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ULTRA-HIGH-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USING SAME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17/052119
Kind Code:
A1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each other, conductors of a pair of ultra-high-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s including the conductors, internal semi-conductive layers, insulation layers, and external semi-conductive layers; and an ultra-high-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using the same.

Inventors:
CHAE BYUNG-HA (KR)
LEE SU-KIL (KR)
YOON HYUN-SUNG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0114
Publication Date:
March 30, 2017
Filing Date:
September 08, 2016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LS CABLE & SYSTEM LTD (KR)
International Classes:
H01B5/00; H01B7/00; H01B7/02; H01B9/00; H01B13/14
Foreign References:
JPH10145956A1998-05-29
JP2010097775A2010-04-30
JPH07274370A1995-10-20
JPH08149648A1996-06-07
KR19980042478U1998-09-25
Attorney, Agent or Firm:
KIM, Joon Hyun et al. (KR)
Download PDF: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도체,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을 i함하는 한 쌍의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의 상기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도체 압착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도체가 수용되는 도체 수용부를 가지며,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름산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골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양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청구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주름산이 형성된 위치에 대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청구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청구항 6】 도체,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외부반도전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전력케이블과, 상기 전력케이블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접속함을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은, 상기 내부반도전층을 둘러싸며, 절연유에 함침된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 1 절연층; 상기 제 1 절연층을 둘러싸며 절연유에 함침된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제 2 절연층;

상기 계 2 절연층을 둘러싸며, 절연유에 함침된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계 3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접속함은,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주름산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골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및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최내층과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최외층을 가지몌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기 도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내지 상기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보강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는 상기 주름골의 최소 두께가 상기 몸체부 양단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 【청구항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기 도체는 원형의 중심소선과 상기 원형 중심소선을 감싸도록 연선된 평각소선으로 이루어진 1층 이상의 평각소선층을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평각도체이며, 상기 주름골의 최소 두께와 상기 몸체부 양단부의 두께 차이가 상기 평각소선층의 최외곽층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청구항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최외면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기 제 1 절연층의 최외면 보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청구항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내층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양 단부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사이에 권취된 크래프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청구항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내층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최외면을 둘러싸는 크래프트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

【청구항 1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내층은 상기 최내층의 최외면이 상기 계 1 절연층의 최외면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청구항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외층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외경 이상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

【청구항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중간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청구항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복합 절연지로 이루어진 제 1 중간층과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 2 중간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 【청구항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 1 중간층과 제 2 중간층은 각각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 2 절연층 및 제 3 절연층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정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청구항 16】 도체,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외부반도전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전력케이블과, 상기 전력케이블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접속함을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간접속함은 제 1항 내지 거 15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체 압착슬리브의 상기 주름산을 압착하고, 외면을 다듬질하여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도체 압착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전력 케이블 시스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도체 압착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전력 케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전력 케이블 내부의 도체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시스템로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말단을 서로 접속시키는 중간접속함 (Joi nt box)이나, 또는 상기 전력케이블과 가공선을 접속시키는 종단접속함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도체 압착슬리브가 중간접속함에 구비된다. 