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CONSTRUCTION METHOD FOR A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USING A STEEL BOX GIRDER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139536
Kind Code:
A1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a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which constitutes a form of bridge embodying a new concept developed in order to bring out as much as possible the advantages of integral abutment bridges in which the abutments and superstructure are integrated and at the same time to compensate for restrictive conditions in use; and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a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using a steel box gird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for a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using a steel box girder, characteris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tage in which abutment-section banking work is carried out and piles are constructed and then lean concrete for the abutment foundations is cast and pile-head reinforcement is effected; a second stage in which a spread foundation is constructed and the construction of the abutment stem walls and wing walls is completed and then bridge bearings are installed; a third stage in which a steel box girder, which has been manufactured in a factory and transported to the site, is put in place and joining of the steel box girder and crossbeams is carried out on site and then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re put in place for connecting the steel box girder and end partition walls; a fourth stage in which an expansion joint filler is provided on the joining surfaces of the end partition walls and the wing walls in order to separate them; a fifth stag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of the end partition walls are put in place at the same time as the reinforcing bars of the bridge deck panel, and the bridge deck panel and the end partition walls are integrally cast; a sixth stage in which back filling is carried out on the back surfaces of the abutments; a seventh stage in which, after the back filling has been completed, a first and a second support slab are constructed and then the first support slab has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connecting slab which is coupled with the bridge deck panel and a shock-absorbing slab which connects with a main-lane paving section, and the second support slab has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shock-absorbing slab and a main-lane surfacing section; and an eighth stage in which an expansion-regulating device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slab and the shock-absorbing slab.

Inventors:
PARK YOUNG HO (KR)
KIM SUNG HWAN (KR)
KIM NAK YOUNG (KR)
LEE BYEONG JU (KR)
OK CHANG KWON (KR)
LEE WON TAE (KR)
HEO JAE HUN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424
Publication Date:
November 19, 2009
Filing Date:
January 29,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KOREA EXPRESSWAY CORP (KR)
PARK YOUNG HO (KR)
KIM SUNG HWAN (KR)
KIM NAK YOUNG (KR)
LEE BYEONG JU (KR)
OK CHANG KWON (KR)
LEE WON TAE (KR)
HEO JAE HUN (KR)
International Classes:
E01D2/04
Foreign References:
KR20020075136A2002-10-04
KR100279124B12001-01-15
KR100743832B12007-07-30
Attorney, Agent or Firm:
JEONG, NAM JIN (KR)
정남진 (KR)
Download PDF:
Claims:
교대부의 성토 작업을 실시하고 말뚝을 시공한 다음 교대 기초의 린콘크리트(lean concrete)를 타설하고 말뚝머리 보강을 실시하는 제1단계와,

확대기초를 시공하고 교대 흉벽 및 날개벽 시공을 완료한 다음 교량받침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공장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된 강박스거더를 거치시키고 강박스거더와 가로보의 현장이음을 실시한 다음 강박스거더와 단부격벽 연결을 위한 연결철근을 배근하는 제3단계와,

단부격벽과 날개벽이 분리되도록 그들의 접합면에 신축이음채움재를 설치하는 제4단계와,

교량 바닥판 철근과 동시에 단부격벽 철근을 배근하고 교량 바닥판과 단부격벽을 일체로 타설하는 제5단계와,

교대 배면에 뒷채움을 실시하는 제6단계와,

뒷채움이 완료된 후 제1, 2 받침슬래브를 시공한 다음 제1 받침슬래브 상면에 교량 바닥판과 연결되는 접속슬래브와 본선 포장부와 접속되는 완충슬래브를 시공하고 제2 받침슬래브 상면에 완충슬래브와 본선포장부를 시공하는 제7단계와,

접속슬래브와 완충슬래브 사이에 신축조절장치를 설치하고 교면을 포장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교대 배면로부터 교대 성토부를 향해 토압저감구간, 완충구간, 일반성토구간으로 나누며 토압저감구간은 점착력이 없고 내부마찰각이 작으며 입자가 비교적 둥근 골재를 이용하여 느슨하게 채우고, 완충구간은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무진동 다짐을 실시하며, 완충구간과 토압저감구간 사이에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완충구간의 토사가 토압저감구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토압증가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뒷채움부를 2단으로 나누어 교대 흉벽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부를 향해서는 안식각을 고려하여 경사지게 보조기층구간을 시공하고 연이어 성토구간을 시공하며,

