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CORE-MOVING HEALTH CHAIR CHAIR CORE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088186
Kind Code:
A2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e-moving health chair comprising: an outer frame where the structure of the chair is divided into a circumferential zone and a central zone; a central inner frame where the floor frame of the chair is divided into a circumferential zone and a central zone; a core-moving means which is attached to the floor frame of the chair and which moves the central inner frame upwards or downwards; and a core-driving means which drives the core-moving means and moves the core upwards or downwar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re-moving health chair which can change the pressure at the portion being compressed under body weight when the chair is being sat upon. The core of the chair is assembled on the core-moving means, the position of the core of the chair is moved by means of the core-moving means, and the core-moving movement is driven by means of a motor. If the core-moving means is provided in the seating location of the chair, then a person sitting on the chair can experience a change in the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buttocks. This feature allows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hair to be adjusted to suit the requirements of the individual. Alternatively, air circulation in the buttock region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region where pressure is applied to the buttock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omote health for example with sphincter-muscle exercise and Kegel exercise while seated on the chair.

Inventors:
SHIM, Jae Hun (5 Singwan-dong Gongju-si, Chungcheongnam-do 314-802,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022
Publication Date:
July 16, 2009
Filing Date:
January 05,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SHIM, Jae Hun (5 Singwan-dong Gongju-si, Chungcheongnam-do 314-802, KR)
International Classes:
A47C7/02
Foreign References:
JPH07255560A
KR200269728Y1
KR200295442Y1
KR20040025399A2004-03-24
US20040012238A1
Attorney, Agent or Firm:
SEONG, Nak Hoon (642-9 Yeoksam 1-dong Gangnam-gu, ilSeoul 135-910, KR)
Download PDF:
Claims:
의자의 구성 중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영역을 나눈 하나의 영역이고 내측시트의 바깥에 배치되는 외측시트,

의자의 구성 중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영역을 나눈 하나의 영역이고 외측시트의 안쪽에 배치되는 내측시트,

의자의 메인 프레임의 일부로서 외측시트를 지지하는 외측프레임,

외측 프레임에서 분리되고 내측시트를 지지하며 코어 구동수단에 조립되어 이동 될 수 있는 내측프레임,

외측프레임에 부착되고 내측프레임과 커플링 러그(coupling lug)로 조립되어 제1행정으로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밖으로 이동시키고 및 제2행정으로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안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

를 포함하여 구성한 코어무빙 건강의자.

제1항에 있어서, 외측시트 및 내측시트를 포함하는 의자는 소파와 침대를 포함하는 코어무빙 건강의자.
제1항에 있어서, 의자의 구성 중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영역은 의자의 앉는 자리시트, 의자의 등받이시트 및 의자의 발판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코어무빙 건강의자.
제1항에 있어서,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밖으로 이동시키고 또는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안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크랭크를 포함하는 구동기(300)는 외측프레임(110)에 플렌지(311)로 부착되는 구동기(300)의 하우징(310),

하우징(310)에 상하로 이동 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슬라이더(312),

슬라이더(312)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레일(313),

레일(313)과 슬라이더(312)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 공간부(314)

슬라이더를 내측프레임(210)에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러그(315),

하우징(310)에 부착되어 구동축(323)이 공간부(314) 안에 들어온 감속 기어드모터(320),

기어드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크랭크(324),

크랭크(324)와 슬라이더(312) 러그(312a)를 핀(325,326)으로 연결하는 크랭크로드(327),

를 포함하여 구성한 코어무빙 건강의자.

제1항에 있어서,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밖으로 이동시키고 또는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안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을 포함하는 구동기(301)는

외측프레임(110)에 플렌지(311)가 부착되는 구동기(300)의 하우징(310),

하우징(310)에 상하로 이동 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슬라이더(312),

슬라이더(321)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레일(313),

슬라이더레일(313)과 슬라이더(312)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 공간부(314)

슬라이더를 내측프레임(210)에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러그(315),

하우징(310)에 부착되어 구동축(323)이 공간부(314) 안에 있는 감속 기어드모터(320),

기어드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크랭크(324),

슬라이더(312)의 운동 방향에 직각이 되게 슬라이더(312)에 길게 설치한 캠 홀(330),

크랭크(324)에 설치되어 구동축의 둘레를 공전하며 캠홀(330)에 끼워져 슬라이더(312)를 레일(313)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핀(331),

을 포함하여 구성한 코어무빙 건강의자.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어드모터(320)의 구동축(323)에 구동축의 위치검출수단(350)을 설치하여 크랭크(324) 끝의 위치 상태를 프로그램 할 수 있게 구성한 코어무빙 건강의자.
제 6항에 있어서, 구동축의 위치검출수단은 구동축(325)에 부착된 이동핀(351)과 이동핀에 닿아 스위칭 동작이 있도록 모터 구동축 주변에 평각으로 대응시켜 배치한 두 개의 마이크로스위치(352,353)인 것이 특징인 코어무빙 건강의자.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 항에 있어서,

내측시트의 제1행정과 제2행정을 발생 시키는 구동기는 모터(320)를 연속 회전시켜 내측시트의 제1행정과 제2행정이 반복되고, 제1행정과 제2행정의 반복주기가 매분 600회 이하인 코어 무빙 건강의자.