그런데, 전력케이블의 하중 등에 의하여 전력케이블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므로 압착슬리브로 접속된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부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항장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압착슬리브에 의해 압착하여 연결한 후, 압착슬리브의 표면을 일정 두께로 다듬질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압착슬리브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항장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압착슬리브 내부에 삽입된 도체 단부가 압착 시에는 서로 이격되어 전류가 통하는 통로 (path)가 줄어들게 되어 국부적인 발열이 발생하여 열화에 의한 중간접속함의 수명 단축의 문제가 있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착슬리브의 외경을 확대하여 단면적을 크게할 수 있으나, 단순히 압착슬리브의 외경을 확장하는 방법은 중간접속함의 보강절연층의 두께를 현저히 늘리게 되므로 중간접속부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간접속함의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항장력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도체 단부의 국부적인 발열을 줄일 수 있는 도체 압착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는, 도체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의 상기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도체 압착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도체가 수용되는 도체 수용부를 가지며,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름산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골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ᅳ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양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주름산이 형성된 위치에 대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도체,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외부반도전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전력케이블과, 상기 전력케이블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접속함을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은, 상기 내부반도전층을 둘러싸며, 절연유에 함침된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계 1 절연층; 상기 제 1 절연층을 둘러싸며, 절연유에 함침된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제 2 절연층; 및 상기 제 2 절연층을 둘러싸며, 절연유에 함침된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 3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접속함은,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주름산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골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및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최내층과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최외층을 가지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기 도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내지 상기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보강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는 상기 주름골의 최소 두께가 상기 몸체부 양단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기 도체는 원형의 중심소선과 상기 원형 중심소선을 감싸도록 연선된 평각소선으로 이루어진 1층 이상의 평각소선층을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평각도체이며, 상기 주름골의 최소 두께와 상기 몸체부 양단부의 두께 차이가 상기 평각소선층의 최외곽층 두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최외면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기 제 1 절연층의 최외면 보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내층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양 단부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사이에 권취된 크래프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내층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최외면을 둘러싸는 크래프트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내층은 상기 최내층의 최외면이 상기 제 1 절연층의 최외면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외층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외경 이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중간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세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복합 절연지로 이루어진 제 1 중간층과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 2 중간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 1 중간층과 제 2 중간층은 각각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 2 절연층 및 제 3 절연층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도체,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외부반도전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전력케이블과, 상기 전력케이블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접속함을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세 상기 중간접속함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상기 주름산을 압착하고ᅳ 외면을 다듬질하여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도체 압착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따르면, 도체 압착슬리브 및 중간접속함의 외경을 늘리지 않으면서 도체 접속부의 항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간접속부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통로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도체 접속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부적인 발열을 줄일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전력케이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내지 도 7은 내부 구성이 서로 상이 한 보강절연층을 갖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계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는 내부 구성이 서로 상이 한 보강절연층을 갖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의 전계분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도체 압착슬리브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도체 압착슬리브에 의한 허용장력을 도시한개략도이다. 도 12는 종래 도체 압착슬리브에 의한 전류 이동 통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에 의한 허용장력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에 의한 전류 이동 통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를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먼저 다양한 실시예에 전력케이블의 구조를 살펴보고, 이어서 상기 전력케이블 복수개를 연결하여 구성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초고압 직류 전력 케이블 (2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케이블 (200)은 도체 (210), 내부반도전층 (212) , 절연층 (214) , 외부반도전층 (216)을 포함하여, 도체 (210)를 따라 케이블 길이 방향으로만 전력을 전송하고, 케이블 반경 방향으로는 전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블 코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도체 (210)는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톡 도전율이 우수하고 케이블 제조 및 사용에 적절한 강도와 유연성을 가진 소재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 (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중심소선 (210A)과 상기 원형 중심소선 (210A)을 감싸도록 연선된 평각소선 (210B)으로 이루어진 평각소선층 (210C)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평각도체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복수개의 원형소선을 연선하여 원형으로 압축한 원형 압축도체일 수 있다. 