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120037
Kind Code:
A3
Abstract:
Disclosed i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featuring a simplified structure and improved convenienc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f the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including a display, a first cover mov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move to a position overlapped with the main body and to a position extended outward from the main body, a second cover mov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move to a position overlapped with the main body and to a position extended outward from the main body, and a hinge uni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wherein i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s mov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e hinge unit causes the other one in the first and second covers to interwork.

Inventors:
LEE SANG-HO (KR)
KIM BYUNG HAN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1572
Publication Date:
December 30, 2009
Filing Date:
March 27,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SHELL LINE (KR)
LEE SANG-HO (KR)
KIM BYUNG HAN (KR)
International Classes:
H04B1/38
Foreign References:
KR100531149B12005-11-29
KR20060082233A2006-07-18
KR20070050221A2007-05-15
KR20070001676A2007-01-04
KR20070057547A2007-06-07
Other References:
See also references of EP 2259435A4
Attorney, Agent or Firm:
JI, Hyon-Jo (1627-10 Bongcheon-7-don, Gwanak-gu Seoul 151-818, KR)
Download PDF:
Claims: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중첩되는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에 중첩되는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제1커버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2커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될 시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 중 다른 하나를 연동시키는 힌지유닛;

을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가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로 이동될 시 상기 본체부에 노출되는 노출면에는 키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스크부재, 상기 디스크부재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커버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및 상기 제1링크부재에 대향하여 상기 디스크부재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커버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를 따라 치형이 형성된 디스크부재, 상기 치형에 치합되며 상기 제1커버부와 연동하는 제1치합부재, 및 상기 제1치합부재와 대향하여 상기 치형에 치합되며 상기 제2커버부와 연동하는 제2치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에 중첩되는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부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커버부가 결합되는 제1가이드 프레임, 상기 본체부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커버부가 결합되는 제2가이드 프레임,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크부재, 일단은 상기 디스크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일단은 상기 디스크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의 양 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디스크부재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디스크부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디스크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과 상기 디스크부재를 결속하며 상기 가이드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결속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부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커버부가 결합되는 제1가이드 프레임, 상기 본체부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커버부가 결합되는 제2가이드 프레임,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를 따라 치형이 형성된 디스크부재, 상기 치형과 치합(engage)되는 제1랙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치합부재, 상기 치형과 치합되는 제2랙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치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치합부재 및 상기 제2치합부재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각각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디스크부재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디스크부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디스크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과 상기 디스크부재를 결속하며 상기 가이드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결속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게임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을 갖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바(bar)형 개인휴대단말기, 폴더형(folder-type) 개인휴대단말기,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sliding-typ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급변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에 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구조 및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에 관련된 각종 신호에 입력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고유의 디자인 특성 저하없이 미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는 본체부, 본체부에 중첩되는 위치와 본체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커버부, 본체부에 중첩되는 위치와 본체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2커버부, 일측은 제1커버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제2커버부에 연결되어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 중 어느 하나가 본체부에 대해 이동될 시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 중 다른 하나를 연동시키는 힌지유닛을 포함한다.