제1항에 있어서, 내측시트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는 구동기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기(400)이고 구동기(400)는,

외측프레임(110)에 부착된 리프팅 지지체(410),

리프팅 지지체(410)에 의지되어 상하로 이동 안내되는 코어 리프팅축(411),

리프팅 축(411)에 이동 방향으로 부설된 랙기어(430),

회전 방향에 따라 랙기어(430)를 상,하로 이동하는 웜나사(440),

웜나사(440)를 모터에 연결하는 구동축(423),

구동축(423)을 통해 웜나사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420),

랙기어(430)에 부착되어 랙기어의 상승위치 및 하강 위치를 알려주는 이동핀(451)의 상단점 및 하단점에 설치하여 랙기어 위동 위치를 프로그램 할 수 있게 하는 마이크로스위치(472,473),

를 포함하여 구성된 코어무빙 건강의자.

제9항에 있어서,

내측시트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는 구동기에 내측시트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내측시트 고정수단은 랙 기어와 웜 나사 결합체인 코어 무빙 건강의자.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내측시트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는 구동기의 제어부(500)는

제어를 위해 프로그램 된 마이콤(510)에 구동 개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판 상의 구동 스위치(511),

마이콤(510)의 구동제어 신호에 따라 내측시트를 제1행정으로 구동하도록 구동기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모터 구동드라이버(520),

이동핀의 제1행정 상단점에 설치하여 위치정보를 마이콤(510)에 제공하도록 마이콤에 연결된 상단점 마이크로스위치(352),

이동핀의 제2행정 하단점에 설치하여 위치정보를 마이콤(510)에 제공하도록 마이콤에 연결된 하단점 마이크로스위치(353),

를 포함하여 구성된 코어 무빙 건강의자.

제11항에 있어서, 제어부 마이콤(510)는

단계 0000에서 마이콤(510)이 초기화 된 후 제어판(511)의 개폐스위치(512)에서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로 가고,

단계 0001에서 마이콤(510)이 모터(420)를 제1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모터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고, 제어판 개폐스위치(512)와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상태를 감시하여 제어판 개폐스위치(512) 온 상태를 검출하면 단계 0005으로 가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2로 가고,

단계 0002에서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공급을 중지하고, 제어판 개폐 스위치(512)를 감시하여, 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3으로 가고,

단계 0003에서 마이콤(510)이 모터(420)를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모터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고, 제어판 개폐스위치(512)를 감시하여 개폐스위치(512) 온 상태를 검출하면 단계 0006으로 가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상태를 감시하여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4로 가고,

단계 0004에서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개폐 스위치(512)를 감하여 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 로 가고,

단계 0005에서 모터(420)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구동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의 상태를 감시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로 가고,

단계 0006에서 모터(420)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구동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의 상태를 감시하여 구동 개폐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3으로 가도록 프로그램 된 코어무빙 건강의자.

의자의 구성 중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영역을 나눈 하나의 영역이고 내측시트의 바깥에 배치되는 외측시트,

의자의 구성 중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영역을 나눈 하나의 영역이고 외측시트의 안쪽에 배치되는 내측시트,

의자의 메인 프레임의 일부로서 외측시트를 지지하는 외측프레임,

외측 프레임에서 분리되고 내측시트를 지지하며 코어 구동수단에 조립되어 이동 될 수 있는 내측프레임,

수동으로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밖으로 이동시키고

수동으로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안으로 이동시키는 내측시트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코어무빙 건강의자.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시트 이동수단은

외측프레임에 설치된 리프팅 너트, 내측프레임에 설치되고 리프팅 너트에 조립된 리프팅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한 코어무빙 건강의자.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코어 무빙 건강의자

본 발명은 코어 무빙 건강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에서 체중이 실리는 부분의 가운데 일부를 무빙 코어영역으로 설정하고 무빙코어를 기계적으로 이동시켜 의자 사용 중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체중의 압력을 벗어나거나 낮은 압력 상태에 있게 하는 코어 무빙 건강 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코어 무빙 건강의자에서 체중이 실리는 부분은 의자의 앉는 자리, 등 받이 또는 의자의 발판을 포함한다.