상기 평각도체는 원형 압축도체에 비하여 점적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케이블 외경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체 (210)는 복수개의 소선이 연선되어 형성되므로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 (210) 표면과 후술하는 절연층 (214)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체 (210) 외부에는 내부반도전층 (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반도전층 (212)은 절연성 물질에 카본블랙, 카본 나노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도전성 입자가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반도전층 (212)은 상기 도체 (210)와 후술하는 절연층 (214) 사이에서 급격한 전계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을 안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체면의 불균일한 전하분포를 억제함으로써 전계를 균일하게 하고, 도체 (210)와 절연층 (21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절연파괴 등을 억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절연층 (214)은 상기 내부반도전층 (212)의 바깥쪽에 구비되어 도체 (210)를 따라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준다. 상기 절연층 (214)은 절연유에 함침된 절연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층 (214)은 상기 내부반도전층 (212)을 둘러싸도록 절연지가 다층으로 권취되고, 상기 케이블 코어부가 형성된 후 절연유에 함침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유가 절연지에 흡수되는바, 절연층 (214)의 절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절연유는 상기 절연지 내부의 공극 및 상기 절연지를 권취하여 형성된 층간의 름에 충진되어 절연특성을 향상시키며, 케이블의 굽힘시 상기 절연지간의 마찰력을 저감시켜 케이블의 굴곡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절연유는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상기 도체 (210)를 구성하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접촉하여 열에 의해 산화되지 않아야 하며, 상기 절연지를 용이하게 함침할 수 있도톡 함침온도, 예를 들어 i ( xrc에서는 충분히 낮은 점도를 가지며, 60 ° C에서의 동점도가 10~500 센티스토크 (cent i stoke)인 중점도 절연유 또는 60 ° C에서의 동점도가 500 센티스토크 이상인 고점도의 절연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은 저점도 절연유를 사용하는 경우, 절연지가 절연유에 함침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절연유의 유동에 의해 절연층에 공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유설비 등을 사용하여 절연유를 가압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중점도 또는 고점도 절연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연유의 유동이 적기 때문에 절연유를 가압하기 위한 급유설비가 필요없거나, 필요한 급유설비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케이블 연장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유는 나프텐계 절연유, 폴리스틸렌계 절연유, 광유, 알킬 벤젠이나 폴리부텐계 합성유, 중질 알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절연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절연지는 크래프트 필프 (Kraf t pul p)를 원료로 하여 필프 중의 유기 전해질을 제거한 크래프트지 (Kraf t paper ) 또는 플라스틱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크래프트지를 접착한 복합절연지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그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되는 크래프트지 보다 큰 저항률을 가져 함침공정 또는 케이블 작동시 절연유의 유동에 따라 크래프트지에 기포가 생성되더라도 그 기포에 분담되는 전압을 완화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Polyethyl en) ,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 ene) , 폴리부틸렌 (Polybutyl en)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핵사플루오로폴리프로필렌 (Tet r af 1 uoroethy 1 ene-Hexaf 1 uoropropyl ene) 공중합체 ,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Ethyl en-tet raf l uoroethylene) 공중합체 등의 불소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층 (214)은 크래프트지만을 권취하고, 절연유에 함침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유가 케이블 하중방향으로 절연유가 유동하여 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복합 절연지를 권취하고, 절연유에 함침시켜 상기 절연층 (214)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는 절연유에 함침되지 않으며, 케이블 제조시의 함침 은도 또는 케이블 작동시의 작동 온도에 따라 열팽창을 하게 된다. 열가소성 수지가 열팽창을 하게 되면 이에 적층된 크래프트지에 면압을 가하게 되어 절연유의 이동 통로를 협소하게 하므로 중력에 따른 절연유 유동 또는 온도에 따른 절연유의 수축 /팽창에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복합 절연지는 크래프트지 보다 절연내력이 높아 케이블 외경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전력 케이블을 통전시키는 경우,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는 도체에 열이 발생하며, 케이블 반경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은도가 점차 낮아지게 되어 상기 절연층 (214)에서도 온도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도체 직상구간에 속하는 절연층, 즉 내부반도전층 (212) 상에 형성되는 절연층의 절연유는 점도가 낮아지고 열팽창을 하여 바깥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케이블 온도 하강시에는 이동한 절연유의 점도가 높아지고 원래대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어 도체 직상 구간의 절연층 부분에 공극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도 차이에 따라 점차 전계가 역전되어 작용하는 전계가 점차 높아지는 금속시스 직하구간에 속하는 절연층, 즉 외부반도전층 (216)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연층에는 높은 전계가 작용하게 된다. 상기 도체 직상구간 및 금속시스 직하구간은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케이블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고전계가 작용하는 영역으로 부분방전, 절연파괴 등의 기점이 되는 절연 취약부로 작용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절연층 (214) 중 상기 절연 취약부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절연지로 크래프트지만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층 (214)을 상기 내부반도전층 (212)에서 후술하는 외부반도전층 (216) 방향으로 제 1 절연층, 제 2 절연층 및 제 3 절연층으로 구분하여 제 1 절연층 및 /또는 제 3 절연층에는 크래프트지만을 사용하며, 제 2 절연층에는 상기 복합 절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복합절연지가 권취된 제 2 절연층과 크래프트지가 권취된 제 1 절연층 및 /또는 제 3 절연층 간에 저항률 차이가 발생하며, 저항률이 낮은 크래프트지가 권취된 상기 절연층 (214)의 제 1 절연층 및 /또는 계 3 절연층은 저항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상기 절연 취약부에 분담되는 전계를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저항률에 따라 전계가 분포되는 직류 케이블의 저항성 전계분포 특성상 저항률이 높은 복합 절연지가 권취된 상기 제 2 절연층에 높은 전계가 작용하며, 상기 제 1 절연층 및 /또는 게 3 절연층에 포함된 도체 직상구간 및 /또는 금속시스 직하구간에 상대적으로 낮은 전계가 작용하므로 절연 취약부에 작용하는 전계가 완화되어 절연 성능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 (214)은 계 3 절연층을 제 1 절연층 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 (214)의 외부에 후술하는 금속시스 (220)를 형성하거나, 케이블 코어부가 내측부터 순차적으로 노출된 두 개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한 후 금속시스 (220)을 복원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가해지는 열이 상기 절연층 (214)의 제 2 절연층에 인가되어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절연층보다 제 2 절연층을 두¾게 형성하여 제 2 절연층의 플라스틱 필름을 열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절연층의 두께는 전력 케이블에 요구되는 임필스 서지 전압 등을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 (214)의 외부에는 외부반도전층 (2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반도전층 (216)은 내부반도전층과 같이 절연성 물질에 도전성 입자, 예를 들면 카본블랙, 카본나뉴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이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절연층 (214)과 후술하는 금속시스 (220) 사이의 불균일한 전하 분포를 억제하여 절연 성능을 안정화한다. 