교대 단부격벽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를 향해서는 토압저감구간과 일반성토구간으로 나누어 시공하되 토압저감구간은 점착력이 없고 내부마찰각이 작으며 입자가 비교적 둥근 골재를 이용하여 느슨하게 경사지게 채우고, 일반성토구간과 토압저감구간 사이에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일반성토구간의 토사가 토압저감구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토압 증가를 억제하며, 이때 부직포는 이형철근 또는 못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는,

받침슬래브를 시공한 후 받침슬래브의 좌우측에 횡구배를 고려하여 폴리에틸렌 쉬트와 유공관을 설치하고 유공관 주위에 선택층을 시공한 다음 선택층 상면에 폴리에틸렌 쉬트를 설치한 후 접속슬래브와 완충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스거더는 강박스거더를 보강하기 위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스티프너를 교대 단부와의 결합도를 높이기 위해 강박스거더의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연장하고 돌출된 스티프너의 끝단에는 정착판을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스거더의 단부 상부판에는 콘크리트의 유동 및 수직철근 배근을 위한 다수개의 관통공 또는 단부 상부판의 일부를 절단해 낸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스거더와 강박스거더 사이에는 거더를 가로방향으로 지지하면서 강성을 높여주고 교량받침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단부격벽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또는 단부격벽의 결합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격벽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Description: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를 사용하지 않고 주형으로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인트 교량은 계절적인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상부구조물의 신축량을 조절 및 해소하기 위하여 구조물 내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한다. 이 신축이음장치가 없는 교량을 무조인트 교량(Jointless Bridge)이라 하며 교대 관점에서 일체식 교대 교량(Integral Abutment Bridge)과 반일체식 교대 교량(Semi-Integral Abutment Bridge)으로 분류한다.

일체식 교대 교량의 경우에는 상부구조와 난쟁이 교대가 일체로 연결되어 상부구조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교대 기초부 말뚝의 유연성으로 흡수하는 반면에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상부구조와 교대 사이에 설치되는 유연한 교량받침(Flexibility Bearing)으로 교대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흡수 및 최소화한다.

다시 말해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일체식 교량 교량과 마찬가지로 온도변화에 의한 상부구조의 신축을 일반교량(조인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가 아닌 접속 슬래브와 본선 포장부 사이에 줄눈 형식으로 설치되는 신축조절장치(Cycle Control Joint), 교대 크기, 뒷채움재료 강성 그리고 말뚝과 거더의 연결상태로 조절하는 교량을 말한다.

이로 인해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교대부는 일반 조인트 교량의 교대와 같이 고정기초 역할로 유도하는 개념이지만 일체식 교대 교량은 고정과 힌지기초의 사이로 유도하는 개념이다.

교대부 상부구조는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뒷채움 재료의 구속력(수동토압)에 저항하기 위해서 거더가 충분히 저항하도록 교대단부의 단부격벽(End Diaphram)에 매입한다.

따라서 단부격벽의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설계시 계절적인 온도변화로 발생하는 상부구조의 신축변위로 인한 수동토압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교대부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교량형식이기 때문에 공용중 신축이음장치의 파손으로 인한 유지관리 및 교체의 필요성이 없으므로 일반 조인트 교량형식에 비해 유지관리성이 뛰어나며, 장기적인 생애주기비용 측면을 고려한 경제성도 우수하다. 또한 차량의 신축이음부 통과시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의 영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통과차량의 주행성 및 고속도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최대로 보장하는 교량형식이다.