의자는 사람이 앉는 자리를 의자 다리위에 높여 붙인 가장 오래된 가구의 하나이다. 의자는 단순히 앉는 자리만을 가지는 단순한 의자, 등받이를 붙인 의자, 팔걸이가 있는 의자, 발판이 부설된 의자 등으로 다양하다. 현대인은 몸을 일으켜 서 있거나 걷는 시간보다 가정, 사무실, 휴게실, 식당, 자동차 실내에서 의자에 몸을 의지시켜 앉아 있는 시간이 많다. 고단한 몸을 의자에 의지시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으나, 사무에 종사하는 사람과 같이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생활의 대부분으로 길어지고 오랜 세월동안 의자에 앉은 자세로 생활을 지속하면 체중에 눌린 부분에 혈액 순환 장애가 발생하고 제한된 자세로 몸이 굳어져 건강을 해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앉아 있는 동안 의자에 체중이 실리는 영역 내에서 체중이 실리는 일부 영역의 압력 변동을 유도할 수 있는 코어 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에 앉았을 때 체중이 실리는 하나의 영역인 의자의 앉는 자리를 외측시트와 내측시트로 나눈 코어 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에 앉았을 때 체중이 실리는 하나의 영역인 의자의 등받이시트를 외측시트와 내측시트로 나눈 코어 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에 앉았을 때 체중이 실리는 하나의 영역인 의자의 발판시트를 외측시트와 내측시트로 나눈 코어 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의 내측시트를 외측시트보다 낮추거나 높일 수 있는 코어 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시트를 외측 (또는 위 방향) 또는 내측(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코어 구동기를 구비하는 코어 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 구동기를 모터로 구동하는 코어 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의 앉는 자리 시트와 의자의 등받이시트와, 의자의 발판시트에 설치된 코어를 지속적으로 반복 구동하여 신체를 흔들어 주고 압박부위의 압력에 변동을 주어 운동효과를 보일 수 있는 코어 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식을 위하여 사람이 몸을 의탁시키는 소파나 침대를 의자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자의 구성 중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영역을 나눈 하나의 영역이고 내측시트의 바깥에 배치되는 외측시트, 의자의 구성 중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영역을 나눈 하나의 영역이고 외측시트의 안쪽에 배치되는 내측시트, 의자의 메인 프레임의 일부로서 외측시트를 지지하는 외측프레임, 외측 프레임에서 분리되고 내측시트를 지지하며 코어 구동수단에 조립되어 이동 될 수 있는 내측프레임, 외측프레임에 부착되고 내측프레임과 커플링 러그(coupling lug)로 조립되어 제1행정으로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밖으로 이동시키고 및 제2행정으로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안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무빙 건강의자는 의자에 앉아 있는 동안 의자에 체중이 실리는 영역 내에서 체중이 실리는 일부 영역의 압력 변동을 유도한다. 압력의 변동은 보통 앉은 상태의 압력보다 높거나 낮은 압력이다. 이 발명 코어 무빙 건강의자는 사용자가 앉는 자리시트, 의자의 등받이시트, 및 의자의 발판시트 중 하나 이상에 적용하였다. 이 발명은 의자의 내측시트를 외측시트보다 낮추거나 높일 수 있고, 코어의 구동기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구동이 되고, 의자에 몸을 의지시켰을 때 내측시트를 구동하여 의자에 닿아 압박되는 부분의 일부의 압력을 변동시키므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압박되는 부분의 혈액 순환을 도와 건강을 증진시킨다. 이 발명은 사무용 의자에 적용하여 사무 중에 구동시킬 수 있고, 휴식용 의자에 적용하여 휴식 중에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이 발명의 코어무빙 의자의 가장 간단한 구성의 실시 예도

도 2는 코어 무빙세트를 하나 이상 설치한 의자의 예도

도 3은 코어무빙 세트의 구성 예도

도 4는 수동식 코어무빙 세트의 구성 예도

도 5는 외측시트와 내측시트의 구획을 보인 평면 예도

도 6은 일부가 열린 외측시트의 예도

도 7은 크랭크를 포함하는 구동기의 평면 예도

도 8은 크랭크와 크랭크로드를 포함하는 구동기의 단면 예도

도 9는 크랭크와 캠을 결합한 구동기의 측단면 예도

도 10은 크랭크와 캠을 결합한 구동기의 정단면 예도

도 11은 랙기어와 웜나사로 구성한 구동기의 측면 예도

도 12는 랙기어와 웜나사를 포함하는 구동기의 평단면도

도 13은 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기의 제어부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어무빙 건강의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코어 무빙 건강 의자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서 코어 무빙 동작을 적용하는 의자는 의자 외에 소파와 침대를 포함한다. 의자에 앉았을 때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의자의 앉는 자리영역을 외측시트 영역과 내측시트 영역으로 나누고 체중이 실리는 일부 영역으로서 내측시트 영역을 코어로서 외측시트에서 독립시켜 물리적으로 분리 된 외측시트와 내측시트(코어)를 만든다. 이 발명은 의자에 앉아 있는 동안 의자에 체중이 실리는 시트영역 내에서 체중이 실리는 일부 영역시트인 내측시트부분의 압력을 변동시키기 위하여 내측시트 부분의 영역인 코어를 코어 구동기로서 기계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코어 구동기의 동작으로서 코어 구동의 제1행정은 외측시트 안에 있는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밖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다. 제2행정은 외측시트 밖에 있는 내측 시트를 외측시트 안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다.

