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CONTROLLED-RELEASE TYPE CROP PROTECTANT COMPOSITION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18/236110
Kind Code:
A1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d-release type crop protectant composition and, specifically, to a controlled-release type crop protectant composition capable of more precisely controlling the time point of release of a crop protectant in soil and, further, consecutively releasing the crop protectant at regularly-controlled time intervals.

Inventors:
LEE JUNKYU (KR)
WOO SEUNG A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857
Publication Date:
December 27, 2018
Filing Date:
June 18, 2018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LG CHEMICAL LTD (KR)
International Classes:
A01N25/26; C08J3/075; C08L33/06; C08L67/04
Domestic Patent References:
WO1996027573A11996-09-12
Foreign References:
CN102454640A2012-05-16
US5939356A1999-08-17
JP2008518869A2008-06-05
Other References:
MAJEED, ZAHID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biodegradable polymers and their blends used in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 processes", REVIEWS IN CHEMICAL ENGINEERING, vol. 31, no. 1, 4 February 2015 (2015-02-04), pages 69 - 95, XP055656268, DOI: 10.1515/revce-2014-0021
Attorney, Agent or Firm:
YOU ME PATENT AND LAW FIRM (KR)
Download PDF:
Claims:
【청구범위】

【청구항 1】

1종 이상의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포함한 활성 성분;

상기 활성 성분이 내부에 분산되어 있고, 물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 및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 상에 형성되어 있고,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한 작물보호제 제어 방출성 입자를 포함하며, ᅳ

상기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 중합체,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중합체,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공증합체 및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작물보호제는 25 °C의 온도에서 물에 대해 0.001 g/ml 이상의 용해도를 나타내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는 25 °C의 온도 및 1 atm의 압력 하에서, 고분자 입자 lg에 대해 lg 이상의 물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며, 이러한 흡수 후의 하이드로겔의 최대 부피가 흡수 전의 150 부피0 /0 이상으로 되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는 100 내지 5000 의 입경을 갖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10 내지 500; 의 두께를 갖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이의 염의 가교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청구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보호제 제어 방출성 입자를 2종 이상 포함하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청구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어 방출성 입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포함하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청구항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어 방출성 입자는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의 종류, 입경 또는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의 용해도가 서로 다르게 되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청구항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아 방출성 입자는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 개질 정도, 용해도, 토양 배양 조건 하에서의 중량 감소 속도 또는 코팅층의 두께가서로 다르게 되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청구항 11 ]

게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어 방출성 압자는 동일한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포함하되, 각 입자로부터의 작물보호제의 최대 방출 농도를 나타내는 시점이 3일 이상 차이를 갖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기술분야】

관련 출원 (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17년 6월 23일자 한국 특허 출원 게 10-2017-0079824호 및

2018년 6월 15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8-0069095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들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토양 내에서 작물보호제의 방출 시점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일정하게 제어된 시간 간격으로 작물보호제가 연속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ᅳ

【배경기술】

' 농업분야에서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비료 성분이나 해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작물보호제 등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주로 수용성을 나타내는 작물보호제를 포함한 용액 상태의 조성물을 토양에 살포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ᅳ 그러나, 이러한 살포 방식에 있어서는, 작물보호제의 효과를 장기간 지속시키기 어려우며, 토양 위 또는 토양 중에서 쉽게 씻겨 나가면서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인 살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살포의 필요성 등으로 인해, 농업 분야의 경제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또한 환경적인 문제도 보다 크게 발생할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가수분해성 물질 등을 적용한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의 개발이 고려된 바 있다. 이러한 기존의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은 주로 가수분해성 고분자 내에 작물보호제 함유 조성물을 포함시키는 형태로서, 상기 고분자의 가수분해 속도를 이용하여 작물보호제가 보다 제어된 속도로 토양 중에서 서서히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수분해 경로를 이용한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은 작물보호제의 방출 속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함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ᅳ

즉, 가수분해 고분자는 토양 중에서 물과 접촉하여 일단 가수분해 환경 하에 노출된 시점부터는 급격히 가수분해되어 작물보호제가 한번에 방출되므로, 작물보호제가 토양 내에서 보다 서서히 방출되도록 그 방출 시점을 정밀하게 제어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작물보호제의 살포 간격 및 횟수를 보다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작물보호제가 일정하게 제어된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으나, 이러한 방출 특성을 나타내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은 아직까지 제대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에 본 발명은 토양 내에서 작물보호제의 방출 시점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일정하게 제어된 시간 간격으로 작물보호제가 연속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포함한 활성 성분;

상기 활성 성분이 내부에 분산되어 있고, 물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 및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 상에 형성되어 있고,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한 작물보호제 제어 방출성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 증합체,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중합체,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및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물보호제 조성물은, 토양 중에서 수용성 작물보호제가 일정하게 제어된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 방출성 입자를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복수 종의 제어 방출성 입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의 종류, 입경 또는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의 용해도가 서로 다르게 될 수도 있으며,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 개질 정도, 용해도, 토양 배양 조건 하에서의 중량 감소 속도 또는 코팅층의 두께가서로 다르게 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 성분을 포함한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와, 이를 코팅하는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함에 따라, 토양 내에서 작물보호제의 방출 시점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원하는 속도로 서서히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의 두께 등이 서로 상이하거나,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의 특성 등을 서로 달리하는 복수 종의 제어 방출성 입자를 함께 포함한 조성물을 적용함에 따라, 이들 각각의 방출 속도를 조절하여 일정하게 제어된 시간 간격으로 작물보호제가토양 중에서 연속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할수 있다.