본 발명은 교대와 상부구조가 완전히 일체화되는 일체식 교대 교량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적용상의 제한조건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개념의 교량형식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특히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대부의 성토 작업을 실시하고 말뚝을 시공한 다음 교대 기초의 린콘크리트(lean concrete)를 타설하고 말뚝머리 보강을 실시하는 제1단계와, 확대기초를 시공하고 교대 흉벽 및 날개벽 시공을 완료한 다음 교량받침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공장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된 강박스거더를 거치시키고 강박스거더와 가로보의 현장이음을 실시한 다음 강박스거더와 단부격벽 연결을 위한 연결철근을 배근하는 제3단계와, 단부격벽과 날개벽이 분리되도록 그들의 접합면에 신축이음채움재를 설치하는 제4단계와, 교량 바닥판 철근과 동시에 단부격벽 철근을 배근하고 교량 바닥판과 단부격벽을 일체로 타설하는 제5단계와, 교대 배면에 뒷채움을 실시하는 제6단계와, 뒷채움이 완료된 후 제1, 2 받침슬래브를 시공한 다음 제1 받침슬래브 상면에 교량 바닥판과 연결되는 접속슬래브와 본선 포장부와 접속되는 완충슬래브를 시공하고 제2 받침슬래브 상면에 완충슬래브와 본선포장부를 시공하는 제7단계와, 접속슬래브와 완충슬래브 사이에 신축조절장치를 설치하고 교면을 포장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6단계는, 교대 배면로부터 교대 성토부를 향해 토압저감구간, 완충구간, 일반성토구간으로 나누며 토압저감구간은 점착력이 없고 내부마찰각이 작으며 입자가 비교적 둥근 골재를 이용하여 느슨하게 채우고, 완충구간은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무진동 다짐을 실시하며, 완충구간과 토압저감구간 사이에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완충구간의 토사가 토압저감구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토압증가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6단계는, 뒷채움부를 2단으로 나누어 교대 흉벽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부를 향해서는 안식각을 고려하여 경사지게 보조기층구간을 시공하고 연이어 성토구간을 시공하며, 교대 단부격벽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를 향해서는 토압저감구간과 일반성토구간으로 나누어 시공하되 토압저감구간은 점착력이 없고 내부마찰각이 작으며 입자가 비교적 둥근 골재를 이용하여 느슨하게 경사지게 채우고, 일반성토구간과 토압저감구간 사이에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일반성토구간의 토사가 토압저감구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토압 저감을 유도하며, 이때 부직포(610)는 이형철근 또는 못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7단계는, 받침슬래브를 시공한 후 받침슬래브의 좌우측에 횡구배를 고려하여 폴리에틸렌 쉬트와 유공관을 설치하고 유공관 주위에 선택층을 시공한 다음 선택층 상면에 폴리에틸렌 쉬트를 설치한 후 접속슬래브와 완충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박스거더는 강박스거더를 보강하기 위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스티프너를 교대 단부와의 결합도를 높이기 위해 강박스거더의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연장하고 돌출된 스티프너의 끝단에는 정착판을 접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박스거더의 단부 상부판에는 콘크리트의 유동 및 수직철근 배근을 위한 다수개의 관통공 또는 단부 상부판의 일부를 절단해 낸 유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박스거더의 단부와 강박스거더의 단부 사이에는 거더를 가로방향으로 지지하면서 강성을 높여주고 교량받침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단부격벽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또는 단부격벽의 결합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격벽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교대 단면의 감소로 기초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고 뒷채움재료와의 상호거동으로 종방향 지진력을 감소시켜 내진에 유리한 구조이며 단부격벽 일체구조로 교대부 활하중 분배에 유리하다.

또한 교대 단면 축소 및 신축이음장치 미설치로 초기공사비가 감소하고 교량의 신축이음부 누수에 대한 문제점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증가되며 신축이음장치 미설치로 신축이음부 파손에 의한 보수 및 교체에 대한 유지관리비가 절감되어 경제적이다.