또한, 상기 외부반도전층 (216)은 케이블에 있어서 절연층 (214)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절연층 (214)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반도전층 (216)은 금속화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금속화지는 크래프트지에 알루미늄 박막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 (214)의 절연유 함침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천공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부는 케이블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분 흡수부 (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분 흡수부는 상기 도체 (210)의 연선된 소선 사이 및 /또는 상기 도체 (210)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 (super absorbent pol ymer ;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분 흡수부는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부의 외부에는 케이블 보호부가 구비되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은 케이블 외장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가 케이블 보호부 및 케이블 외장부는 케이블의 전력 전송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분침투, 기계적 외상 부식 등의 다양한 환경요인으로부터 코어부를 보호한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는 금속시스 (220)와 고분자 시스 (222)를 포함하여, 사고전류, 외력 내지 기타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한다. 상기 금속시스 (220)는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력 케이블이 해저와 같은 환경에 포설되는 경우,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케이블 코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코어부를 실링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 상기 케이블 코어부 외부에 용융된 금속을 압출하여 이음새가 없는 연속적인 외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차수성능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는 납 (Lead)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의 경우에는 해수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계적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 금속 원소를 첨가한 합금연 (Lead al l oy)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시스 (220)는 전력 케이블 단부에서의 접지되어 지락 또는 단락 등의 사고 발생시 사고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케이블올 보호하고, 전계가 케이블 외부로 방전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시스 (220)는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추가로 향상시키고 상기 고분자 시스 (222)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부식 방지 컴파운드, 예를 들어 , 블로운 아스팔트 등이 도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 시스 (220)와 상기 케이블 코어부 사이에는 동선직입 테이프 내지 수분 흡수층 (218)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가 동선 직입테이프는 동선 (Copper wi re)과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반도전층 (216)과 금속시스 (220)간의 전기적 접촉을 원활히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수분흡수층은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 (super absorbent polymer ;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동선직입 테이프와 수분 흡수층은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반도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전 및 수분흡수 작용을 모두 할 수 있도록, 수분 흡수층에 동선을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시스 (222)는 상기 금속시스 (220)의 외부에 형성되어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시스 (222)는 폴리염화비닐 (PVC) , 폴리에틸렌 등과 갈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의 경우에는 차수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난연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 케이블 (200)은 상기 고분자 시스의 내측 또는 외측에 아연도금 처리된 강철 케이프 등으로 구성되는 금속 보강층 (224)을 구비하여, 상기 절연유의 팽창에 의해 상기 금속시스 (220)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보강층 (224)의 상부 및 /또는 하부에는 반도전성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전력 케이블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하는 베딩층 (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폴리염화비닐 내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구성되는 외부 시스 (226)를 더 구비하여 전력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은 선박의 닻 등에 의해 외상을 입기 쉬우며ᅳ 해류나 파랑 등에 의한 굽힘력, 해저면과의 마찰력 등에 의해서도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상기 보호 시스부의 외부에 케이블 외장부 (230, 232)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외장부는 아머층 (230) 및 써빙층 (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머층 (230)은 강철, 아연도금강, 구리, 황동, 청동 등으로 이루어지고 단면 형태가 원형, 평각형 등인 와이어를 횡권하여 적어도 1층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케이블의 기계적 특성과 성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외력으로부터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보호한다. 폴리프로필렌 얀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써빙층 (232)은 상기 아머층 (230)의 상부 및 /또는 하부에 1층 이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을 보호하며, 최외곽에 형성되는 써빙층 (232)은 색상이 다른 2종 이상의 재료로 구성되어 해저에서 포설된 케이블의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절연유에 함침된 절연지로 절연층을 형성한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중간 접속함 ^로 서로 접속하여 형성한 전력 케이블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접속함 (300)을 이용하여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도체 (210), 내부반도전층 (212) , 절연층 (214) 및 외부반도전층 (216)이 순차적으로 노출된 한 쌍의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는 중간접속함 (3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 (214)은 상기 내부반도전층 (212)을 둘러싸며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 1 절연층 (214A) , 상기 계 1 절연층 (214A)을 둘러싸며 복합 절연지로 이루어진 제 2 절연층 (214B) 및 상기 제 2 절연층 (214B)을 둘러싸며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 3 절연층 (214C)을 포함할 수 있으몌 상기 크래프트지 내지 상기 복합절연지를 절연유에 함침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접속함 (300)은 상기 노출된 한 쌍의 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체 압착슬리브 (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접속함 (300)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와, 상기 전력 케이블에서 노출된 한 쌍의 도체 내지 절연층을 감싸는 보강절연층 (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는 상기 한 쌍의 전력 케이불 (200)에서 노출된 한 쌍의 도체 (210)의 각 단부를 파지하여 상기 한 쌍의 전력 케이블 (20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접속상태를 견고히 지지한다. 