본체부의 구조 및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는 디스플레이부를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부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가 본체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로 이동될 시 본체부에 노출되는 노출면에는 키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는 본체부의 동일면 또는 서로 다른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 모두 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 중 어느 하나가 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가 본체부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에 대한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의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의 이동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며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가 회동 방식으로 본체부에 대해 회동되며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의 장착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는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의 양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체부의 양단부에 구비된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는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접근 및 이격되며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가 확장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본체부의 상부 노출면에는 통상적인 각종 부가장치 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 또는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힌지유닛의 구조 및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힌지유닛은 본체부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커버부가 결합되는 제1가이드 프레임, 본체부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2커버부가 결합되는 제2가이드 프레임, 제1가이드 프레임 및 제2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크부재, 일단은 디스크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1가이드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일단은 디스크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2가이드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제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을 배제하고 제1 및 제2링크부재가 직접 해당되는 각 커버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힌지유닛은 본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가이드 프레임, 디스크부재, 제1 및 제2링크부재는 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모듈화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힌지유닛에서 베이스 프레임을 배제하고 힌지유닛을 구성하는 여타 구성부품들이 본체부 상에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 및 조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힌지유닛은 베이스 프레임의 측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제1가이드 프레임 및 제2가이드 프레임의 양 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유닛은 본체부에 대한 디스크부재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의 일단은 베이스 프레임에 피봇(pivot)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디스크부재에 피봇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디스크부재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부재의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에 피봇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이 제1가이드 프레임 및/또는 제2가이드 프레임에 피봇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이 링크부재 또는 여타 다른 부위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로서는 통상의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크부재의 탄성적인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에는 디스크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가이드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힌지유닛은 탄성부재의 일단과 디스크부재를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속하며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슬롯에 수용되는 결속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는 본체부, 본체부에 중첩되는 위치와 본체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커버부, 본체부에 중첩되는 위치와 본체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2커버부, 및 본체부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커버부가 결합되는 제1가이드 프레임, 본체부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2커버부가 결합되는 제2가이드 프레임, 제1가이드 프레임 및 제2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를 따라 치형이 형성된 디스크부재, 치형과 치합(engage)되는 제1랙기어를 구비하여 제1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치합부재, 치형과 치합되는 제2랙기어를 구비하여 제2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치합부재를 포함하는 힌지유닛을 구비하고,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 중 어느 하나가 본체부에 대해 이동될 시 힌지유닛에 의해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 중 다른 하나가 연동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제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을 배제하고 제1 및 제2치합부재가 직접 해당되는 각 커버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에 의하면, 구조 및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가 각각 별도로 작동되지 않고 힌지유닛에 의해 서로 연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체부에 대한 각 커버부의 이동이 반자동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에 관련된 각종 신호에 입력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파지(grip)감이 향상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공간적인 제약적이 키패드 또는 부가장차가 채용될 수 있게 하고, 제품 고유의 디자인 특성 저하없이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급변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로서, 힌지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로서, 힌지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100)는 본체부(200), 제1커버부(310), 제2커버부(320) 및 힌지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의 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 등과 같은 통상의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본체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본체부(200)의 전면(210)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엘씨디(LCD)와 같은 통상의 디스플레이부(212)는 물론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 또는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310)는 선택적으로 본체부(200)에 중첩되는 위치(이하 중첩 위치라 한다)와 본체부(200)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이하 확장 위치라 한다)로 이동 가능하게 본체부(200) 상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커버부(320) 역시 제1커버부(3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본체부(200)에 중첩되는 위치와 본체부(200)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본체부(200) 상에 결합된다.