또한 도로 포장부 연속화로 소음 및 진동이 감소하여 차량의 주행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박스거더의 단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박스거더의 단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박스거더의 단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거더와 거더 사이에 격벽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은 크게 교대부 성토 및 기초 말뚝 매입 단계(제1단계), 교대 구체 및 날개벽 시공단계(제2단계), 강박스거더 거치단계(제3단계), 단부격벽과 거더 접합면 처리단계(4단계), 교량 바닥판 및 단부격벽 시공단계(제5단계), 뒷채움부 시공단계(제6단계), 받침슬래브 및 접속슬래브 시공단계(제7단계), 신축조절장치 설치단계(제8단계)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으로, 각 단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는 교대부의 성토 작업을 실시하고(110, 교대성토부) 말뚝(120)을 시공한 다음 교대 기초의 린콘크리트(130)를 타설하고 말뚝머리(140) 보강을 실시한다. 말뚝의 시공은 주지된 공법 중 현장상황이나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시공하면 되며, 말뚝시공시 말뚝항타소음에 영향을 받을 경우에는 양질의 지지층까지 오거로 굴착한 후 말뚝을 삽입하고 최종 항타하는 프리보링 타격말뚝공법이나 최종 압입 또는 경타하는 시멘트 밀크 공법(SIP, Soil-cement Injected Precasted piles)을 실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는 교대 구체 및 날개벽 기초(확대기초, 210)를 시공하고 교대 구체와 날개벽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대(220) 시공이 완료된 후 교량받침(230)을 설치한다. 이때, 유공관의 날개벽 관통을 위한 강관(240)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교량받침(230)으로는 공지의 교량받침 중 시공성, 경제성, 구조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교량받침으로 시공한다. 교대 구체 및 날개벽 기초는 단면을 최소화하여 작용토압을 감소하도록 한다.

제3단계는 공장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된 강박스거더를 거치시키고 강박스거더와 가로보의 현장이음을 실시한 다음 강박스거더와 단부격벽 콘크리트의 일체화를 위한 연결철근을 배근한다. 강박스거더는 교대부 기초 및 교대 시공 후 전체적인 시공일정에 맞추어 공장 제작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단계는 단부격벽과 날개벽의 접합면에 신축이음채움재(520)를 설치한다. 즉,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구조거동 특성상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서로 분리되어 상부구조 변위가 자유롭게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 단부격벽(320)과 날개벽(510)은 서로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합면에는 공간을 확보한다. 그리고 이 접합면에는 신축기능 및 방수의 목적으로 신축이음채움재(520)로 채운다. 신축이음채움재(520)로는 공지의 충진재로부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reformed Expansion Joint Filler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단계는 교량 바닥판 철근과 동시에 단부격벽 철근을 배근하고 교량 바닥판(330)과 단부격벽(320)을 일체로 타설한다. 단부격벽 횡방향 철근(도 14, 313) 조립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철근을 커플링 또는 용접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단부격벽(320)은 온도변화에 의한 교대 뒷채움부 토압에 저항하고, 상부구조 및 접속슬래브와 일체화된 구조인 교대부로 전달되는 활하중을 분배하며,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저항하게 된다.

한편, 거더를 가로방향으로 지지하면서 강성을 높여주고 교량받침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단부격벽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또는 단부격벽의 결합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거더와 거더 사이에 격벽판(350)이 설치될 수 있다(도 9, 도 17 참조). 이 격벽판(350)은 일 예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거더의 측면에 용접되는 H형강(352)을 덮개판(354)을 이용해 볼트 접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단부격벽 콘크리트와의 합성력을 높이기 위해 스티프너나 고장력 볼트(356)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를 참조하여, 강박스거더(310)와 단부격벽(320)의 접합부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강박스거더(310)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스티프너(311)를 강박스거더(310)의 단부로 돌출되도록 연장하고, 돌출된 스티프너(311)의 끝단에는 정착판(312)을 접합하며, 스티프너(311)와 강박스거더(310)의 단부에 횡방향 연결철근(313)과 수직철근(314)을 설치한 후 단부격벽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단부격벽과 강박스거더를 일체화하였다.