그 결과, 수용성 작물보호제가 토양 중 또는 토양 내에서 쉽게 씻겨 나가지 않고, 서서히 원하는 시간 간격으로 토양 중에 방출되어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의 살포 간격을 크게 늘리고 살포 횟수를 크게 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농업 분야의 경제성이나 친환경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 특히, 이에 포함되는 제어 방출성 입자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상물, 특히, 이에 포함되는 제어 방출성 입자가 토양 중에서 터져 작물보호제를 제어된 속도로 방출시키는 기술적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에서, 서로 다른 두께의 코팅층을 갖는 복수 종의 제어 방출성 입자를 사용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과 같은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을 사용하였을 때, 이들 각각의 입자가 서로 다른 속도로 작물보호제를 방출시킴에 따라, 일정하게 제어된 시간 간격으로 작물보호제가 토양 중에서 연속적으로 방출되는 특성을 나타냄을 보여주는 방출 특성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입자를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시험예 1에서 실시예 1의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입자의 방출 특성을 확인한 모습을 개략^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에 대해 보다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1종 이상의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포함한 활성 성분;

상기 활성 성분이 내부에 분산되어 있고, 물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 및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 상에 형성되어 있고,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한 작물보호제 제어 방출성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 중합체,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중합체,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및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현예의 조성물은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 내에 분산시켜 건조하고, 이러한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 표면에 소수성 /생분해성을 함께 나타내는 특정 고분자 코팅층을 적용하여 제조된 제어 방출성 입자를 1종 이상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어 방출성 입자를 포함한 일 구현예의 조성물이 토양에 살포되면, 상기 소수성 고분자 코팅층으로 인해 일정 기간 동안에는 제어 방출성 입자 내부의 작물보호제가 토양 중에 방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살포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고분자 코팅층의 생분해성으로 인해 토양 중의 미생물 등에 의해 상기 고분자 코팅층이 서서히 분해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 분해 및 이에 따라 코팅층에 일부 균열이 발생하면, 토양 중의 수분이 제어 방출성 입자 내부로 침투하여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를 서서히 부풀어오르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팽창하면서, 고분자 코팅층의 균열이 점점 더 커지게 되며,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 내부로부터 수용성 작물보호제가 토양 중의 물에 의해 용해되어 토양 중으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출 원리로 인해, 일 구현예의 조성물을 살포하면, 상기 수용성 작물보호제가 원하는 제어된 속도로 서서히 토양 중에 방출되면서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일 구현예의 조성물에서, 소수성 /생분해성을 적절한 정도로 나타내는 특정한 고분자 코팅층을 사용함에 따라, 작물보호제의 방출 속도를 매우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작물보호제가 포함된 고흡수성 수지 등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를 복수로 포함하고, 이러한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들이 생분해성 패킷 (봉투) 내에 존재하는 상태로 사용되는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이 이전에 알려진 바 있다 (미국 공개 특허 공보 제 2007-0167327 호).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은 생분해성 패킷이 토양 내에서 분해됨에 따라, 그 안에 존재하는 다수의 고분자 입자들이 동시에 토양에 노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물보호제를 원하는 속도로 서서이 토양 중에 방출시키기 어려우며, 작물보호제의 방출 속도를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비해, 일 구현예의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제어 방출성 입자 상에 별도의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함에 따라, 작물보호제의 방출 속도를 보다 정밀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방출 속도의 제어 특성은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012, Vol. 93, p31-37, Kinetics of monomer biodegradation in soil"에 기재된 각 단량체별 토양 중 생분해 특성으로부터 