상기 본체부(200)에 대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의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의 이동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본체부(20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며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가 회동 방식으로 본체부에 대해 회동되며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가 본체부(200)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의 장착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는 본체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부(212)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200)의 양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체부(200)의 양단부에 구비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는 본체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접근 및 이격되며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가 확장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본체부(200)의 상부 노출면에는 통상적인 각종 부가장치 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 또는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확장 위치로 이동될 시 본체부(200)에 노출되는 노출면에는 게임 및 각종 기능에 관련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214)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부(200)에 단 두개의 커버부가 구비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부(200) 상에 3개 이상의 커버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커버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유닛(400)은 일측은 제1커버부(31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제2커버부(320)에 연결되어,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어느 하나가 본체부(200)에 대해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될 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다른 하나가 함께 연동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힌지유닛(400)의 구조 및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커버부(310)와 제2커버부(320)가 힌지유닛(400)에 의해 링크 연결방식으로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힌지유닛(400)은 베이스 프레임(460), 제1가이드 프레임(410), 제2가이드 프레임(420), 디스크(disc)부재(430), 제1링크부재(440), 제2링크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410), 제2가이드 프레임(420), 디스크(disc)부재(430), 제1링크부재(440), 제2링크부재(450)는 베이스 프레임(460) 상에 배치 및 조립되며 베이스 프레임(460)과 함께 모듈화되어 일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46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200)의 내부 저면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460)의 구조 및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410)은 베이스 프레임(460)의 일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상부에는 전술한 제1커버부(310)가 볼트 또는 여타 체결 방법에 의해 일체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420)은 베이스 프레임(460)의 다른 일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상부에는 전술한 제2커버부(320)가 볼트 또는 여타 체결 방법에 의해 일체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410)과 베이스 프레임(460) 간의 슬라이딩 연결구조,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420)과 베이스 프레임(460) 간의 슬라이딩 연결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통상의 슬라이딩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힌지유닛(400)은 베이스 프레임(46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측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제1가이드 프레임(410) 및 제2가이드 프레임(4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412,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412,422)는 제1가이드 프레임(410) 및 제2가이드 프레임(420)과 함께 인서트 사출 성형됨으로써 각 가이드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서트 사출 성형 방법 이외에 방법을 통해 슬라이드 가이드(412,422)가 각 가이드 프레임 상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가이드는 별도로 제작된 후 통상의 체결 또는 접착방법을 통해 각 가이드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1가이드 프레임(410) 및 제2가이드 프레임(4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412,422)는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장기간의 광범위한 사용온도 범위에서도 기계적, 열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고, 탁월한 치수안정성을 갖는 재료의 사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폴리 아세탈(polyoxymethylene), 폴리 아미드(polyamide) 및 폴리아미드 이미드(polyamide imide) 등과 같이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내피로 특성을 갖는 윤활성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크부재(430)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가이드 프레임(410)과 제2가이드 프레임(420)의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베이스 프레임(46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크부재(430)와 베이스 프레임(460) 간의 결합은 통상의 회전핀(464)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44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은 디스크부재(4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1가이드 프레임(4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45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제1링크부재(440)에 대향하여 일단은 디스크부재(4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2가이드 프레임(4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디스크부재(430)에 대한 제1링크부재(440) 및 제2링크부재(450)의 연결지점은 디스크부재(43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 원주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링크부재와 디스크부재(430) 간의 연결 및 상기 각 링크부재와 각 가이드 프레임 간의 결합은 통상의 링크핀(미도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결구조 및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가이드 프레임(410)과 제2가이드 프레임(420)에 각각 하나씩의 링크부재가 연결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각 가이드 프레임에 두개 이상의 다절 링크부재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힌지유닛(400)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품은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정 형상 강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디스크부재(430)가 회전함에 따라 디스크부재(430)와 연결된 제1링크부재(440) 및 제2링크부재(450)에 의해 제1가이드 프레임(410) 및 제2가이드 프레임(420)이 함께 연동되며 베이스 프레임(46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1가이드 프레임(410) 및 제2가이드 프레임(420)에 