이 발명 코어무빙 건강의자는 의자의 구성 중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영역의 일부이고 내측시트의 바깥에 배치되는 외측시트(100), 의자의 구성 중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영역의 일부이고 외측시트의 안쪽에 배치되는 내측시트(200), 의자의 메인 프레임(107)의 일부로서 외측시트를 지지하는 외측프레임(110), 외측 프레임(110)에서 분리되고 내측시트(200)를 지지하며 코어 구동기에 조립되어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이동 될 수 있는 내측프레임(210), 외측프레임에 부착되고 내측프레임에 커플링 러그(coupling lug)(315)를 조립하여 제1행정으로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밖으로 이동시키고 또는 제2행정으로 내측시트를 외측시트 안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도 1에서 크랭크 기구를 포함하는 구동기(211)가 내측시트(200)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한다. 구동기(211)의 구동 모터는 감속 모터(212)이다. 구동축(213) 끝의 크랭크(214)가 크랭크핀(215)을 궤도직경(216)의 공전궤도를 따라 구동하면 크랭크로드(217)가 커플링러그(218)에 조립되고 가이드(219a)에 지지된 슬라이더(219)를 궤도직경(216)의 거리 내에서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고, 슬라이더(219)의 동작은 내측시트(200)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한다.

의자 사용 상태에서 압력이 발생하는 앉는 자리영역의 일부 코어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는 도 1의 코어 무빙 건강의자는 신체의 압력 발생부분의 압력 변동을 반복 유도하여 의자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피로를 감소시키고 의자의 장기간 이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코어무빙 건강 의자는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3개 영역으로서 의자의 앉는 자리시트(104), 의자의 등받이시트(105) 및 의자의 발판시트(106)를 지정하고, 이들 앉는 자리시트(104), 의자의 등받이시트(105) 및 의자의 발판시트(106)의 외측시트(100)의 안쪽을 구획하고 물리적으로 독립되는 내측시트(200)를 설치하고, 내측시트(200)에 각각 구동기(300)를 연결하여 내측시트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할 수 있게 하였다. 도 2에서 의자의 부가 장치로서 등받이시트(105)는 등받이 자세 조절장치(105a)로 등받이 프레임을 의자의 메인 프레임에 조립하여 등받이시트(105)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도 2에서 발판시트(106)는 발판 자세 조절장치(106a)로 발판프레임의 지지체(106b)를 의자의 메인 프레임에 조립하여 발판시트(106)의 자세를 조절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의자 사용 상태에서 압력이 발생하는 3개 영역의 일부영역에 설치된 코어를 각각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는 도 2의 코어 무빙 건강의자는 신체의 3개 영역에서 압력발생부분의 압력 변동을 반복 유도하여 의자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피로를 감소시키고 의자의 장기간 이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코어 무빙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인용하였다. 부호 180은 의자에 앉았을 때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의자의 앉는 자리영역, 등받이 영역 또는 발판 영역 중 의 어느 하나의 영역이다.

이때, 영역(180)은 환형의 외측시트 영역(181)과 내측시트 영역(182)으로 나누어지고, 체중이 실리는 일부 영역으로서 내측시트 영역(182)을 코어로서 외측시트에서 독립시켜 물리적으로 분리 된 외측시트(100)와 내측시트(200)를 만든다. 내측시트(200)는 실제로 외측시트(100) 내의 공간부(110b) 내에 공간부(110b)에 수용되고 분할 벽(110a) 또는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조물 설치하여 보호된다. 구동기(300)는 외측프레임(110)에 부착이 되어있다. 내측프레임(210)과 구동기(300)는 커플링 러그(coupling lug)(210a)와 커플링 러그(315)를 조립하여 구동기(300)의 제1행정 및 제2행정에 따라 동작이 된다. 조립 방법으로 너트와 볼트로 조여 붙이거나 밴드로 감아 붙이거나 또는 용접으로 부착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조립하여 부착한다.

체중이 실리는 시트영역(180) 내에서 체중이 실리는 일부 영역(182) 시트인 내측시트(200)부분의 압력을 변동시키기 위하여 내측시트(200)인 코어를 구동기(300)로서 구동시킨다. 코어 구동기의 제1행정은 외측시트(100) 안에 있는 내측시트(100)를 외측시트 밖으로 이동시켜 코어부분의 압력을 외측시트(100)보다 증가시키고, 제2행정은 외측시트(100) 밖에 있는 내측시트(200)를 외측시트(100) 안으로 이동시켜 코어부분의 압력을 외측시트(100) 보다 낮추어준다. 이러한 압력변동에 필요한 제1행정과 제2행정에 코어의 이동거리는 구동기(300) 크랭크핀의 공전궤도직경의 거리(316)이다.