예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구현예의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작물보호제의 토양 중으로의 방출이 원하는 속도로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매우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서로 다른 두께의 코팅층을 갖는 복수 종의 제어 방출성 입자를 사용하거나, 다른 예에서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의 종류나 작물보호제의 함량 등을 서로 달리한 복수 종의 제어 방출성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 복수 종의 제어 방출성 입자가 서로 다른 속도로 (즉, 상이한 경과 시간에서) 작물보호제를 방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복수 종의 제어 방출성 입자를 포함한 일 구현예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이들 각각의 제어 방출성 입자가 서로 다른 속도로 작물보호제를 방출시킴에 따라, 일정하게 제어된 시간 간격으로 작물보호제가토양 중에서 연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현예의 조성물을 적용하면, 수용성 작물보호제가 토양 중 또는 토양 내에서 쉽게 씻겨 나가지 않고, 서서히 원하는 시간 간격으로 토양 중에 방출되어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의 살포 간격을 크게 늘리고 살포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하, 일 구현예의 조성물을 각 성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 구현예의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으로 포함되는 수용성 작물보호제는 이전부터 사용되던 임의의 수용성 작물보호제, 농약 또는 비료 성분 등으로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에서, 상기 수용성 작물 보호제는 상기 제어 방출성 입자의 코팅층에 균열이 생겼을 때, 토양 중으로 적절히 방출될 수 있도록, 상온 (25 ° C)의 온도에서 물에 대해 0.001 g/ml 이상, 흑은 0.001 g/ml 내지 1 g/ml의 용해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수용성 작물보호제의 예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 나열된 작물보호제 중 1종 이상을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수용성 및 토양 중에서 적절한 방출 특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작물보호제, 비료 또는 농약성분으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상기 작물보호제 중, 적합한 농업적 활성 성분의 일 예로는, 2-페닐페놀; 8-히드록시퀴놀린 설페이트; AC 382042; 암펠로마이세스 퀴스콸리스 (Ampelomyces quisqualis); 아자코나졸 (Azaconazole); 아족시스트로빈 (Azoxystrobin); 바실러스 섭틸리스 (Bacillus subtilis); 베날락실 (Benalaxyl); 베노밀 (Benomyl); 비페닐; 베테르타놀 (Bitertanol); 블라스티시딘 -S(Blasticidin-S); 보르도 (Bordeaux) 흔합물; 보락스 (Borax); 브로무코나졸 (Bromuconazole); 부피리메이트 (Bupirimate); 칼복신 (Calboxin); 칼슘 폴리설파이드; 캡타폴 (Captafol); 캡탄 (Captan); 카르벤다짐 (Carbendazim); 카르프로판미드 (Carpropanmid)(KTU 3616); CGA 279202; 키노메티오나트 (Chinomethionat); 클로로탈로닐 (Chlorothalonil); 클로졸리네이트 (Chlozolinate); 구리 히드록시드; 구리 나프테네이트; 구리 옥시클로라이드; 구리 설페이트; 산화제일구리; 사이목사닐 (Cymoxanil); 사이프로코나졸 (Cyproconazole); 사이프로디닐 (Cyprodinil); 다조메트 (Dazomet); 데바카르브 (Debacarb); 디클로플루아니드 (Dichlofluanid); 디클로메진 (Dichlomezine); 디클로로펜 (Dichlorophen); 디클로사이메트 (Diclocymet); 디클로란 (Dicloran); 디에토펜카르브 (Diethofencarb); 디페노코나졸 (Difenoconazole); 디펜조콰트 (Difenzoquat); 디펜조콰트 메틸설페이트 (Difenzoquat metilsulfate); 디플루메토림 (Diflumetorim); 디메티리몰 (Dimethirimol); 디메토모르프 (Dimethomorph); 디니 _3나졸 (Diniconazole); 디니코나졸 -M(Diniconazole-M); 디노부톤 (Dinobuton); 디노캡 (Dmocap); 디페닐아민 (diphnenylamine); 디티아논 (Dithianon); 도데모르프 (Dodemorph); 도데모르프 아세테이트; 도딘 (Dodine); 도딘 비함유 베이스 (base); 에디펜포스 (Edifenphos); 에폭시코나졸 (Epoxiconazole)(BAS480F); 에타설포카르브 (Ethasulfocarb); 에티리몰 (Ethirimol); 에트리디아졸 (Etridiazole); 파목사돈 (Famoxadone); 페나미돈 (Fenamidone); 페나리몰 (Fenarimol); 펜부코나졸 (Fenbuconazole); 펜핀 (Feniin); 펜푸람 (Fenf mm); 펜핵사미드 (Fenhexamid); 펜피클로닐 (Fenpickmil); 펜프로피딘 (Fenpropidin); 펜프로피모르프 (Fenpropimorph); 펜틴 아세테이트 (Fentin acetate); 펜틴 히드록시드 (Fentin hydroxide); 페르밤 (Ferbam); 페림존 (Ferimzone); 플루아지남 (Fluazinam); 플루디옥소닐 (Fludioxonil); 플루오로이미드 (Fluoroimide); 플루퀸코나졸 (Fluquinconazole); 플루실라졸 (Flusilazole); 플루설파미드 (Flusulfamide); 플루를라닐 (Flutolanil); 플루트리아폴 (Flutriafol); 폴펫 (Folpet); 포름알데히드; 포세틸 (Fosetyl); 포세틸 -알루미늄; 푸베리다졸 (Fuberidazole); 푸랄락실 (Furalaxyl); 푸사림 옥시스포룸 (Fusarium oxysporum); 글리오클라디움 비렌스 (Gliocladium virens); 과자틴 (Guazatine); 과자틴 아세테이트; GY-81; 핵사클로로벤젠; 핵사코나졸; 히멕사졸 (Hymexazol);