스티프너(31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박스거더의 상부에 위치한 스티프너(311)만을 연장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박스거더의 상부에 위치한 스티프너(311)만을 연장할 수도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박스거더의 상하부에 위치한 스티프너(311) 모두를 연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티프너(311)와 강박스거더(310)의 단부 양측판에는 연결철근(313)을 배근하기 위하여 각각 복수의 관통공(310a)(310b)을 형성하고 정착판(312)은 스티프너(311)의 끝단에 수직하게 접합된다. 그리고 강박스거더(310)의 단부 상부판에는 콘크리트의 유동 및 수직철근(314) 배근을 위한 관통공(310c)을 다수개 형성함과 아울러 단부격벽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분을 절단해 낸 유입부(315)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박스거더를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스티프너를 단부격벽과 강박스거더를 일체화하는 연결요소로 사용함으로써 단부격벽과 강박스거더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스티프너의 단부에 정착판을 접합함으로써 단부격벽과 강박스거더의 연결부에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저항하는 별도의 철근을 배근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도 10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단계는 교대 배면에 뒷채움을 실시한다. 교대 배면의 뒷채움부는 교대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부를 향해 토압저감구간(A), 완충구간(B), 일반성토구간(C)으로 나누며 토압저감구간(A)은 상부구조의 수평이동에 대한 구속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점착력이 없고 내부마찰각이 작으며 입자가 비교적 둥근재료인 강자갈이나 둥근골재 25mm 이상을 이용하여 느슨하게 채운다. 완충구간(B)은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무진동 다짐을 실시한다. 완충구간(B)과 토압저감층(A) 사이에는 부직포(610)를 설치하여 완충구간의 토사가 토압저감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밀도증가 또는 토압증가를 막는다.

한편, 뒷채움 방법은 도 10 (b)에 도시된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뒷채움부를 2단으로 나누어 교대 흉벽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부를 향해서는 안식각을 고려하여 경사지게 보조기층이나 유용토로 보조기층구간(D)을 시공하고 연이어 성토구간(E)을 시공하며, 교대 단부격벽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를 향해서는 토압저감구간(A)과 일반성토구간(C)으로 나누어 시공하되 토압저감구간은 점착력이 없고 내부마찰각이 작으며 입자가 비교적 둥근 강자갈이나 골재 25mm 이상을 이용하여 느슨하게 경사지게 채우고, 일반성토구간과 토압저감구간 사이에는 부직포(610)를 설치하여 일반성토구간의 토사가 토압저감구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토압 증가를 막는다. 이때 부직포(610)는 이형철근 또는 못(615) 등으로 고정한다.

제7단계는 뒷채움이 완료된 후 제1 받침슬래브(710)와 제2 받침슬래브(780)를 시공한 다음 접속슬래브(750)와 완충슬래브(760) 및 본선포장부(770)를 순차적으로 시공한다.

즉,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받침슬래브(710)를 시공한 후 제1 받침슬래브(710)의 좌우측에 횡구배를 고려하여 폴리에틸렌 쉬트(720)와 유공관(730)을 설치하고 유공관(730) 주위에 선택층(740)을 시공한 다음 선택층(740) 상면에 폴리에틸렌 쉬트(720)를 설치한다. 이때, 유공관(730)은 완충슬래브(760)와 접속슬래브(750) 쪽으로 침투수의 배수를 위해 설치되며, 접속슬래브(750) 하면에 설치되는 폴리에틸렌 쉬트(720)는 접속슬래브(750)로 전달되는 신축이음이 원활하게 발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받침슬래브(710)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유공관은 도로 편경사를 고려하여 결정하되 편구배를 적용한다. 여기서, 접속슬래브(750)는 활하중에 의한 교대 뒷채움부 침하를 방지하고 상부구조의 신축변위를 신축조절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제1 받침슬래브(710)는 접속슬래브(750)와 완충슬래브(760)를 지지하고 접속슬래브(750)의 부등침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부격벽의 부모멘트 발생을 억제한다.

한편,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제2 받침슬래브(780)은 본선포장부(770)와 완충슬래브(760)가 접속하는 부분의 하부에는 본선포장부(770)와 완충슬래브(760)의 단차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과 완충슬래브 단부 파손을 줄이기 위해 설치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단계는 접속슬래브(750)와 완충슬래브(760) 사이에 신축조절장치(810)를 설치하고 마지막으로 아스팔트 또는 LMC(Latex Modified Concrete)로 교면을 포장한다. 신축조절장치(Cycle Control Joint)는 일반교량의 신축이음장치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으로 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다짐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을 벗어나지 않는 제시된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고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대 단면의 감소로 기초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고 뒷채움재료와의 상호거동으로 종방향 지진력을 감소시켜 내진에 유리한 구조이며 신축이음장치 미설치로 신축이음부 파손에 의한 보수 및 교체에 대한 유지관리비가 절감되어 경제적이고 도로 포장부 연속화로 소음 및 진동이 감소하여 차량의 주행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