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HORIZONTAL BRANCH BUS BAR AND BUS DUCT INCLUDING THE SAME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093841
Kind Code:
A2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or a lower protruding height of a joint between a base bus bar and a bus bar, which is branched from the base bus bar, is remarkably low as compared with prior art. Thereby the installation space of a horizontal branch bus bar is smaller as compared with prior art.

Inventors:
LEE, Min-Woo (134-17 Sinwol 1-dong, Yangcheon-gu, Seoul 158-828, KR)
이민우 (158-828 Seoul, KR)
KIM, Dong-Wook (Sejong Apt.Wanggok-dong, Uiwang-si, Gyeonggi-do 437-020,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309
Publication Date:
July 30, 2009
Filing Date:
January 21,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LS CABLE LTD. (Hogye-dongDongan-gu, Anyang-city, Gyeonggi-do 431-848, KR)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431-848 Gyeonggi-do, KR)
LEE, Min-Woo (134-17 Sinwol 1-dong, Yangcheon-gu, Seoul 158-828, KR)
이민우 (158-828 Seoul, KR)
International Classes:
H02G5/06
Foreign References:
KR20070057426A
KR100759524B1
KR200319522Y1
Attorney, Agent or Firm:
PHIL & ONZI INT'L PATENT & LAW FIRM (1536-7Seocho-dong, Seocho-gu, Seoul 137-872, KR)
Download PDF:
Claims:
Y축 방향을 따라 직선형태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Y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개의 기준 버스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상기 기준 버스바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복수개의 수직부; 및 상기 복수개의 수직부의 양단 중 상기 기준 버스바에 더욱 가깝게 위치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개의 수평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분기 버스바; 및

상기 복수개의 기준 버스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상의 순서와 상기 복수개의 분기 버스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상의 순서가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기준 버스바의 상단과 상기 복수개의 수평부의 상단 또는 상기 기준 버스바의 하단과 상기 복수개의 수평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의 측면은 Z축 방향을 향하며,

상기 복수개의 기준 버스바의 상단 또는 하단과 상기 기준 버스바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연결부재는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분기형 버스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4 기준 버스바로 이루어지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4 분기 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준 버스바와 상기 제1 내지 제4 분기 버스바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와 상기 제3 및 제4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분기형 버스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4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4 기준 버스바의 상단과 상기 제1 및 제4 분기 버스바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2 및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제2 및 제3 기준 버스바의 하단과 상기 제2 및 제3 분기 버스바의 하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분기형 버스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4 기준 버스바로 이루어지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4 분기 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준 버스바와 상기 제1 내지 제4 분기 버스바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와 상기 제4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분기형 버스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4 기준 버스바로 이루어지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4 분기 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준 버스바와 상기 제1 내지 제4 분기 버스바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분기형 버스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3 기준 버스바로 이루어지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3 분기 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 기준 버스바와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 버스바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와 상기 제3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분기형 버스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3 기준 버스바로 이루어지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3 분기 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 기준 버스바와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 버스바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분기형 버스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5 기준 버스바로 이루어지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5 분기 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5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내지 제5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5 기준 버스바와 상기 제1 내지 제5 분기 버스바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와 상기 제4 및 제5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분기형 버스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5 기준 버스바로 이루어지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5 분기 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5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내지 제5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5 기준 버스바와 상기 제1 내지 제5 분기 버스바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와 상기 제5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분기형 버스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5 기준 버스바로 이루어지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5 분기 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5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내지 제5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5 기준 버스바와 상기 제1 내지 제5 분기 버스바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분기형 버스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수평 분기형 버스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덕트.
Description:
수평 분기형 버스바 및 이를 구비한 버스덕트

본 발명은 수평 분기형 버스바(bus bar) 및 이를 구비한 버스덕트(bus duc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느 버스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그 버스바로부터 수평하게 분기되어 타 버스바를 통해서도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평 분기형 버스바와 이를 구비한 버스덕트에 관한 것이다.

버스바(bus bar)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이다. 예전에는 전기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 케이블(cable)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근래에는 버스바의 장점, 즉, 같은 부피의 도체로 더욱 많은 전기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때문에 버스바가 케이블의 대체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버스바는 대용량의 전기에너지 전송 시스템의 설치가 필요한 건축물, 예컨대, 공장, 빌딩, 아파트, 대형 할인마트, 오피스텔, 연구단지, 백화점, 골프장, 터널 반도체, LCD공장, 화학, 정유, 제철, 초고층빌딩, 초고압 변전소, LNG인수기지, 신공항, 항만 등에 있어서 그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건축물로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건축물 내부 곳곳에 골고루 배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건축물 내부 어느 한 지점 또는 복수개의 지점에서는 전류를 수평하게 여러 방향으로 동시에 배분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준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를 원하는 방향으로 인출하기 위해 상기 기준 버스바에 분기 버스바를 수평하게 결합하여야 한다.

