Takayanagi H, 2007) . 그 기전은 다음과 같다. 파골세포 분화 관련 중추적인 전사인자인 NFAT 전 사인자들은 (NFATc:i/c2/c3/c4) 기본적으로 calcium/calmodulin signaling에 의하여 활성화된다 (Takayanagi H et a/., 2002) . 완전한 활성화를 위해서는 면역조절 단 백질들인 DNAX-activating protein 12(DAP12) 및 면역항체 Fc receptor common γ chain(FcRx)과 같은 tyrosine一 based activation motif ( ITAM)— bear ing molecule들 이 면역세포에서 calcium signaling을 자극한다 (Pitcher LA and van Oers NS, 2003) . 파골세포에서 역시 DAP12와 FcR γ A calcium signaling을 통하여 NFATcl을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DAP12 및 FcRy와 연계된 imniunoglobulin-like receptor가 파골세포 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Koga T et al. , 2004; Mocsai A et al . , 2004) . 즉, FcRy는 파골세포에서 osteoclast-associated receptor (OSCAR) 및 paired immunoglobul in-1 ike receptor (PIR— A)와 상호작용한다. ITAM이 인산화되면 phospho lipase C χ (ΡΙ χ )를 활성화하고 이는 세포 내 calcium을 유리하고 이는 calmodul in-dependent phosphatase인 calcineurin을 활성화한다 . Calcineurin은 직 접 NFATcl의 serine을 탈인산화하여 핵 내로 보내고 활성화시킨다. 결과적으로 면 역항체는 파골세포 분화를 촉진하게 되고, 파골세포에 의한 과도한 골 흡수는 류마 티스 관절염을 악화시키게 된다. 결국,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파골세포 분화 억제는 자가면역기전 자체의 이상을 교정하지는 못 해도 그 결과.유발된 관절염과 통증 등 골격계 증상은 치료할 수 있다.

<367> 따라서 , 본 발명의 osmundacetone은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하는 효 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368>

<369> <적용예 3>

<370> 파제트 병 (Osteitis deformans)

<37i> 파제트 병 (Osteitis deformans) 역시 파골세포의 비정상적 골 흡수가 유발한 다 (Singer FR, 2016). 그러면 조골세포의 비정상적 골 생성이 진행되고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골의 기형과 그로 인한 통증, 두통, 청력손실 등이 초래된다. 팔, 다 리, 골반, 척추, 두개골에 호발한다. 새로 생성된 골은 약하여 골절 빈도가 높다. 고칼슘혈증, 심장마비, 반신불수가 유발될 '수 있다 (Ralstone SH, 2016). 발병 원인 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 소인과 어릴 적 바이러스 감염이 그 원인으로 의심 된다. 약물치료가 병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치료제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제인 Fosamax 및 골 대사를 조절하는 calcitonin이다. 하지만 Fosamax는 부작용으로 일부 환자에서 장기 복용이 제한적이다. 통증이 ' 심하 면 Acetaminophen(Tylenol)이나 nonsteroidal ant i-inf lammatory drugs(NSAIDs)를 사용한다.

<372> 따라서 , 본 발명의 osmundacetone은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하는 효 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 파제트 병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373>

<374> <적용예 4>

<37 > 골 전이암

<376> 파골세포는 또한 고형암 (solid tumor)의 골 전이를 촉진한다. 뼈는 암의 전 이가 가장 호발하는 부위이다. 뻐에 암이 전이되면 극심한 통증과 함께 뼈가 부서 져서 완치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진다 OVeilbaecher N et al. , 2011). 전신에 퍼진 암세포들은 골수 내의 혈액 줄기세포 증식 장소에서 발견된다 (Shiozawa Y et al., 2013). 암세포는 골수세포로부터 파골세포의 분화를 현저히 촉진하여 골 전이와 암 성장, 골 파괴를 촉진한다. 따라서 파골세포는 암의 골 전이에서 핵심적인 역할올 하아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면 골 전이가 감소한다. 많은 고형암의 전이가 골 전 이인데 혈액 줄기세포 증식 장소를 거점으로 혈액 즐기세포를 몰아내고 중식하다가 다시 혈액으로 나와 다른 곳으로 전이하기도 한다. 골 전이가 가장 흔한 암은 전립 선암으로서 골 전이가 암을 악화시켜서 완치를 어렵게 하고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사람 전립선 암세포의 직접적인 주요 표적 역시 혈액 줄기세포 증식 장소로서 전이 암의 거점으로 사용한다 (Shiozawa Y et al. , 2011). 또한 파골세포는ᅳ전립선 암 조 직 내에 혈관 형성을 촉진하여 암 성장을 촉진한다 (Bruni-Carcloso A et al., 2010) . 유방암 세포도 파골세포 분화를 촉진하여 , 유방 절제술을 시행한 유방암 환 자에서 파골세포가 골 전이를 통한 암 재발을 촉진한다 (Danilin S et al. , 2012; Lu X et al . , 2011) .