상기 보강절연층 (310)은 크래프트지 내지 복합 절연지를 권취하고, 절연유에 함침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절연층 (310)은 크래프트지만을 권취한 최내층 (310A)과 복합 절연지를 권취한 최외층 (310D)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크래프트지 및 복합 절연지를 포함하는 보강절연층 (310)을 구비하는 상기 중간접속함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도체를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330)와 상기 케이블 절연층의 내층 (214A)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잔존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공간이 존재하여 후술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압착시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와 상기 케이블 절연층 (214)의 내층 (214A) 사이의 공간에 절연지를 권취하여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330)와 상기 케이불 절연층 (214)의 내층 (214A) 사이의 공간에 크래프트지를 상기 케이블 절연층의 내층 (214A)에 대웅하는 높이만큼 권취하여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절연층 (310) 중 크래프트지만으로 구성된 최내층 (310A)의 최외면은 상기 케이블 절연층 (214)의 내층 (214A)의 최외면과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대략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외면에 불균일한 전계분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외면에 반도전 테이프를 권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도전 테이프의 최외면이 상기 제 1 절연층 (214A)의 최외면 보다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반도전 테이프의 최외면에 크래프트지를 추가로 권취하여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을 형성함으로써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의 최외면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 1 절연층 (214A)의 최외면과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 1 절연층 (214A)의 최외면이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지 않아서 단차가 발생한다면, 상기 단차가 발생한 부분에는 전계가 집중되어 절연파괴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케이블 시스템의 작동시ᅳ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기 도체 및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에 열이 발생하며, 상기 보강절연층 (310)에 온도 차이가 발생한다. 상기 도체 및 도체 압착슬리브 (400)에 인접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 (310A)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아져 함침되어 있는 절연유의 점도가 낮아지고 열팽창을 하여 바깥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케이블 온도 하강시에는 이동한 절연유의 점도가 높아지고 원래대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어 공극이 발생하게 되어 절연 취약부로 작용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을 크래프트지로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거 U 중간층 (310B)의 복합 절연지와의 저항를 차이가 발생하몌 저항률이 낮은 크래프트지가 권취된 상기 최내층 (310A)은 저항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상기 절연 취약부에 분담되는 전계를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외층 (310D)은 상기 케이블 (200)의 노출된 절연층 (214)의 외경 이상에서 형성된다. 상기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 (210)가 압착슬리브 (330)에 의해 접속되므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두께만큼 도체 구간의 높이가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통전시 상대적으로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절연층 (310)은 상기 케이불 절연층 (214)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전력케이블의 일부 절연층 (214)을 제거하고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로 상기 한 쌍의 도체를 연결한 후 복수의 절연지 내지 복합절연지를 다시 권취하여 형성하므로, 상기 케이블 절연층 (214)과 보강절연층 (310)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상대적으로 절연 성능이 취약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보강 절연층 (310)을 상기 케이블 절연층 (214) 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상기 케이블 (200)의 노출된 절연층 (214)의 외경 이상에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외층 (310D)을 형성하여 절연성능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외층 (310D)은 크래프트지에 비해 저항률이 큰 복합 절연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 절연층 (214)과 보강절연층 (310)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상대적으로 절연 성능이 취약한 영역에 집중되는 전계를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외층 (310D)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과 최외층 (310D) 사이에 복합절연지층로 이루어진 중간층 (310B , 310C)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중간층은 상기 최내층 (310A)과 최외층 (310D) 사이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제 1 중간층 (310B)과 제 2 중간층 (310C)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 Γ에서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충 (310A)만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제 1 중간층 (310B) , 제 2 중간층 (310C) 및 최외층 (310D)은 모두 복합절연지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이 절연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 1 중간층 (310B) 및 제 2 중간층 (310C)이 복합절연지로 구성된 경우, 저항율에 따라 전계가 분포되는 DC 케이블의 저항성 전계분포 특성에 따라 보강절연층의 최내층 (310A)의 크래프트지보다 저항율이 상대적으로 큰 복합절연지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중간층 (310B 제 2 중간층 (310C) 및 최외층 (310D)에 전계가 많이 분포된다. 따라서, 케이블 작동시 상대적으로 고온이 되어 절연유의 수축 /팽창이 비교적 활발히 발생함에 따라 기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전계 강도가 커서 상대적으로 절연에 취약한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에 분담되는 전계를 완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절연성능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310B ~ 310D)을 모두 복합 절연지로 지권하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 2]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절연층 (310)은 복합절연지로 이투어진 제 1 중간층 (310B)과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 2 중간층 (310C)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과 최외층 (310D)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 1 중간층 (310B)과 제 2중간층 (310C)은 각각 상기 케이블 (200)의 절연층 (214)의 제 2 절연층 (214B) 및 제 3 절연층 (214C)과 상기 케이블 (200)의 중심에서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다. 