이하, 기준 버스바에 분기 버스바를 수평하게 결합하기 위한 종래기술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평 분기형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수평 분기형 버스바는 4선 식 배선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수평 분기형 버스바는 기준 버스바(10)와 분기 버스바(20)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버스바(10)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분기 버스바(20)는 상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준 버스바(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기준 버스바(20)와 상기 분기 버스바(20)는 그 측면이 상기 X축 방향을 향하는 'ㄷ'자 형태의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기준 버스바(10) 및 분기 버스바(20)와 별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상기 분기 버스바(2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 분기형 버스바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30)의 측면이 X축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기준 버스바(10)와 분기 버스바(20)가 연결되는 부위의 상부 돌출 높이가 상기 연결부재(30)의 폭(W)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수평 분기형 버스바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상기 수평 분기형 버스바의 설치 공간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준 버스바와 이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버스바가 연결되는 부위의 상부 또는 하부 돌출 높이가 종래에 비해 매우 낮은 수평 분기형 버스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 분기형 버스바를 구비한 버스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정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직선형태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Y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개의 기준 버스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상기 기준 버스바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복수개의 수직부; 및 상기 복수개의 수직부의 양단 중 상기 기준 버스바에 더욱 가깝게 위치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개의 수평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분기 버스바; 및 상기 복수개의 기준 버스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상의 순서와 상기 복수개의 분기 버스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상의 순서가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기준 버스바의 상단과 상기 복수개의 수평부의 상단 또는 상기 기준 버스바의 하단과 상기 복수개의 수평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의 측면은 Z축 방향을 향하며, 상기 복수개의 기준 버스바의 상단 또는 하단과 상기 기준 버스바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연결부재는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분기형 버스바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4 기준 버스바로 이루어지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4 분기 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준 버스바와 상기 제1 내지 제4 분기 버스바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와 상기 제3 및 제4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4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4 기준 버스바의 상단과 상기 제1 및 제4 분기 버스바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2 및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제2 및 제3 기준 버스바의 하단과 상기 제2 및 제3 분기 버스바의 하단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와 상기 제4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3 기준 버스바로 이루어지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3 분기 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 기준 버스바와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 버스바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와 상기 제3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5 기준 버스바로 이루어지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5 분기 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5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내지 제5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5 기준 버스바와 상기 제1 내지 제5 분기 버스바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와 상기 제4 및 제5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와 상기 제5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5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수평 분기형 버스바를 구비하는 버스덕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준 버스바와 이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버스바가 연결되는 부위의 상부 또는 하부 돌출 높이가 종래에 비해 매우 낮기 때문에 수평 분기형 버스바의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이 종래에 비해 매우 완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평 분기형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분기용 버스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버스바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분기용 버스바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버스바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분기용 버스바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버스바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 제1실시예 >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분기형 버스바 및 이를 구비한 버스덕트가 4선 식 배선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분기용 버스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버스바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기준 버스바의 상단과 분기 버스바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기준 버스바의 하단과 분기 버스바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덕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수평 분기형 버스바(110)를 내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스덕트(100)는, 상기 버스바(110)의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의 일부와 분기 버스바의 수직부(132, 134, 136, 138)를 내부에 수용하는 함(102) 및 상기 함(102)을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의 일부와 분기 버스바의 수평부(142, 144, 146, 148)와 연결부재(152, 154, 156, 158)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104)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의 양단과 상기 수직부(132, 134, 136, 138)의 일단은 타 버스바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함(102)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수평 분기형 버스바(110)는 기준 버스바와 분기 버스바와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버스바는 소정의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태의 제1 내지 제4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는 상기 Y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X축 방향)으로 나열된다.