각각 체결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가 본체부(20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곧 본체부(200)에 대해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를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를 각각 별도로 조작할 필요없이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어느 하나만을 조작하여도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다른 나머지 하나 역시 연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힌지유닛(400)은 본체부(200)에 대한 디스크부재(430)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470)의 일단은 베이스 프레임(460)에 피봇(pivot)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디스크부재(430)에 피봇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디스크부재(430)의 초기 회전시에는 탄성력을 축적하고 디스크부재(430)가 탄성부재(470)의 임계점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탄성부재(470)가 복원되며 이 복원력에 의해 임계점 이후 디스크부재(430)의 회전이 자동적으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부재의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460)에 피봇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이 제1가이드 프레임(410) 및/또는 제2가이드 프레임(420)에 피봇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이 링크부재 또는 여타 다른 부위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70)로서는 통상의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70)를 통한 디스크부재(430)의 탄성적인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460)에는 디스크부재(4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가이드슬롯(462)이 형성될 수 있고, 힌지유닛(400)은 탄성부재(470)의 일단과 디스크부재(430)를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속하며 가이드슬롯(46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슬롯(462)에 수용되는 결속핀(4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탄성부재(470)와 디스크부재(430)를 결속하는 결속핀(472)이 베이스 프레임(460)에 형성된 가이드슬롯(462) 구간 내에서만 가이드슬롯(462)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하며, 결과적으로 디스크부재(430)의 일정 이상 회전이 구속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탄성부재(470)가 사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단 하나의 탄성부재가 사용되거나 3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470)의 개수 및 장착위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힌지유닛(400)을 구성하는 제1가이드 프레임(410), 제2가이드 프레임(420), 디스크(disc)부재, 제1링크부재(440), 제2링크부재(450)가 베이스 프레임(460) 상에 배치 및 조립되며 베이스 프레임(460)과 함께 모듈화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힌지유닛에서 전술한 베이스 프레임을 배제하고 힌지유닛을 구성하는 여타 구성부품들이 본체부 상에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 및 조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링크부재가 제1 및 제2가이드 프레임을 매개로 제1 및 제2커버부에 연결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각 가이드 프레임을 배제하고 각 링크부재가 직접 각 커버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최초 개인휴대단말기는 도 6과 같이,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가 본체부(200)에 대해 중첩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전술한 디스크부재(430)는 탄성부재(47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회전됨이 방지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는 중첩 위치에 배치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의 배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전술한 본체부(200)의 상부 노출면에 구비된 각종 부가장치 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도 3의 214 참조)를 사용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어느 하나를 확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조작하게 되면(이하에서는 제1커버부(310)를 조작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커버부(310)에 결합된 제1가이드 프레임(410)이 베이스 프레임(46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1링크부재(440)를 매개로 디스크부재(430)가 회전하게 된다. 디스크부재(430)가 회전함에 따라 제2링크부재(450)를 매개로 제2가이드 프레임(420)이 베이스 프레임(460)의 타측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2가이드 프레임(420)에 결합된 제2커버부(320)가 제1커버부(310)와 함께 연동되며 확장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키패드(21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1커버부(310)의 조작에 의해 디스크부재(430)가 회전될 시, 디스크부재(430)의 최초 회전시에는 탄성부재(470)가 탄성력을 축적하는 상태로 압축되며, 디스크부재(430)의 회전이 탄성부재(470)의 임계점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470)가 복원되며, 이 탄성력에 의해 디스크부재(430)의 남은 회전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각종 부가장치 또는 키패드(214)를 사용한 후에는 개방시와 반대 방향으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어느 하나를 중첩 위치로 이동하도록 조작할 수 있으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다른 하나 역시 연동되며 중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의 중첩 위치로의 닫힘 조작 역시 전술한 탄성부재(470)에 의해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를 각각 별도로 조작할 필요없이 둘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나머지 다른 하나 역시 연동되며 개폐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개폐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의 개폐 조작이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를 개폐 조작할 수 있으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의 개방상태(확장 위치) 또는 닫힘상태(중첩 위치)가 탄성부재(47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개폐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힌지유닛에 의해 링크 연결방식으로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힌지유닛에 의해 일종의 기어 치합 방식으로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에서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100')는 본체부(200), 제1커버부(310), 제2커버부(320) 및 힌지유닛(400')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유닛은 베이스 프레임(460), 제1가이드 프레임(410'), 제2가이드 프레임(420'), 디스크(disc)부재(430'), 제1치합부재(440'), 제2치합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의 전면(210)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엘씨디(LCD)와 같은 통상의 디스플레이부(212)는 물론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 또는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310)는 선택적으로 본체부(200)에 중첩되는 위치(이하 중첩 위치라 한다)와 본체부(200)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이하 확장 위치라 한다)로 이동 가능하게 본체부(200) 상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커버부(320) 역시 제1커버부(3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본체부(200)에 중첩되는 위치와 본체부(200)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본체부(200) 상에 결합된다.