도 4에 간단한 수동식 코어무빙 장치를 인용하였다. 도 4에서 제1행정과 제2행정은 행정거리가 일정한 거리로 규정되지 아니한다. 내측시트(200)는 외측시트(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있다. 외측시트(100)는 외측프레임(110)에 부착이 되어있다. 외측시트 내측의 공간 부 내에서 내측시트(200)는 회전이 가능하게 내측프레임(210)에 부착되어 있다. 내측시트의 구동수단으로 외측프레임(110)에 리프팅 너트(150)에 설치되고, 내측프레임(110)에 리프팅 스크류(250)가 설치된다. 리프팅스크류(250)는 리프팅너트(150)에 결합되어 있다. 내측시트 구동수단의 동작으로 외측시트(100) 안에 있는 내측시트(200)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프팅스크류(250)가 리프팅너트(150) 위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외측시트 안에 있는 내측시트가 외측시트 밖으로 이동한다, 내측시트(2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측시트가 외측시트 안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의자의 코어 무빙동작은 내측시트와 외측시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의자시트의 밀착부위 또는 압력 받는 부분의 압력 분포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 4의 예와 같은 코어의 수동 조절장치는 기계 기구 분야에 알려진 매우 다양한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5는 코어 무빙 장치를 위한 시트 분할 생태를 앉는 자리의 예로서 보인 것이다. 앉는 자리에서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부분(180)은 대강을 점선의 원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외측시트(100)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달리 표현하면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영역(180)은 외측시트(100) 안에 포함되고 있다. 외측시트(100)는 환형 시트를 이루고 있다. 내측시트(200)는 외측시트에서 물리적으로 분되어 있다.

도 6은 코어 무빙 장치를 위한 시트 분할 생태의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앉는 자리에서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외측시트(100)는 앞의 터진 부분(100a)을 포함하고, 내측시트(200)는 외측시트 내측에 물려 있다. 앞이 터진 외측시트는 의자에 앉을 때 신체 기관의 일부를 압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에서 이 발명 제1행정, 제2행정 구동기의 상세한 구성을 인용 하였다.

구동기(300)는 크랭크를 포함하는 구동기(300)이다. 구동기(300)는 외측프레임(110)에 플렌지(311)로 부착되는 구동기(300)의 하우징(310), 하우징(310)에 상하로 이동 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슬라이더(312), 슬라이더(312)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레일(313), 레일(313)과 슬라이더(312)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 공간부(314), 슬라이더를 내측프레임(210)에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러그(315), 하우징(310)에 부착되어 구동축(323)이 공간부(314) 안에 들어온 감속 기어드모터(320), 기어드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크랭크(324), 크랭크(324)와 슬라이더(312) 러그(312a)를 핀(325,326)으로 연결하는 크랭크로드(327)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크랭크를 포함하는 구동기(300)는 기어드 모터(320)에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구동축(323)이 크랭크(324)를 회전시킨다. 크랭크의 회전에 따른 크랭크핀(326)의 공전 궤도 원 운동은 크랭크로드(327) 외단 의 핀(325)을 구동한다. 슬라이더(312)는 슬라이더 레일(313)에 지배되어 직선 운동 속성을 가지게 되고, 러그(312a) 및 핀(325)으로 크랭크로드(327)와 조립이 되어있어 크랭크 운동에 링크된다. 이 같이 크랭크로 구동되는 슬라이더(312)는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제1행정으로 동작되고, 하우징(310)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제2행정으로 동작이 된다.

도 9 및 도 10에서 이 발명 다른 제1행정, 제2행정 구동기의 상세한 구성을 인용 하였다.

구동기는 캠을 포함하는 구동기(301)이다. 구동기(301)는 외측프레임(110)에 플렌지(311)가 부착되는 구동기(300)의 하우징(310), 하우징(310)에 상하로 이동 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슬라이더(312), 슬라이더(321)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레일(313), 슬라이더레일(313)과 슬라이더(312)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 공간부(314), 슬라이더를 내측프레임(210)에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러그(315), 하우징(310)에 부착되어 구동축(323)이 공간부(314) 안에 있는 감속 기어드모터(320), 기어드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크랭크(324), 슬라이더(312)의 운동 방향에 직각이 되게 슬라이더(312)에 길게 설치한 캠 홀(330), 크랭크(324)에 설치되어 구동축의 둘레를 공전하며 캠홀(330)에 끼워져 슬라이더(312)를 레일(313)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핀(331)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캠을 포함하는 구동기(301)는 기어드 모터(320)에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구동축(323)이 캠 홀(330) 내에서 캠핀(331)을 회전시킨다. 슬라이더(312)는 슬라이더 레일(313)에 지배되어 직선 운동 속성을 가지게 되므로 슬라이더(312)는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제1행정으로 동작되고, 하우징(310)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제2행정으로 동작이 된다.

구동기(300,301)는 제1행정과 제2행정을 반복하는 구동에 적합하다. 구동기(300,301)에서 제1행정과 제2행정의 반복주기는 매분 600회 이내로 한다. 적당하게는 매분 1회 내지 240회로 한다. 사무용 의자에서 매분 1회의 반복주기가 좋았다. 휴식용 의자에서 매분 40회의 반복주기가 좋았다. 일시적인 마사지가 필요한 경우 매분 40내지 600회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터(320)는 의자의 용도에 따라 속도 조절 제어를 할 수 있는 기어드 모터가 좋다.