상기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4 수직부(132, 134, 136, 138)와 제1 내지 제4 수평부(142, 144, 146, 148)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부는(132, 134, 136, 138)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상기 제1 기준 버스바(112)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수평부(142, 144, 146, 148)는 상기 수직부(132, 134, 136, 138)의 양단 중 상기 제1 기준 버스바(112)에 더욱 가깝게 위치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된다. 이때, 제1 및 제2 수평부(142, 144)와 제3 및 제4 수평부(146, 148)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152, 154, 156, 158)로 구성되고, 상기 4개의 연결부재(152, 154, 156, 158)는 각각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4개의 연결부재(152, 154, 156, 158)의 측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축 및 Y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을 향하고, 상기 4개의 연결부재(152, 154, 156, 158)는 상기 기준 버스바 및 분기 부스바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152, 154, 156, 158)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상의 순서와 상기 분기 버스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상의 순서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의 상단과 상기 제1 내지 제4 수평부(142, 144, 146, 148)의 상단,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의 하단과 상기 제1 내지 제4 수평부(142, 144, 146, 148)의 하단을 각각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재(152)는 상기 제1 기준 버스바(112)의 상단과 상기 제1 수평부(142)의 상단을, 상기 제2 연결부재(154)는 상기 제2 기준 버스바(114)의 하단과 상기 제2 수평부(144)의 하단을, 상기 제3 연결부재(156)는 상기 제3 기준 버스바(116)의 하단과 상기 제3 수평부(146)의 하단을, 상기 제4 연결부재(158)는 상기 제4 기준 버스바(118)의 상단과 상기 제4 수평부(148)의 상단을 연결한다.

도 4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152)와 제2 연결부재(154)는 Y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연결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재(152)와 제2 연결부재(154)는 동일한 Y좌표 상에 위치한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제3 연결부재(156) 및 제4 연결부재(158)에도 적용될 뿐만 아니라, 도 5 및 도 6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152, 154, 156, 158)는 서로 접촉하지 아니하면 족하므로, 상기 4개의 연결부재(152, 154, 156, 158)는 앞서 설명한 바와 상이한 형태로 상기 4개의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와 4개의 수평부(142, 144, 146, 148)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서 상기 제3 연결부재(156)는 상기 제3 기준 버스바(116)와 상기 제3 수평부(146)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상기 제2 연결부재(154)는 상기 제2 기준 버스바(114)의 상단과 상기 제2 수평부(144)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재(152)는 상기 제1 기준 버스바(112)와 상기 제1 수평부(142)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수평부(142, 144)와 제3 및 제4 수평부(146, 148)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에 대한 대안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평부(144)가 상기 제3 및 제4 수평부(146, 148)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개의 수평부(142, 144, 146, 148)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4개의 연결부재(152, 154, 156, 158) 모두가 상기 4개의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의 상단과 상기 4개의 수평부(142, 144, 146, 148)의 상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4개의 연결부재(152, 154, 156, 158)는 서로 접촉하지 아니하면 족하므로 상기 연결부재(152, 154, 156, 158)는 이와 상이한 형태로 상기 4개의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와 4개의 수평부(142, 144, 146, 148)를 연결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의 상단 또는 하단과 상기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연결부재는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내용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 연결부재(154)의 상부에 제3 연결부재(156)가 위치하고, 제3 연결부재(156)의 상부에 제4 연결부재(158)가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연결부재는 제4 연결부재(158)이다. 한편, 상기 제4 연결부재(158)는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여야 하는데, 여기서 허용되는 범위란, 상기 제2 연결부재(154)가 상기 제1 기준 버스바(112)의 상단과 접촉하지 아니하고, 상기 제3 연결부재(156)가 상기 제2 연결부재(154)와 접촉하지 아니하며, 상기 제4 연결부재(158)이 상기 제3 연결부재(156)와 접촉하지 아니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상기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의 상단 또는 하단과 상기 기준 버스바(112, 114, 116, 118)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연결부재와의 이격거리를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기준 버스바와 분기 버스바가 연결되는 부위의 상부 돌출 높이 또는 하부 돌출 높이가 종래에 비해 매우 감소하게 된다.

< 제2실시예 >

본 실시예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분기형 버스바가 3선 식 배선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분기용 버스바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버스바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3 기준 버스바(212, 214, 216)를 포함하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3 수직부(232, 234, 236)와 제1 내지 제3 수평부(242, 244, 24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부(24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및 제3 수평부(244, 246)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및 제3 수평부(244, 246)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 제3실시예 >

본 실시예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분기형 버스바가 5선 식 배선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분기용 버스바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버스바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 버스바는 제1 내지 제5 기준 버스바(312, 314, 316, 318, 319)를 포함하고, 분기 버스바는 제1 내지 제5 수직부(332, 334, 336, 338, 339)와 제1 내지 제5 수평부(342, 344, 346, 348, 349)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수평부(342, 34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내지 제5 수평부(346, 348. 349)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제1 수평부(342)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내지 제5 수평부(344, 346, 348, 349)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제1 내지 제5 수평부(332, 334, 336, 338, 339) 모두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