상기 본체부(200)에 대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의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의 이동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가 본체부(200)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의 장착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는 본체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부(212)를 사이에 본체부(200)의 양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체부(200)의 양단부에 구비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는 본체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접근 및 이격되며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가 확장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본체부(200)의 상부 노출면에는 통상적인 각종 부가장치 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 또는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확장 위치로 이동될 시 본체부(200)에 노출되는 노출면에는 게임 및 각종 기능에 관련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214)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부(200)에 단 두개의 커버부가 구비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부(200) 상에 3개 이상의 커버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커버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유닛(400)은 일측은 제1커버부(31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제2커버부(320)에 연결되어,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어느 하나가 본체부(200)에 대해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될 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다른 하나가 함께 연동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힌지유닛(400)은 베이스 프레임(460), 제1가이드 프레임(410'), 제2가이드 프레임(420'), 디스크(disc)부재(430'), 제1치합부재(440'), 제2치합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410'), 제2가이드 프레임(420'), 디스크(disc)부재(430'), 제1치합부재(440'), 제2치합부재(450')는 베이스 프레임(460) 상에 배치 및 조립되며 베이스 프레임(460)과 함께 모듈화되어 일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46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200)의 내부 저면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460)의 구조 및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410')은 베이스 프레임(460)의 일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상부에는 전술한 제1커버부(310)가 볼트 또는 여타 체결 방법에 의해 일체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420)은 베이스 프레임(460)의 다른 일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상부에는 전술한 제2커버부(320)가 볼트 또는 여타 체결 방법에 의해 일체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410')과 베이스 프레임(460) 간의 슬라이딩 연결구조, 및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420')과 베이스 프레임(460) 간의 슬라이딩 연결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통상의 슬라이딩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부재(430')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디스크부재(430')의 둘레에는 치형(4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부재(430')는 제1가이드 프레임(410')과 제2가이드 프레임(420')의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베이스 프레임(46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디스크부재(430')와 베이스 프레임(460) 간의 결합은 통상의 회전핀(미도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크부재(430')의 둘레에 부분적으로 치형(432')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크부재의 둘레에 전체적으로 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치합부재(44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제1가이드 프레임(410')과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내벽면에는 디스크부재(430')의 치형(432')과 치합(engage)되는 제1랙기어(442')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치합부재(440')와 제1가이드 프레임(410')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제1치합부재(440')와 제1가이드 프레임(410') 간의 결합형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치합부재(440')와 제1가이드 프레임(410')의 결합방식 역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410')의 일측에는 삽입홈(미도시)을 갖는 연장부(미도시)가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치합부재(440')는 연장부의 삽입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제1가이드 프레임(41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치합부재가 통상의 체결 또는 접착방법을 통해 제1가이드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랙기어(442')를 갖는 제1치합부재(440')가 제1가이드 프레임(410')과 별도로 제작된 후 제1가이드 프레임(410')에 결합된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다르게는 제1가이드 프레임의 일측이 랙기어를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제1치합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제1치합부재와 제1가이드 프레임이 별도의 부품이 아닌 하나의 부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치합부재(45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제1치합부재(440')에 대향하여 제2가이드 프레임(420')과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내벽면에는 디스크부재(430')의 치형(432')의 다른 일측에 치합(engage)되는 제2랙기어(452')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치합부재(450')와 제2가이드 프레임(420')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제2치합부재(450')와 제2가이드 프레임(420') 간의 결합형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치합부재(450')와 제2가이드 프레임(420')의 결합방식 역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420')의 일측에는 삽입홈(미도시)을 갖는 연장부(미도시)가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치합부재(450')는 연장부의 삽입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제2가이드 프레임(42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치합부재가 통상의 체결 또는 접착방법을 통해 제2가이드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랙기어(452')를 갖는 제2치합부재(450')가 제2가이드 프레임(420')과 별도로 제작된 후 제2가이드 프레임(420')에 결합된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다르게는 제2가이드 프레임의 일측이 랙기어를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제2치합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제2치합부재와 제2가이드 프레임이 별도의 부품이 아닌 하나의 부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치합부재(440') 및 제2치합부재(450') 각각의 내벽면에는 베이스 프레임(46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 측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홈(444',45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치합부재(440') 및 제2치합부재(450')는 베이스 프레임(46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측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한 상태로 