골 전이암을 예방하기 위한 골 표적 치료제가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으 며 파골세포가 암 골 전이의 핵심 기전 중 하나이므로 항암 신약개발의 주요 표적 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현재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유일한 bisphosphonate 계열 약제가 Zoledronic acid이다 (E卜 Amm J et al. , 2013). Zoledronic add는 뼈를 보존하고 생존률을 높인다. 고 위험 비전이 전립선암 (high risk nonmetastat i c prostate cancer)에서 Zoledronic Acid는 골 전 이를 크게 감소시켰다 (Wirth M et al. , 2014). Zoledronic acid를 조골세포를 활성 화하는 부갑상선호르몬 (parathyroid hormone)과 함께 투여하면 골 전이가 더욱 감 소하였다 (Schneider A et a/., 2005). 파골세포 분화의 신호전달물질인 RANKL에 대 한 단클론 항체 (monoclonal antibody)인 Denosumab 역시 전립선암의 골 전이를 억 제하여 파골세포 억제가 암의 골 전이 억제에 중요함이 다시 입증되었다 (Smith MR et aL , 2012). Multiple myeloma 환자에서도 Zoledronic acid를 투여하면 과골세 포 분화가 억제되어 골 전이가 현저히 억제된다 (Zhuang J et al. , 2012). 즉, 부작 용 적고 저렴한 파골세포 억제제가 개발되면 암 환자에서 전이를 억제하기 위하여 장기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 본 발명의 osmundacetone은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하는 효 과를 나타내며 동시에 조골세포 활성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골 전이암의 예방 또

¾,:ne t o. , a o w -nosw^d、 ?l li ns f Br l .-

y ,, g , g , yCgs B i seL Doua We t oeasovs E l W ll T l k 1V E Adrso Makk lli nnnr <34>

<3ί ) 5> Elᅳ Amm J, Freeman A, Patel N, Aragon一 Ching JB. Boneᅳ targeted thera ies in metastatic castr at ion-resistant prostate cancer: evolving paradigms . Prostate Cancer . Hindawi Publishing Corporation; 2013 ;2013 :210686. PMCID: PMC3771418

<396>

<397> Ford-Hutchinson, A.W. , et al ., Leukotr iene B, a potent chemokinet ic and aggregating substance released from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Nature (London) , 286, 264—265, 1980.

<398>

<399> im JH and Kim N. Signal ing Pathways in Osteoclast Di f f erent i at i on .

Chonnam Med J 2016; 52:12-17.

<400>

<40i> Kobayashi N, Kadono Y. Nai to A, Mat sumo to , Yamamoto T, Tanaka S, et al . Segregation of TRAF6一 medi ated signal ing pathways clarifies its role in osteoclastogenesis. EMB0 J 2001; 20:1271—80,

<402>

<403> Koga T, Inui M, Tnoue , Kim S, Suematsu A , Kobayashi E, et al .

Costimulatory signals mediated by the ITAM motif cooperate with RANKL for bone homeostasis. Nature 2004;428:758-63.

<404>

<405> Kong YY, Yoshida H, Sarosi ΐ , Tan HL , Timms E, Capparel L i C, et al .

OPGL is a key regulator of osteoclastogenesis f lymphocyte development and lymph-node organogenesis . Nature 1999:397: 315ᅳ 23.

<406>

<407> Lacey DL, Timms E, Tan HL, Kel ley MJ, Duns tan CR, Burgess T, et al .

Osteoproteger in 1 igand i s a cytokine that regulates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activation. Cell 1998 ;93: 165一 76.