ICIA0858; IKF-916; 이마잘릴 (Imazalil); 이마잘릴 설페이트; 이미벤코나졸 (Imibenconazole); 이미녹타딘 (Iminoctadine); 이미녹타딘 트리아세테이트; 이미녹타딘 트리스 [알베실레이트 (Albesilate)]; 이프코나졸 (Ipconazole); 이프로벤포스 (Iprobenfos); 이프로디온 (Iprodione); 이프로발리카르브 (Iprovalicarb); 카수가마이신 (Kasugamycin); 카수가마이신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레이트; 크레스옥심 -메틸 (Kresoxim-methyl); 만코퍼 (Mancopper); 만코제브 (Mancozeb); 마네브 (Maneb); 메파니피림 (Mepanipyrim); 메프로닐 (Mepronil); 염화제이수은; 산화제이수은; 염화제일수은; 메탈락실 (Metalaxyl); 메탈락실 -M; 메탐 (Metam); 메탐-소듐; 메트코나졸 (Miconazole); 메타설포카르브 (Methasulfocarb);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티람 (Metiram); 메토미노스트로빈 (Metominostrobin)(SSF-126); MON65500; 마이클로트부타닐 (Myclotbutanil); 나밤 (Nabam); 나프텐산 (naphthenic acid); 나타마이신 (Natamycin); 니켈 비스 (디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니트로탈 (Nitrothal)-이소프로필; 누아리몰 (Nuarimol); 옥틸리논 (Octhilinone); 오푸레이스 (Oforace); 올레산 (지방산); 옥사딕실 (Oxadixyl); 옥신 -구리 (Oxine-copper); 옥시카르복신 (Oxycarboxin); 펜코나졸 (Penconazole); 펜시큐론 (Pencycuron); 펜타클로로페놀 (Pentachlorophenol); 펜타클로로페닐 라우레이트; 퍼푸라조에이트 (Perfiirazoate); 페닐머큐리 아세테이트; 플레바이옵시스 기간테아 (Phlebiopsis gigantea); 프탈리드 (Phthalide); 피페랄린 (Piperalin); 폴리옥신 B(polyoxin B); 폴리옥신; 폴리옥소림 (Polyoxorim); 포타슴 히드록시퀴놀린 설페이트; 프로베나졸 (Probenazole); 프로클로라즈 (Prochlomz); 프로사이미돈 (Procymidone); 프로파모카르브 (Propamocarb); 프로파모카르브 히드로클로라이드; 프로피코나졸 (Propiconazole); 프로피네브 (Propineb); 피라조포스 (Pyrazophos); 피리부티카르브 (Pyributicarb); 피리페녹스 (Pyrifenox); 피리메타닐 (Pyrimethanil); 피로퀼론 (Pyroquilon); 퀴녹시펜 (Quinoxyfen); 퀸토젠 (Quintozene); RH-7281; 세크 -부틸아민; 소듐 2-페닐페녹시드; 소듐 펜타클로로페녹시드; 스피록사민 (Spiroxamine)(KWG 4168);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오비리디스 (Streptomyces griseoviridis); 황; 타르 오일; 테부코나졸 (Tebuconazole); 테크나젠 (Tecnazene); 테트라코나졸 (Tetraconazole); 티아벤다졸 (Thiabendazole); 티플루자미드 (TWfluzamide); 티오파네이트-메틸 (Thiophanate-methyl); 티람 (Thiram); 를클로포스 -메틸 (Tolclofos-methyl); 를릴플루아니드 (Tolylfluanid); 트리아디메폰 (Triadimefon); 트리아디메놀 (Triadimenol); 트리아족시드 (Triazoxide);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 (Trichoderma harzianum); 트리시클라졸 (Tricyclazole); 트리데모르프 (Tridemorph); 트리플루미졸 (Triflumizole); 트리포린 (Triforine); 트리티콘졸 (Triticonzole); 발리다마이신 (Validamycin); 빈클로졸린 (vinclozolin); 아연 나프테네이트; 지네브 (Zineb); 지람 (Ziram); 화합물명 메틸

(Ε,Ε)-2-(2-(1-(1-(2-피리딜)프로필옥시이미노) -1-시클로프로필메틸옥시메틸)페닐) - 3

-에톡시프로페노에이트 및 3-(3,5-디클로로페닐 )- 4 -클로로피라졸을 갖는 화합물; 2-아닐리노 -4-메틸 -6-시클로프로필피리미딘;

2',6'-디브로모 -2-메틸 -4'-트리플루오로메록시 -4'-트리플루오로메틸 -1,3-티아졸 -5-카 르복스아닐리드; 2,6-디클로로 -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벤즈아미드;

(E)-2-메톡스이미노 -N-메틸 -2-(2-페녹시페닐) -아세트아미드; 8-히드록시퀴놀린 설페이트;

메틸 (E)-2-{2-[6-(2-시아노페녹시 ) -피리미딘 -4-일옥시]페닐 }-3-메록시아크릴레이트; 메틸 (E) -메록스이미노 [알파 -(0-를릴옥시 )_ 0 _를릴]아세테이트; 2-페닐페놀 (OPP), 암프로필포스, 아닐라진, 베노다닐 (benodanil), 비나파크릴 (binapacryl), 부티오베이트 (buthiobate), 카르복신 (carboxin), 퀴노메티오네이트, 클로로네브 (chloroneb), 클로로피크린 (chloropicrin), 큐프라네브 (cufraneb), 사이프로푸람 (cyproi ram), 디클로부트라졸 (diclobutrazole), 디클로플루아니드 (dichlofluanid), 디피리티온 (dipyrithione), 디탈림포스 (ditalimfos), 드라족솔론 (d razoxo l one ), 페니트로판 (fenitropan), 프탈리드 (fthalide), 푸르메시클록스 (fUrmecyclox), 이소프로티올란 (isoprothiolane), 메트푸록삼 (methfUroxam), 메트술포박스 (metsulfovax), 옥사모카르브 (oxamocarb), 페푸라조에이트 (peforazoate), 펜코나졸 (penconazole), 포스디펜 (phosdiphen), 피마리신 (pimaricin), 테클로프탈람 (tecloftalam), 티시오펜 (thicyofen), 트리클라미드 (trichlamide), 트리플록시스트로빈 (trifloxystrobin),