구동기(300 또는 301)가 구동이 될 때 구동축의 위치를 프로그램 제어하기 위하여 구동기 모터(32)의 구동축(323)에 위치 검출수단(350)을 설치한다. 구동축(323)에 위치 검출수단을 설치하면 모터(320)의 구동을 프로그램 제어하여 제1행정과 제2행정의 끝에서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켜 내측시트(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검출수단(350)을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 제1행정과 제2행정의 일정한 위치에서 내측시트(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크랭크와 크랭크로드가 직선 위에 배열이 되는 상태를 위치검출수단으로 포착하고, 이 위치에서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키면 내측시트가 고정이 된다.

도 8 및 도 9에서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한 구동축(323)의 위치 검출수단의 설치 예를 인용하였다.

위치검출수단(350)은 구동축(323)에 부착되고 스위치에 접촉되어 스위치 상태를 바꾸어 주기 위한 이동핀(351)과 이동핀(351)에 닿아 스위칭 동작이 있도록 모터 구동축 주변에 평각으로 대응시켜 배치한 두 개의 마이크로스위치(352,353)로 구성하였다. 크랭크(324)의 최상위 위치에서 이동핀(351)이 마이크로스위치(352)를 동작시키도록 마이크로스위치(352)를 설치하고, 크랭크(324)의 최하위 위치에서 이동핀(351)이 마이크로스위치(353)를 동작시키도록 마이크로스위치(353)를 설치하면 마이콤 제어부에서 스위치(352,353) 신호로서 제1행정의 종단점과 제2행정의 종단점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하면 제1행정과 제2행정의 어느 일정한 중간점의 위치를 제어부 제공할 수 있다.

위치검출 수단은 마이크로스위치 외에도 광 커플러를 이용한 검출수단, 자기 센서를 이용한 검출 수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기를 인용하였다. 내측시트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고 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기(400)는 외측프레임(110)에 부착된 리프팅 지지체(410), 리프팅 지지체(410)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 안내되는 코어 리프팅 축(411), 리프팅 축(411)에 이송방향으로 부설된 랙기어(430), 회전 방향에 따라 랙기어(430)를 상,하로 이동하는 웜나사(440), 웜나사(440)를 모터에 연결하는 구동축(423), 구동축(423)을 통해 웜나사(440)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420), 랙기어(430)에 부착되어 랙기어의 상승위치 및 하강 위치를 알려주는 이동핀(451), 이동핀(423)의 제1행정 상단점 및 제2행정 하단점에 설치하여 랙기어 이동 위치를 프로그램 할 수 있게 하는 마이크로스위치(452,453)을 포함시켜 구성한다.

구동기(400)는 모터(460)에 제1방향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위치가 고정된 웜나사(440)를 구동축(423)이 제1 방향으로 돌려준다. 웜나사(440)의 제1방향 회전은 리프팅지지체(410)에 슬라이딩 되게 조립된 리프팅축(411)과 함께 랙기어(430)를 밀어 올린다. 랙기어(430)의 상승 동작은 이동핀(451)을 이동시켜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에 접촉되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신호를 검출하고 모터(42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제어부에서 모터(420)에 제2방향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구동축(423)이 웜나사(440)를 제2방향으로 돌려준다. 웜나사(44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프팅지지체(410)에 조립된 리프팅축(411)과 함께 랙기어(430)를 끌어 내린다. 랙기어(430)의 하강 동작은 이동핀(451)을 이동시켜 하부 마이크로스위치(453)에 접촉되고 하부 마이크로스위치(453)를 동작시킨다. 제어부는 하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신호를 검출하고 모터(46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와 같은 랙기어(430)의 상승 동작은 내측시트(200)를 리프팅축(411)에 내측프레임(21)과 함께 제1행정 동작으로 구동하고, 랙기어(430)의 하강 동작은 내측시트(200)를 리프팅축(420)에 부착된 내측프레임(21)과 함께 제2행정 동작으로 구동한다. 구동기(400)에서 웜나사(440)의 회전은 랙기어(430)를 이동시키고 랙기어(430)는 웜나사(440)를 이동시키지 못하므로 모터(460)의 구동이 중지되면 내측시트(200)는 구동이 정지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 11의 구동기에서 리프팅지지체(410)는 외측프레임(110)에서 독립되어 제작이 되고 외측프레임(110)에 조립이 될 수 있다. 도 11의 구동기에서 리프팅축(411)은 내측프레임(210)에서 독립된 부품으로 제작되고 내측프레임(210)에 조립이 될 수 있다.

도 11의 구동기는 위치 검출수단을 생략하고 웜 나사를 핸들로 구동할 수 있게 하여 수동식 내측시트 구동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 구동 제어부의 구성을 인용하였다. 랙기어(430)를 포함하는 구동기(400)는 도 13의 구동부 제어를 받아 내측시트(200)로 설치된 코어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한다.