<408>

<409> Lee Sung-eun ,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and

Desi ned New Hybrid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LTB4 Related Disease, Pb . D thesis, Graduate School of Pus an Univ. , August 1999 <410>

<411> Lomaga MA, Yeh WC, Sarosi I, Duncan GS, Fur longer C, Ho A, et al . TRAF6 deficiency results in osteopetrosis and defect ive inter leukin— 1, CD40, and LPS signaling. Genes Dev 1999 ;13: 1015ᅳ 24.

<412>

<413> Lum L, Wong BR, Jos i en R, Becherer JD, Er d j umen t -Br omage II, SchloJ , et al . Evidence for a role of a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一 alpha)ᅳ converting enzyme- 1 ike protease in shedding of TRANCE , a TNF family member involved in os t eoc 1 as t ogenes i s and dendritic eel 1 survival . J Biol Chem 1999;274: 13613-8.

<4t4>

<4t > Lu X, Mu E, Wei Y ? Riethdorf S, Yang Q, Yuan M, Yan J, Hua Y, Tiede BJ, Lu X, Haf f ty BG, Pant el K, MassaguE J , Kang Y. VCAM-1 promotes osteolytic expansion of indolent bone micrometastasis of breast cancer by engaging α 4β 1-posit ive ^ osteoclast progenitors. Cancer Cell . 2011 Dec 13 ;20(6) :701714. PMCID: PMC3241854

<4t6>

<417> Mancini A, Niedenthal R, Joos H, Koch A, Troul iar i s S, Ni emann H, et al . Identification of a second Grb2 binding site in the v一 Fms tyrosine kinase. Oncogene 1997; 15: 1565ᅳ 72.

<418>

<419> MoA, Humphrey MB, Van Ziffle JA, Hu Y, Burghardt A, Spusta SC, et al.

The immunomodulatory adapter proteins DAP 12 and Fc receptor gamma-chain (FcRgamma) regulate development of funct ional osteoclasts through the Syk tyrosine kinase. Proc Natl Acad Sci U S A 2004; 101 :6158ᅳ 63.

<420>

<421> Molina M ' ICREA VR-G, PARDO-DE-SANTAYANA M. Local Knowledge and

Management of the Royal Fern (Osmunda regal is L. ) in Northern Spain:

Impl i cat ion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American Fern Journal 2009 ;99(1) :4555

<422>

<423> Mundy , G.R. ,et al ., 5-Lipoxygenase metabol i tes of arachidonic acid stimulate isolated osteoclasts to resorb calcified matrices . J. Bio. Chem . 268, 10087-10094, 1993.

<424>

<425> Nai to A, Azuma S, Tanaka S, Miyazaki T, Takaki S, Takatsu K, et al .

Severe osteopetrosis, defective inter leuk in- 1 signal 1 ing and lymph node organogenesis in TRAF6-def icient mice. Genes Cells 1999 ;4:353一 62.

<426>

<427> Pitcher LA, van Oers NS. T-cel 1 receptor signal transmission: who gives an ITAM- Trends I unol 2003;24:554-60.

<428>

<429> Ralston SH. Paget disease of bone. In: Go I dm an L, Schafer A I, eds.

Goldman's Cecil Medicine. 25th ed. Philadelphia, PA: Elsevier Saunders; 2016: chap 247.

<430>

<431> Schneider A, Kalikin LM, Mattos AC, Keller ET, Allen MJ, Pienta J , McCauley LK. Bone turnover medi ates preferent ial local i za ion of prostate cancer in the skeleton. Endocrinology. 2005 Apr 146(4) 17271736. PMID: 15637291 ,

<432>

<433> Sherr CJ. Colony-st imulat ing factor—l receptor . Blood 1990 ;75' 1-12. <434>

<435> Shiozawa Y t Pedersen EA, Havens AM, Jung Y, Mishra A, Joseph J , Kim JK, Pat el LR, Ying C, Ziegler AM, Pienta MJ , Song J, Wang J , Loberg RD, Krebsbach PH, Pienta KJ , Taichman RS. Human prostate cancer metastases target the hematopoietic stem cell niche to establish footholds in mouse bone marrow. J Clin Invest. 2011 Apr 121(4) 12981312. PMCID: PMC3069764.