결국 '실시예 2 '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200)의 노출된 절연층 (214)의 외경 이하에서 상기 보강절연층 (310)은 상기 케이불 (200)의 절연층 (214)과 동일한 재질 및 /또는 구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 (200)의 최내층 (310A)과 최외층 (310D)은 전술한 '실시예 Γ과 마찬가지로 각각 크래프트지와 복합 절연지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은 크래프트지만을 권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중간층 (310B)과 상기 최외층 (310D)이 복합절연지로 구성되므로, 저항율에 따라 전계가 분포되는 DC 케이블의 저항성 전계분포 특성에 따라 보강절연층의 최내층 (310A)의 크래프트지보다 저항율이 상대적으로 큰 북합절연지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중간층 (310B) 및 상기 최외층 (310D)에 전계가 많이 분포된다. 따라서, 케이블 작동시 상대적으로 고온이 되어 절연유의 수축 /팽창이 비교적 활발히 발생함에 따라 기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전계 강도가 커서 상대적으로 절연에 취약한 보강절연층의 최내층 (310A)에 분담되는 전계를 완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절연성능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구성을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표 11

실시예 2 크래프트지 복합절연지 크래프트지 복합절연지 비교예 1 복합절연지 복합절연지 복합절연지 복합절연지 비교예 2 크래프트지 복합절연지 크래프트지 크래프트지 비교예 3 크래프트지 크래프트지 크래프트지 크래프트지 상기 [표 1]에서 비교예는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구성으로 '비교예 Γ은 보강절연층 (310)이 모두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구성이며, '비교예 2 '는 '실시예 2 '와 비교하여 최외층이 크래프트지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몌 '비교예 3 '은 보강절연층 (310)이 모두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에서 ② 및 ③은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구성에서 전계를 측정한 지점을 도시한다. ① 지점은 케이블 절연층 (214)의 제 1 절연층 (214A) , 제 2 절연층 (214B)과 제 3 절연층 (214C) 및 보강절연층 (310)을 통한 전계를 측정하는 지점이다. 상기 ① 지점에서 상기 보강절연층 (310)은 복합절연지를 포함하는 최외층 (310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② 지점은 케이블 절연층 (214)의 제 1 절연층 (214A) , 계 2 절연층 (214B)의 일부 및 보강절연층 (310)을 통한 전계를 측정하는 지점이다. 이때, 상기 보강절연층 (310)은 '실시예 Γ에서 복합절연지로 모두 구성되거나, 또는 '실시예 2 '에서 복합절연지로 구성된 제 1 중간층 (310B)과 크래프트지로 구성된 계 2 중간층 (310C)과 복합절연지로 구성된 최외층 (310D)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③ 지점은 상기 케이블 절연층 (214)의 제 1 절연층 (214A) 및 보강절연층 (310)을 통한 전계를 측정하는 지점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보강절연층 (310)은 '실시예 Γ에서 복합절연지로 모두 구성되거나, 또는 '실시예 2 '에서 복합절연지로 구성된 제 1 중간층 (310B)과 크래프트지로 구성된 제 2 중간층 (310C)과 복합절연지로 구성된 최외층 (310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①, ② 및 ③ 지점에서 전계를 측정하여 중간접속함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전계 분포를 도시한 각 그래프를 나타낸다. 각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케이블의 중심축에서 외부로 향하는 거리 (mm)를 도시하며, 세로축은 전계값 (kV/隱)을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 Γ의 경우에 전술한 ①, ② 및 ③ 지점에서 전계를 측정하여 중간접속함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계 분포를 도시한 각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3의 (a)가

① 지점, 도 3의 (b)가 ② 지점, 도 3의 (c)가 ③ 지점에서 각각 전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Γ의 경우에 ①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4 kV/mm ,

②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44 kV/mm , ③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96 kV/mm에 해당하여 매우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2 '의 경우에 전술한 ①, ② 및 ③ 지점에서 전계를 측정하여 중간접속함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계 분포를 도시한 각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의 (a)가

① 지점, 도 4의 (b)가 ② 지점, 도 4의 (c)가 ③ 지점에서 각각 전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2 '의 경우에 ①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56 kV/隱,

②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69 kV/mm, ③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93 kV/mm에 해당하여 매우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는 '비교예 Γ의 경우에 전술한 ①, ② 및 ③ 지점에서 전계를 측정하여 중간접속함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계 분포를 도시한 각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의 (a)가

① 지점, 도 5의 (b)가 ② 지점, 도 5의 (c)가 ③ 지점에서 각각 전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ᅳ 도 5를 참조하면, '비교예 1 '의 경우에 ①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43 kV/mm ,

②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44 kV/mm , ③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96 kV/mm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비교예 Γ의 경우에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 1 절연층 (214A) 사이 공간에 복합 절연지를 권취하여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을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330)와 케이블 절연층 (214)의 제일 안쪽에 위치한 제 1 절연층 (214A) 사이의 공간에 대웅하는 폭으로 복합절연지를 잘라서 권취해야 하므로 그 작업능를이 현저히 떨어져서 생산성이 저하된다. 나아가, 상기 복합절연지는 크래프트지와 같은 절연지와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 ene)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가 적층되어 구성되므로 상기 복합절연지를 소폭으로 자르는 경우 상기 크래프트지와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박리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또한, 상기 '비교예 1 '의 경우에 상기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이 복합절연지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중간층을 형성하는 복합절연지와 저항률 차이가 없으므로 저항성 전계분포 특성에 의한 전계 완화 효과가 없기 때문에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 내지 상기 노출된 한 쌍의 도체의 직상 전계를 측정하는 경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 (310A)을 크래프트지로 구성한 경우에 비하여 전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게 되므로 절연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도 6은 '비교예 2ᅳ의 경우에 전술한 ①, ② 및 ③ 지점에서 전계를 측정하여 중간접속함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계 분포를 도시한 각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의 (a)가

① 지점, 도 6의 (b)가 ② 지점, 도 6의 (c)가 ③ 지점에서 각각 전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 2 '의 경우에 ①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26.0 kV/mm,