크랭크(324)를 포함하는 구동기(300)나 구동기(301)는 도 13의 제어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모터의 구동전류를 공급하면 제1행정과 제2행정을 반복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랙기어(430)를 사용하지 않는 구동기(300,301)라 하더라도 모터 축의 위치를 검출하여 구동기의 동작을 프로그램 제어하려면 마이콤 구동 제어부의 제어를 이용해야 한다.

내측시트(200)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는 구동기의 제어부(500)는 제어를 위해 프로그램 된 마이콤(510)에 구동 개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마이콤(51)에 연결한 제어판(511)상의 구동개폐 스위치(512), 전원상태를 보여주도록 마이콤(510)에 연결된 제어판상의 표시램프(513), 동작 상태 정보를 마이콤(510)이 표시할 수 있게 마이콤에 연결한 표시부(515),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부(530) 로부터 모터(42)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모터구동드라이버(520), 이동핀(451)이 접촉되어 개폐되고 제1행정의 상단의 위치신호를 마이콤에 제공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452), 이동핀(451)이 접촉되어 개폐되고 제2행정의 하단의 위치신호를 마이콤에 제공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453)로 구성하였다.

제어부(500)의 순환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단계 0000 : 마이콤(51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 프로그램을 초기화한다. 제어판 전원표시 램프(513)를 점등한다. 표시부(515)에 구동 중임을 표시한다. 제어판(511)의 개폐스위치(512)를 감시하여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로 간다.

단계 0001 : 마이콤(510)이 모터(420)를 제1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모터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 감시하여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2로 가고, 제어판 개폐스위치(512)를 상태를 감시하여 스위치(512) 온 상태를 검출하면 단계 0005로 간다.

단계 0002 :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공급을 중지하고, 제어판 개폐 스위치(512)를 감시한다. 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3으로 간다.

단계 0003 : 마이콤(510)이 모터(420)를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모터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상태를 감시하여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4로 가고, 제어판 개폐스위치(512)를 감시하여 스위치 온 상태를 검출하면 단계 0006으로 간다.

단계 0004 :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개폐 스위치(512)를 감하여 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 로 간다.

단계 0005 : 모터(420)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구동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의 상태를 감시한다. 구동 개폐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로 간다.

단계 0006 : 모터(420)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구동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의 상태를 감시한다. 구동 개폐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3으로 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무빙 건강의자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1.

사무용 의자 실시 예

사무용 의자의 앉는 자리 시트에 의자의 코어 무빙 세트를 설치하였다.

코어 무빙 세트는

1) 코어 곧, 내측시트의 면적은 외측시트에서 압력이 발생하는 면적의 50%정도이다.

2) 내측시트는 메인 프레임에 연결된 외측프레임 안쪽에 리브로 보호되는 공간부에 설치하였다.

3) 내측시트는 공간부내에서 내측프레임에 지지된다.

4) 구동기는 외측프레임에 부착되었다.

5) 내측프레임은 커플링 러그(coupling lug)로 구동기에 연결이 되었다.

6) 내측시트의 제1행정 및 제2행정의 행정거리는 3cm 이다.

7) 구동기를 매분 1회 구동 하였다.

사용결과 의자에 앉았을 압력을 많이 받는 부분이 내측시트와 외측시트로 반복하여 이동되었다.

사용 느낌은 피로감이 감소한 것이다.

실시 예 2.

소파에 적용 실시 예

실시 예 1의 코어 무빙세트를 소파의 앉는 자리 부분과 등받이 부분에 설치하였다.

실시 예 3.

코어무빙 세트 3개 설치 실시 예

발판이 있는 휴식용 의자의 아래에 기재한 3개 장소에 실시 예 1의 코어 무빙 세트를 설치하였다.

1) 의자의 앉는 자리부분

2) 의자의 등받이 부분

3) 의자의 발판 부분

실시 예 4.

크랭크타입 구동기(300)를 다음 주요 부품을 포함하여 제작 하였다.

1) 외측프레임(110)에 플렌지(311)로 부착되는 구동기(300)의 하우징(310)

2) 하우징(310)에 상하로 이동 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슬라이더(312)

3) 슬라이더(312)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레일(313)

4) 슬라이더를 내측프레임(210)에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러그(315)

5) 구동축(323)이 공간부(314) 안에 들어오게 조립되는 감속 기어드 모터(320)

6) 기어드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크랭크(324)

7) 크랭크로드(327)

8) 크랭크(324)와 슬라이더(312) 러그(312a)를 연결하는 핀(325,326)

실시 예 5.

크랭크와 캠을 조합한 구동기(301)를 다음 주요 부품을 포함하여 제작 하였다.