<436>

<437> Shiozawa Y, Taichman RS, Keller ET. Detect ion and isolation of human , disseminated tumor eel Is in the murine bone marrow stem cell niche. Methods Mol Biol. Humana Press; 2013 ;1035 :207215. PMID: 23959994.

<438>

<439> Singer FR. Paget 's disease of bone. In: Jameson JL, De Groot LJ, de rester DM, et al , eds . Endocrinology: Adult and Pediatric. 7th ed. Philadelphia, PA: Elsevier Saunders; 2016: chap 72.

<440>

<44i> Smith MR, Saad F, Coleman R, Shore N, Fizazi K, Tombal B, Miller K,

Sieber P, arsh L, DamiaR, Tammela TL, Egerdie B, Van Poppel H , Chin J , Morote J, GoF, Borkowski T, Ye Z, Ku i c A, Dansey R, Goessl C. Denosumab and bone-metastasi s~f ree survival in men with castrat ion-resistant prostate cancer ' - results of a phase 3, randomised, placebo-control led trial . Lancet . 2012 Jan 7 ;379(9810) :3946. PMCID: PMC3671878

<442>

<443> Suda T, Takahash i N , Udagawa N , Jimi E, Gill es ie MT , Mart i n TJ .

Modulat ion of osteoclast di f f erent i at ion and func ion by he new members of th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and 1 i gand families. Endocr Rev 1999;20:345-57. .

<444>

<445> Takayanagi H, Kim S, Koga T, Nishina H, Isshiki M, Yoshida II, et al .

Induct ion and activation of the transcript ion factor NFATcl (NFAT2) integrate RAN L signal ing in terminal di f ferent i at ion of osteoclasts. Dev Cel 1 2002;3:889-901.

<446>

<447> Takayanagi H . Osteo immunology- shared median i sms and crosstalk between the immune and bone systems . Nat Rev Immunol 2007; 7: 292ᅳ 304

<448>

<449> Takayanagi H, Kim S, Koga T, Nishina H, Isshiki M, Yoshida H, et al.

Induction and activation of the transcription factor NFATcl (NFAT2) integrate RANKL signal ing in terminal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s. Dev Cel 1 2002;3:889-901.

<450> Tei telbaum SL, Ross FP. Genetic regulat ion of osteoclast development and function. Nat Rev Genet 2003 ;4 :638ᅳ 49,

<451>

<452> Walsh MC, Choi Y, Biology of the TRANCE axis. Cytokine Growth Factor

Rev 2003 ;14 :251一 63. <453>

<454> Wei lbaecher KN, Guise TA, McCauley LK. Cancer to bone: a fatal attraction. Nat Rev Cancer . 2011 J un; 11(6) :411425. PMID: 21593787

<455>

<456> Wirth M, Tammela T, Cicalese V, Vei a FG, Delaere , Miller K., Tubaro

A, Schulze M, Debruyne F, Flu land H, Patel A, Lecouvet F, Car is C, Wi t jes W. Prevent ion of Bone Metastases in Patients with High-risk Nonmetastatic Prostate Cancer Treated with Zoledroni c Acid: Efficacy and Safety Results of the Zometa European Study (ZEUS). European Urology.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2014 Mar 11; :110.

<457>

<458> Wong BR, Besser D, Kim N, Arron JR, Vologodskaia M, Hanafusa H, et al.

TRANCE, a TNF family member , activates Akt/PKB through a signaling complex involving TRAF6 and c—Src. Mol Cell 1999;4:1041-9.

<459>

<460> Wong BR, Jos i en R, Lee SY, Vologodskaia M, Steinman RM, Choi Y. The

TRAF family of signal transducers medi tes NF-kappaB activation by the TRANCE receptor. J Biol Chem 1998:273: 28355-9.

<461>

<462> Zhuang J, Zhang J, Lwin ST, Edwards JR, Edwards CM . Osteoc lasts in multiple myeloma are derived from Gr 1+ Cl)llb+ myeloid一 derived suppressor cells. Shi S, editor. PLoS One. 2012.

<463>

【산업상 이용가능성】

<464>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뼈 손실을 야기하는 파골세포에 대하여 강력한 증 식 및 분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고 동시에 조골세포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골다공증 치료제 또는 개선용 식품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