2-[2-(1-클로로시클로프로필) -3-(2-클로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 ]-2,4-디히드로 -[1, 2 ,4]-트리아졸 -3-티온

3-(1-[2-(4-[2-클로로페녹시 )-5-플루오로피리미드 -6-일옥시) -페닐 ]-1- (메록스이미노) - 메틸 )_ 5 ,6-디히드로 -1,4,2-디옥사진 또는 N-메틸 -2-(2-[6-(3-클로로 -2-메틸페녹시) -5-플루오로피르미드 -4-일옥시]페닐) -2-메특 스이미노아세트아미드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물보호제로 사용 가능한 농업적 활성 성분의 다른 예로는, 아바멕틴 (Abamectin); 아세페이트 (Acephate); 아세트아미프리드 (Acetamiprid); 올레산; 아크리나트린 (Acrinathrin); 알디카르브 (Aldicarb); 알라니카르브 (Alanycarb); 알레트린 (Allethrin)[(lR) 이성질체]; α -사이퍼메트린 ( a -Cypermethrin); 아미트라즈 (Amitraz); 아버멕틴 Bl(Avermectin

B1) 및 이의 유도체, 아자디라크틴 (Azadirachtin); 아자메티포스 (Azamethiphos); 아진포스 -에틸 (Azinphos-ethyl); 아진포스메틸; 바실러스 투리기엔시 (Bacillus thurigiensi); 벤디오카르브 (Bendiocarb); 벤푸라카르브 (Benfiiracarb); 벤술랩 (Bensultap); β -사이플루트린 ( β -cyfluthrin); β _사이퍼메트린 (β -cypermethrin); 비페나제이트 (Bifenazate); 비펜트린 (Bifenthrin); 비오알라트린 (Bioallathrin); 비오알레트린 (Bioallethrin)(S-시클로펜틸 이성질체); 비오레스메트린 (Bioresmethrin); 보락스 (Borax); 부프로페진 (Buprofezin); 부토카르복심 (Butocarboxim); 부특시카르복심 (Butoxycarboxim); 피페로닐 부특시드; 카두사포스 (Cadusafos); 카르바릴 (Carbaryl); 카르보푸란 (Carbof ran); 카르보술판 (Carbosulfan); 카르탭 (Cartap); 카르탭 히드로클로라이드 (Cartap hydrochloride); 코르단 (Chordane); 크로르에톡시포스 (Chlorethoxyfos); 클로르페나피르 (Chlorfenapyr); 클로르펜비른포스 (Chlorfenvirnphos); 클로르플루아주론 (Chlorfluazuron); 클로르메포스 (Chlormephos); 클로로피크린 (Chloropicdn); 클로르피리포스 (Chlorpyrifos);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염화제일수은; 쿠마포스 (Coumaphos); 크리올라이트 (Cryolite); 크리오마진 (Cryomazine); 시아노 i스 (Cyanophos); 칼슘 시아니드; 소듬 시아니드; 시클로프로트린 (Cycloprothrin); 사이플루트린 (Cyfluthrin); 사이할로트린 (Cyhalothrin); 사이퍼메트린 (cypermethrin); 사이페노트린 (cyphenothrin)[(lR) 트랜스이성질체]; 다조메트 (Dazomet); DDT; 델타메트린 (Deltamethrin); 데메톤 -S-메틸 (Demeton-S -methyl); 디아펜티우론 (Diafenthiuron); 디아지논 (Diazinon); 에틸렌 디브로마이드;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디클로르보스 (Dichlorvos); 디코폴 (Dicofol); 디크로토포스 (Dicrotophos); 디플루벤주론 (Diflubenzuron); 디메토에이트 (Dimethoate); 디메틸빈포스 (Dimethylvinphos); 디오페놀란 (Diofenolan); 디술포톤 (Disulfoton); DNOC; DPX-JW062 및 DP; 엠펜트린 (Empenthrin)[(EZ)-(lR) 이성질체]; 엔도술판 (Endosulfan); ENT 8184; EPN; 에스펜발러레이트 (Esfenvalerate); 에티오펜카르브 (Ethiofencarb); 에티온 (Ethion); 화합물명

5-아미노 -3-시아노 -1-(2,6-디클로로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에틸술피닐피라졸 을 갖는 에티프롤 (Ethiprole); 에토프로포스 (Ethoprophos); 에토펜프록스 (Etofenprox); 에록사졸 (Etoxazole); 에트림포스 (Etrimfos); 팜푸르 (Famphur); 페나미포스 (Fenamiphos); 페니트로티온 (Fenitrothion); 페노부카르브 (Fenobucarb); 페녹시카르브 (Fenoxycarb); 펜프로파트린 (Fenpropathrin); 펜티온 (Fenthion); 펜발러레이트 (Fenvalerate); 피프로닐 (Fipronil) 및 아릴피라졸과의 화합물; 플루시클록수론 ((Flucycloxuron); 플루시트리네이트 (Flucythrinate); 플루페녹수론 (Flufenoxuron); 플루펜프록스 (Flufenprox); 플루'메트린 (Flumethrin); 플루오펜프록스 (Fluofenprox); 소듐 플루오라이드; 술푸릴 플루—오라이드; 포노포스 (Fonofos); 포르메타네이트 (Formetanate); 포르메타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포르모티온