1) 외측프레임(110)에 플렌지(311)로 부착되는 구동기(300)의 하우징(310)

2) 하우징(310)에 상하로 이동 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슬라이더(312)

3) 슬라이더(312)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레일(313)

4) 슬라이더를 내측프레임(210)에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러그(315)

5) 구동축(323)이 공간부(314) 안에 들어오게 조립되는 감속 기어드 모터(320)

6) 기어드 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크랭크(324)

7) 슬라이더(312)에 설치되는 캠 홀(330)

8) 크랭크(324)에 설치되어 캠홀(330)에 끼워지는 캠핀(331)

실시 예 6.

실시 예 4의 구동기에 다음 부품을 포함하는 구동축의 위치검출수단(350)을 더 설치하였다.

1) 구동축(325)에 부착된 이동핀(351)

2) 이동핀에 닿아 스위칭 동작이 되는 마이크로스위치(352)

3) 이동핀에 닿아 스위칭 동작이 되는 마이크로스위치(353)

크랭크와 크랭크로드가 직선상에 놓이는 상태를 위치검출수단으로 포착하여 내측시트의 고정수단으로 이용하였다.

실시 예 7.

실시 예 5의 구동기에 다음 부품을 포함하는 구동축의 위치검출수단(350)을 더 설치하였다.

1) 구동축(325)에 부착된 이동핀(351)

2) 이동핀에 닿아 스위칭 동작이 되는 마이크로스위치(352)

3) 이동핀에 닿아 스위칭 동작이 되는 마이크로스위치(353)

크랭크와 크랭크로드가 직선상에 놓이는 상태를 위치검출수단으로 포착하여 내측시트의 고정수단으로 이용하였다.

실시 예 8.

실시 예 1의 의자에서 제1행정과 제2행정의 반복주기를 매분 30회로 하였다.

실시 예 9.

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기(400)를 다음 주요 부품을 포함하여 제작하였다.

1) 외측프레임(110)에 부착된 리프팅 지지체(410)

2) 리프팅 지지체(410)에 의지되어 상하로 이동 안내되는 코어 리프팅축(411)

3) 리프팅 축(411)에 이동 방향으로 부설된 랙기어(430)

4) 회전 방향에 따라 랙기어(430)를 상,하로 이동하는 웜나사(440)

5) 웜나사(440)를 모터에 연결하는 구동축(423)

6) 구동축(423)을 통해 웜나사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420)

7) 랙기어(430)에 부착된 이동핀(451)

8) 이동핀에 접촉되어 동작되는 상단점 마이크로스위치(472)

9) 이동핀에 접촉되어 동작되는 하단점 마이크로스위치(473)

실시 예 10.

실시 예 9에서 랙 기어와 웜 나사 결합체를 내측시트의 고정수단으로 활용 하였다.

실시 예 11.

실시 예 9의 구동기 제어부(500)를 다음 구성을 포한하여 제작하였다.

1) 제어판 및 구동 스위치(511)

2) 모터 구동드라이버(520)

3) 제1행정 상단점에 설치하여 위치정보를 마이콤(510)에 제공하는 마이크로 스위치(352)

4) 제2행정 하단점에 설치하여 위치정보를 마이콤(510)에 제공하는 마이크로 스위치(353)

5) 제어용 마이콤

실시 예 12.

실시예 11의 제어부 마이콤(510)을 다음 처리 단계를 포함하도록 프로그램 하였다.

단계 0000 : 마이콤(510)이 초기화 된 후 제어판(511)의 개폐스위치(512)에서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로 간다.

단계 0001 : 마이콤(510)이 모터(420)를 제1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모터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고, 제어판 개폐스위치(512)와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상태를 감시하여 제어판 개폐스위치(512) 온 상태를 검출하면 단계 0005으로 가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2로 간다.

단계 0002 :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공급을 중지하고, 제어판 개폐 스위치(512)를 감시하여, 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3으로 간다.

단계 0003 : 마이콤(510)이 모터(420)를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모터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고, 제어판 개폐스위치(512)를 감시하여 개폐스위치(512) 온 상태를 검출하면 단계 0006으로 가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상태를 감시하여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4로 간다.

단계 0004 :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개폐 스위치(512)를 감하여 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 로 가고,

단계 0005에서 모터(420)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구동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의 상태를 감시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로 간다.

단계 0006 : 모터(420)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구동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의 상태를 감시하여 구동 개폐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3으로 간다.

실시 예 13.

다음 부픔을 포함하여 내측시트 수동 구동수단을 제조하였다.

1) 외측프레임에 설치된 리프팅 너트,

2) 내측프레임에 설치되고 리프팅 너트에 조립된 리프팅 스크류

실시 예 14.

다음 부품을 포함하여 웜 나사를 수동으로 움직이는 내측시트 구동기를 제조하였다.

1) 외측프레임(110)에 부착된 리프팅 지지체(410)

2) 리프팅 지지체(410)에 의지되어 상하로 이동 안내되는 코어 리프팅축(411)

3) 리프팅 축(411)에 이동 방향으로 부설된 랙기어(430)

4) 회전 방향에 따라 랙기어(430)를 상,하로 이동하는 웜나사(440)

5) 웜 나사(440)를 손으로 돌려 구동하도록 웜 나사에 연결 설치한 핸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