②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26.0 kV/mm , ③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26.2 kV/mm에 해당하여 상기 측정한 전계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 절연 안정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비교예 2 '의 경우, 보강절연층의 최외층 (310D)을 절연지로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DC 케이블의 저항성 분포에 따르면 전계 분포는 재질의 저항률에 의존하게 되므로, 전계 분포를 보면 저항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절연지로 구성된 보강절연충 (310)의 최외층 (310D)이 절연 보강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저항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합절연지로 구성된 보강절연층의 제 1 중간층 (310B) 및 케이블 절연층 (214)의 계 2 절연층 (214B)에 전계가 국부적으로 집중되므로 절연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한편 , 도 8은 '비교예 2 '의 경우에 전계 분포를 시각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 전술한 바와 같이 전계 분포가 케이블 절연층의 제 2 절연층 (214B) 및 보강절연층 (310)의 제 1 중간층 (310B)에 집중됨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도 7은 '비교예 3 '의 경우에 전술한 ①, ② 및 ③ 지점에서 전계를 측정하여 중간접속함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계 분포를 도시한 각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7의 (a)가 ① 지점, 도 7의 (b)가 ② 지점, 도 7의 (c)가 ③ 지점에서 각각 전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 . 도 7을 참조하면 '비교예 3 '의 경우에 ①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59 kV/rnm, ②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31.5 kV/隱, ③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26.2 kV/隱에 해당하여, 상기 측정한 전계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 절연 안정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비교예 3 '의 경우에 모든 보강절연층 (310)을 크래프트지로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계 분포가 재질의 저항률에 의존하는 DC 케이블의 저항성 분포에 따라 전계 분포가 저항률이 높은 복합 절연지로 구성된 케이블 절연충 (214)의 겨 12 절연층 (214B)에 집중되므로 절연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한편, 도 9는 '비교예 3 '의 경우에 전계 분포를 시각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계 분포가 케이블 절연층의 제 2 절연층 (214B)에 집중됨을 알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8은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도체 압착슬리브로 한 쌍의 도체 (210, 210 ' )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한 쌍의 도체 (210, 210 '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 도체 압착슬리브 (330)의 도체 수용부에 상기 한 쌍의 도체 (210, 210 ' )의 각 단부가 끼워지며, 도 1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면이 압착 장치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를 파지함으로써 접속 상태를 견고히 지지하게 되며, 압착 후에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면이 고르게 다듬질되어 평평한 표면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3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름산 (332)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골 (334)을 면에 구비하고,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산 (332)이 형성된 영역이 상기 압착 장치에 의하여 압착되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330)의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각 도체의 단부를 파지하게 되며, 압착에 의해 불균일해진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330)의 ' 외면은 평탄하게 다듬질되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외면의 전계집중 내지 코로나 방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전력 케이블 (200)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상기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케이불을 포설하는 경우 등에 있어 상기 전력케이블 (200)의 하중 등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200)에 장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330)로 접속된 상기 케이불 (200)의 도체 (210, 210 ' )의 접속부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항장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압착 후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330)의 외면을 평탄하게 다듬질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330)는 단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ᅳ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330)를 압착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330) 내부에 삽입된 한 쌍의 도체 (210, 210 ' )의 단부가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도체가 서로 이격되며, 다듬질에 의해 도체 압착슬리브 (330)의 단면적이 감소된 'A ' 영역에 국부적으로 장력이 집중되어 항장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도체 (210)에서 타측의 도체 (210)로 전류가 이동하는 경로가 상기 압착슬리브 (330)의 'A ' 영역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도체가 서로 이격되고, 압착슬리브 (330)의 단면적이 감소하여 전류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줄어들게 되어 결국 'A ' 영역에 국부적인 발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열화에 의한 중간접속함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경을 단순히 확대하여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나, 압착슬리브의 외경을 확장하는 경우 중간접속함의 보강절연층을 두껍게 설계해야 하므로 중간접속부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하, 중간접속함의 크기를 종래와 같이 유지하면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체 압착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 (400)로 한 쌍의 도체 (210, 210 ' )를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도체 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도체 수용부에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가 각각 수용되며,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름산 (430)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골 (440)을 포함하는 몸체부 (450)와 상기 몸체부 (45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 (45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부 (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 (410)는 두께가 상기 한 쌍의 도체 (210, 210 ' )의 최외곽층 두께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도체 (210, 21으)의 최외곽층 두께의 의미는 상기 도체 (210 , 210 ' )가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각도체로 이루어진 경우에 최외곽에 위치한 단일 평각^선층 (210C)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체 (210, 210 ' )가 다수의 원형 소선을 연선하여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도체 (210 , 210 ' )의 최외곽에 연선된 단일 소선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 (410)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양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ᅳ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름산 (430)이 형성된 위치에 대웅되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내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름산 (430)을 가압하여 도체 압착슬리브 (330)를 압착하는 경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와 상기 한 쌍의 도체 (210, 210 ' )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부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 (410)를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내면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항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부 (41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 (400)로 상기 한 쌍 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각 단부에 상기 보강부 (410)의 두께만큼의 단차가 형성된 상기 한 쌍의 도체 (210, 210 ' )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에 끼워지고,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외면을 압착 장치로 압착하여 내면에 주름산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도체를 파지하여 접속 상태를 견고히 지지하게 되며, 압착 후에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면이 고르게 다듬질되어 평평한 표면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 (400)를 구비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 ¾은 상기 한 쌍의 도체 (210 , 210 ' ) 각 단부에서 각 도체 (210, 210 ' )를 구성하는 평각소선층 내지 소선층이 상기 보강부 (410)의 두께 ' D '에 대웅하는 만큼 제거되고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에 삽입된다. 즉, 상기 도체 (210, 210 ' )가 다수의 원형소선을 연선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외곽의 적어도 1층이 제거되고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에 삽입되며, 상기 도체 (210, 210 ' )가 평각도체로 이루어진 경우에 외곽의 적어도 하나의 평각소선층 (210C)이 제거되고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에 삽입된다. 상기 한 쌍의 도체, 즉, 각 단부에서 평각소선층 내지 소선층의 일부가 제거된 한 쌍의 도체 (210, 210 ' )가 삽입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상기 주름산 (430)이 형성된 영역을 압착 장치로 압착하면,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주름산 (430 ' ) 및 상기 주름산 (430 ' ) 사이에 형성되는 주름골 (440 ' )이 형성되어 각 도체의 단부를 파지하게 되몌 압착에 의해 불균일해진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외면은 평탄하게 다듬질되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외면의 전계 집중 내지 코로나 방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 (410)를 구비하게 되면, 상기 도체 압착술리브 (400)를 압착하고 외면을 다듬질한 경우에도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두께가 감소하여 항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 (410)를 구비한 도체 압착슬리브 (400)를 압착하고 외면을 다듬질하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 내면 중 상기 보강부 (410)가 형성되어 있는 주름골 (440 ' )에서 두께가 상기 보강부 (410)가 형성되지 않은 양단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도 11 내지 도 12의 경우에 비해 상기 한 쌍의 도체가 이격되어 장력이 집중되고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주름골 (440 ' )이 최소 두께를 가지게 되어 항장력이 약한 상기 주름골 (440' )에서의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 (410)에 의해 상기 도체 (210, 210 ' )의 접속부에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지지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허용인장하중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 (410)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경로의 면적이 증가하여 종래에 비해 발열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허용인장하중에 대한 본 출원인의 기준은 7kg/mm 2 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500kV급 전력케이블의 도체의 단면적을 2500國 2 라 하면 허용인장하중은 17.5톤 (ton)에 해당한다. 이때, 도 10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의 경우 압착 및 외면을 다듬질하기 전에 허용인장하중이 17.68톤이지만, 압착 후에 15.35톤으로 감소하여 상기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도 13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의 경우 허용인장하중이 압착 및 외면을 다듬질하기 전에 34.60톤이고, 압착 후에 32.27톤으로 상기 기준을 만족시키며 도 10의 구조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 수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는 압착 후 외면이 다듬질된 경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는 최외면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 1 절연층 (214A)의 최외면보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와 상기 제 1 절연층 (214A) 사이의 공간 내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크래프트지를 권취하여 보강절연층 (310)의 최내층 (310A)을 형성함으로써, 절연취약부에 작용하는 전계를 완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400)의 최의면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 1 절연층 (214A)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 (310A)의 최외면과 상기 제 1 절연층 (214A)의 최외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면 상기 단차가 발생한 부분에는 전계가 집중되어 절연파괴를 야기할 수 있다. 도 16 내지 18은 중간접속함의 크기를 종래와 같이 유지하면서 항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체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접속함은 상기 한 쌍의 도체 (210 , 210 ' )를 연결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500)를 구비하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500)의 내측에서 상기 한 쌍의 도체 (210, 210 ' )가 서로 접하는 도체연결부 (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체연결부 (600)는 상기 도체 (210, 210 ' )의 각 단부가 서로 대웅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서로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 도체 (210)가 돌출부 (2100)를 구비하고 타측 도체 (210 ' )는 상기 돌출부 (2100)에 대웅하는 오목부 (22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한 쌍의 도체 (210, 210 ' )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 (2100) (또는 상기 오목부 (2200) )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500)의 'IV과 'Τ 2 '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 '과 'Τ 2 '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500)의 외면에 형성된 주름산 (530)의 중앙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500)의 주름골 (540)은 상기 돌출부 (2100)에 대웅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주름골 (540)은 상기 돌출부 (2100)의 선단부 (2105)에 대웅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500)의 압착 시에 상기 도체 (210, 210 ' )의 말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경우에도 상기 도체 (21 210 ' )의 상기 돌출부 (2100)와 오목부 (2200)의 접촉면적에 의해 전류가 이동하는 경로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국부적인 발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 (210, 210 ' )의 접속부에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지지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허용인장하중이 증가하게 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