(Formothion); 푸라티오카르브 (Fumthiocarb); 감마 -HCH; GY-81 ; 할로페노지드 (Halofenozide); 헵타클로르 (Heptachlor); 헵테노포스 (Heptenophos); 핵사플루무론 (Hexaflumuron); 소듐 핵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타르 오일; 석유 오일; 히드라메틸논 (Hydramethylnon); 수소 시아니드; 히드로프렌 (Hydroprene); 이미다클로프리드 (Imidacloprid); 이미프로트린 (Imiprothrin); 인독사카르브 (Indoxacarb); 이사조포스 (Isazofos); 이소펜포스 (Isofenphos); 이소프로카르브 (Isoprocarb); 메틸 이소티오시아날; 이속사티은 (Isoxathion); 람다 -사이할로트 린 (lambda-Cyhalothrin); 펜타클로로페닐 라우레이트; 루페누론 (Lufenuron); 말라티온 (Malathion); MB-599; 메카르밤 (Mecarbam); 메타크리포스 (Methacrifos); 메타미도포스 (Methamidophos); 메티다티온 (Methidathion); 메티오카르브 (Methiocarb); 메토밀 (Methomyl); 메토프렌 (Methoprene); 메톡시클로르 (Methoxychlor); 메톨카르브 (Metolcarb); 메빈포스 (Mevinphos); 밀베멕틴 (Milbemectin) 및 이의 유도체; 모노크로토포스 (Monocrotophos); 날레드 (Naled); 니코틴; 니텐피람 (Nitenpyram); 니티아진 (Nithiazine); 노발루론 (Novaluron); 오메토에이트 (Omethoate); 옥사밀 (Oxamyl); 옥시데메톤 -메틸 (Oxydemeton-methyl); 파에실로마이세스 푸모소로세우스 (Paecilomyces fumosoroseus); 파라티온 (Parathion) 파라티온 -메틸 (Parathion-methyl); 펜타클로로페놀; 소듐펜타클로로페녹시드 퍼메트린 (Permethrin); 페노트린 (Penothrin) [(1R)-트랜스 -이성질체] 펜토에이트 (Phenthoate); 포레이트 (Phorate); 포살론 (Phosalone); 포스메트 (Phosmet) 포스파미돈 (Phosphamidon); 포스핀; 알루미늄 포스피드; 마그네슘 포스피드 아연 포스피드; 폭심 (Phoxim); 피리미카르브 (Pirimicarb) 피리미포스 -에틸 (Pirimiphos-ethyl); 피리미포스 -메틸 (Pirimiphos-methyl); 칼슴 폴리술파이드; 프랄레트린 (Prallethrin); 프로펜포스 (Profenfos) 프로파포스 (Propaphos); 프로페탐포스 (Propetamphos); 프로폭수르 (Propoxur): 프로티오포스 (Prothiofos); 피라클로포스 (Pyraclofos); 피레트럼 (pyrethrum) 피레트로진 (Pyretrozine); 피리다벤 (Pyridaben); 피리다펜티온 (Pyridaphenthion) 피리미디펜 (Pyrimidifen); 피리프록시펜 (Pydproxyfen); 퀴날포스 (Quinalphos) 레스메트린 (Resmethrin); RH-2485; 로테논 (Rotenone); RU 15525 실라플루오펜 (Silafluofen); 술코푸론 -소듐 (Sulcoforon-sodium); 술포텝 (Sulfotep) 술포르아미드 (sulforamide); 술프로포스 (Sulprofos)

T a -플루발리네이트 (Ta-fluvalinate); 테부페노지드 (Tebufenozide): 테부피림포스 (Tebupirimfos); 테플루벤주론 (Teflubenzuron); 테플루트린 (Tefluthrin): 테메포스 (Temephos); 테르부포스 (Terbufos) 테트라클로르빈포스 (Tetrachlorvinphos); 테트라메트린 (Tetramethrin) 테트라메트린 [(1R) 이성질체]; Θ -사이퍼메트린 ( θ -cypermethrin) 티아메톡삼 (Thiametoxam); 티오시클람 (Thiocyclam); 티오시클람 수소 옥살레이트 티오디카르브 (Thiodicarb); 티오파녹스 (Thiofanox); 티오메톤 (Thiometon) 트랄로메트린 (Tralomethrin); 트랜스플루트린 (Transfluthrin); 트리아자메이트 (Triazamate); 트리아조포스 (Triazophos); 트리클로르폰 (Trichlorfon); 트리플루무론 (Triflumuron); 트리메타카르브 (Trimethacarb); 바미도티온 (Vamidothion); XDE-105; XMC; 크실릴카르브 (Xylylcarb); 제타-사이퍼메트린 (Zeta-cypermethrin); ZXI 8901; 화합물명이

3 _아세틸ᅵ 5 ᅵ아미노 -1-[2,6-디클로로 -4-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2-메틸술피닐피라졸 인 화합물; 알파메트린 (alphamethrin), AZ 60541, 아진포스 A(azinphos A), 아진포스 M, 아조시클로틴 (azocyclotin),

4-브로모 -2-(4-클로로페닐) -1- (에톡시메틸 )-5- (트리플루오로메틸 )-1Η-피롤 -3-카르보 니트릴, BPMC, 브로펜프록스 (brofenprox), 브로모포스 A(bromophos A), 부펜카르브 (bufencarb), 부틸피리다벤 (butylpyridaben), 카르보페노티온 (carbophenothione), 클로에토카르브 (chloethocarb),

N-[(6-클로로 -3-피리디닐) -메틸] -Ν'-시아노 -Ν-메틸에탄이미다미드,

클로사이트린 (clocythrin), 클로펜테진 (clofentezin), 사이핵사틴 (cyhexatin), 사이로마진 (cyromazin), 클로티아니딘 (clothianidin), 데메톤 -M(demeton-M), 데메톤 -S, 디클로펜티온 (dichlofenthion), 디클리포스 (dicliphos), 디에티온 (diethion), 디옥사티은 (dioxathion), 에마멕틴 (emamectin), 에스펜발러레이트 (esfenvalemte), 페나자

퀸 (fenazaquin), 펜부타틴 옥시드 (fenbutatin oxide), 페노티오카르브 (fenothiocarb), 펜피라드 (fenpyrad), 펜피록시메이트 (fenpyroximate), 플루아주론 (fluazuron), 플루발리네이트 (fluvalinate), 포스티아제이트 (fosthiazate), 푸브펜프록스 (fUbfenprox), 핵시티아족스 (hexythiazox), 이프로벤포스 (iprobenfos), 이베르멕틴 (ivermectin), 메술펜포스 (mesulfenphos), 메트알데히드 (metaldehyde), 목시덱틴 (moxidectin), NC 184, 옥시데프로포스 (oxydeprofos), 프로메카르브 (promecarb), 프로토에이트 (prothoate), 피메트로진 (pymetrozin), 피레스메트린 (pyresmethrin), 살리티온 (salithion), 세부포스 (sebufos), 테부펜피라드 (tebufenpyrad), 테부피리미포스 (tebupirimiphos), 테르밤 (terbam), 티아클로프리드 (thiacloprid), 티아페녹스 (thiafenox), 티아메톡삼 (thiamethoxam), 티오메톤 (thiomethon), 투린기엔신 (thuringiensin), 트리아라텐 (triarathen), 트리아주론 (triazuron), 트리클로르폰 (trichlorfon) 또는 제타메트린 (zetamethrin) 등을 들 수 있다. .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조성물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는 25 ° C의 온도 및 latm의 압력 하에서, 고분자 입자 lg에 대해 lg 이상, 예를 들어, 1 내지 7g의 물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며, 이러한 흡수 후의 하이드로겔의 최대 부피가 흡수 전의 150 부피 0 / 0 이상, 흑은 150 내지 700 부피%로 되는 수 팽창 /팽윤 특성을 갖는 고분자 입자로 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제어 방출성 입자의 코팅층에 균열이 생겼을 때, 이의 부피 팽창에 의해 상기 균열이 점점 더 커질 수 있고, 그 결과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 내의 작물보호제 방출 속도가서서히 증가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의 대표적인 예로는, 이전부터 기저귀 등 위생재나 보수재 둥에 적용되어, 물을 흡수하여 팽윤 /팽창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아크릴산 또는 이의 염의 가교 중합체 둥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술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흡수성 /수 팽윤성 /수 팽창성 고분자를 별다른 제한 없이 모두사용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포함한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는

100 내지 5000 μΆ, 흑은 500 내지 5000 의 입경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입경이 지나치게 작아지면, 작물보호제의 방출 속도가 제대로 제어되지 못할 수 있고, 반대로 입경이 지나치게 커지면 작물보호제의 방출 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포함한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는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부터 위생재 또는 보수재 등에 적용되던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를 작물보호제 함유 용액에 침지시킨 후, 이를 다시 용액으로부터 빼내어 건조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이때, 적절한 건조 조건 등은 일반적인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의 건조 조건 등에 따를 수 있다.

일 구현예의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은 상술한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포함한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 상에 형성된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코팅층은 상기 일 구현예의 조성물이 작물보호제의 적절한 제어 방출 특성 /속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폴리락타이드 중합체,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중합체 ,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및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 (단일 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할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코팅층은 상기 작물보호제의 적절한 제어 방출 특성 /속도가 발현되도록 10 내지 500 , 흑은 100 내지 5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고분자 코팅층은 각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술한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 상에 도포 /코팅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일 구현예의 조성물은 1종의 제어 방출성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특성 /형태 등을 갖는 2종 이상의 제어 방출성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이러한 복수 종의 제어 방출성 입자들이 서로 다른 방출 속도 및 /또는 방출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 일 구현예의 조성물을 살포하였을 때,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이들 각각의 제어 방출성 입자가 서로 다른 속도로 작물보호제를 방출시킴에 따라, 일정하게 제어된 시간 간격으로 작물보호제가 토양 중에서 연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할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에서, 상기 각각의 제어 방출성 입자는 동일한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포함하되, 각 입자로부터의 작물보호제의 최대 방출 농도를 나타내는 시점이 3일 이상 차이, 혹은 7 일 내지 180일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로서, 도 4와 같이 일정하게 제어된 시간 간격으로 작물보호제가 토양 중에서 연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하여 작물보호제 조성물의 살포 횟수를 보다 줄이고 살포 간격을 크게 늘리더라도, 여러 번 살포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2종 이상의 제어 방출성 입자가 서로 다른 방출 특성 /속도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이들 복수 종의 제어 방출성 입자의 다양한 조성, 형태 또는 특성 등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일 예에서, 상기 각각의 제어 방출성 입자는 동일한 작용을 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각각 포함하거나, 동일한 수용성 작물보호제를 서로 다른 농도로 포함할수 있다.

다른 일 예에서 , 상기 각각의 제어 방출성 입자는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입자의 종류, 입경 또는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의 용해도가 서로 조절되어, 서로 다른 방출 특성 및 /또는 속도 등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예에서, 상기 각각의 제어 방출성 입자는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 개질 정도, 용해도, 토양 배양 조건 하에서의 중량 감소 속도 또는 코팅층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조절될 수도 있으며, 코팅층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코팅층의 두께를 서로 달리하여 방출 속도 /시간 간격을 서로 다르게 제어함에 따라, 일 구현예의 조성물이 살포되었을 때, 일정하게 제어된 시간 간격으로 작물보호제가토양 중에서 연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할수 있다 (도 4 참조).

추가로, 한국 등록 특허 제 1397853 호 등을 참고하면,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의 말단 캡핑 둥 개질 정도나, 공중합 비율 또는 장쇄 탄화수소기의 탄소수 둥을 조절하더라도, 상기 소수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와, 이로부터 형성된 코팅층의 생분해 속도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도, 작물보호제의 방출 속도 /시간 간격을 서로 다르게 제어함에 따라, 일 구현예의 조성물이 살포되었을 때, 일정하게 제어된 시간 간격으로 작물보호제가토양 중에서 연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할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일 구현예의 조성물을 1회 또는 최소화된 횟수로 살포하더라도, 일정하게 제어된 시간 간격으로 작물보호제가 연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물보호제 조성물의 살포 횟수나 간격을 최적화하여 농업 분야의 경제성 /친환경성에 크게 기여할수 있다.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를 제조하였다. 참고로, 도 5에는 실시예 1에서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입자를 형성하는 과정을 사진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시예 1에서는 제어 방출 특성을 육안으로 보다 명확히 평가하기 위해, 수용성 작물보호제 대신 수용성 염료 (제조사: 현대케미컬; 제품명: DS모델)를 사용하였다.

먼저, 수용성 염료 2mg을 20mL D.I. water에 넣은 후 1시간 동안 sonication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고흡수성 수지 베이스 분말 (엘지화학사제, 상품명: GS4800G) lg을 수용성 염료의 수용액 7g에 넣어 흔합시켰다. 이로서, 수용성 염료가 상기 고흡수성 수지 분말 내에 흡수되어 포함된 상태로, 수용성 염료가 포함된 함수겔이 제조되었다 (도 5의 첫 번째 사진).

이후, 각각의 함수겔을 일정한 입자 모양으로 만들어 분리하고

185 ° C에서 40min동안 건조시켰다 (도 5의 두 번째 사진).

생분해성.고분자 물질인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중합체 (Mw: 150,000 제조사: 엘지화학사제)를 MC에 20wt% 농도로 녹여 중합체 용액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중합체 용액을 상기 건조를 통해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입자를 포함한 함수겔 상에 적가하여, 상기 입자 상에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중합체 용액을 코팅하였다. 이후, 용매 건조를 위해 1 시간 동안 45 ° C에서 방치한 후, 입자 /함수겔의 방향을 반대쪽으로 돌려 동일한 과정을 통해 다시 코팅 /건조를 진행하였다.

위 과정을 통해, 실시예 1의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입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도 ' 5와 세 번째 사진). 시험예 1: 제어 방출 특성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입자의 제어 방출 특성을 다음의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참고로, 도 6에는 시험예 1에서 실시예 1의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입자의 방출 특성을 확인한 모습을 개략적인 사진으로 도시하였다.

먼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입자에서, 물리적 힘을 가하여 고분자 코팅층에 틈 (crack)을 인위적으로 생성시켰다 (이는 생분해성 고분자 코팅층의 분해에 의해 틈 (crack)이 생긴 경우를 모사한 것이다 .). 이후, 고분자 코팅층에 틈 (crack)이 샘긴 제어 방출성 작물보호제 입자 상에 1 시간 동안 10ml의 수분을 서서히 공급하면서, 상기 입자 내부의 수용성 염료 농도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의 공급이 지속됨에 따라, 수용성 염료가 방출되어 염료의 색상이 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서, 실시예의 작물보호제 입자의 제어 방출 특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