베이스 프레임(460)의 측단부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벽면에 가이드홈(444',454')을 갖는 제1치합부재(440') 및 제2치합부재(450')을 매개로 베이스 프레임(460)과 제1가이드 프레임(410') 및 제2가이드 프레임(420')이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치합부재 및 제2치합부재와 무관하게 제1가이드 프레임 및 제2가이드 프레임이 베이스 프레임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 프레임(410') 및 제2가이드 프레임(420')의 다른 일측에는 전술한 가이드홈(444',454')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안내홈(미도시)을 갖는 슬라이드 가이드(미도시)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가이드는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다른 측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한 상태로 베이스 프레임의 측단부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전술한 제1치합부재(440'), 제2치합부재(450') 및 슬라이드 가이드는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장기간의 광범위한 사용온도 범위에서도 기계적, 열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고, 탁월한 치수안정성을 갖는 재료의 사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폴리 아세탈(polyoxymethylene), 폴리 아미드(polyamide) 및 폴리아미드 이미드(polyamide imide) 등과 같이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내피로 특성을 갖는 윤활성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힌지유닛(400')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품은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정 형상 강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디스크부재(430')가 회전함에 따라 디스크부재(430')와 치합된 제1치합부재(440') 및 제2치합부재(450')를 통해 제1가이드 프레임(410') 및 제2가이드 프레임(420')이 함께 연동되며 베이스 프레임(46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1가이드 프레임(410') 및 제2가이드 프레임(420')에 각각 체결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가 본체부(20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곧 본체부(200)에 대해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를 중첩 위치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를 각각 별도로 조작할 필요없이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어느 하나만을 조작하여도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다른 나머지 하나 역시 연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힌지유닛(400')은 본체부(200)에 대한 디스크부재(430')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470)의 일단은 베이스 프레임(460)에 피봇(pivot)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디스크부재(430')에 피봇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디스크부재(430')의 초기 회전시에는 탄성력을 축적하고 디스크부재(430')가 탄성부재(470)의 임계점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탄성부재(470)가 복원되며 이 복원력에 의해 임계점 이후 디스크부재(430')의 회전이 자동적으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부재의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460)에 피봇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이 제1가이드 프레임(410') 및/또는 제2가이드 프레임(420')에 피봇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이 치합부재 또는 여타 다른 부위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70)로서는 통상의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70)를 통한 디스크부재(430')의 탄성적인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460)에는 디스크부재(4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가이드슬롯(462)이 형성될 수 있고, 힌지유닛(400')은 탄성부재(470)의 일단과 디스크부재(430')를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속하며 가이드슬롯(46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슬롯(462)에 수용되는 결속핀(4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탄성부재(470)와 디스크부재(430')를 결속하는 결속핀(472)이 베이스 프레임(460)에 형성된 가이드슬롯(462) 구간 내에서만 가이드슬롯(462)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하며, 결과적으로 디스크부재(430')의 일정 이상 회전이 구속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탄성부재(470)가 사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단 하나의 탄성부재가 사용되거나 3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470)의 개수 및 장착위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힌지유닛(400')을 구성하는 제1가이드 프레임(410'), 제2가이드 프레임(420'), 디스크부재(430), 제1치합부재(440'), 제2치합부재(450')가 베이스 프레임(460) 상에 배치 및 조립되며 베이스 프레임(460)과 함께 모듈화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힌지유닛에서 전술한 베이스 프레임을 배제하고 힌지유닛을 구성하는 여타 구성부품들이 본체부 상에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 및 조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치합부재가 제1 및 제2가이드 프레임을 매개로 제1 및 제2커버부에 연결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각 가이드 프레임을 배제하고 각 치합부재가 직접 각 커버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최초 개인휴대단말기(100')는 도 10과 같이,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가 본체부(200)에 대해 중첩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전술한 디스크부재(430')는 탄성부재(47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회전됨이 방지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는 중첩 위치에 배치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의 배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전술한 본체부(200)의 상부 노출면에 구비된 각종 부가장치 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도 8의 214 참조)를 사용하기 위해 도 11과 같이,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어느 하나를 확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조작하게 되면(이하에서는 제1커버부(310)를 조작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커버부(310)에 결합된 제1가이드 프레임(410')이 베이스 프레임(46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1치합부재(440')를 매개로 치합된 디스크부재(430')가 회전하게 된다. 디스크부재(430')가 회전함에 따라 이와 치합된 제2치합부재(450')를 매개로 제2가이드 프레임(420')이 베이스 프레임(460)의 타측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2가이드 프레임(420)에 결합된 제2커버부(320)가 제1커버부(310)와 함께 연동되며 확장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키패드(21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1커버부(310)의 조작에 의해 디스크부재(430')가 회전될 시, 디스크부재(430')의 최초 회전시에는 탄성부재(470)가 탄성력을 축적하는 상태로 압축되며, 디스크부재(430')의 회전이 탄성부재(470)의 임계점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470)가 복원되며, 이 탄성력에 의해 디스크부재(430')의 남은 회전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각종 부가장치 또는 키패드(214)를 사용한 후에는 개방시와 반대 방향으로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어느 하나를 중첩 위치로 이동하도록 조작할 수 있으며,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 중 다른 하나 역시 연동되며 중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커버부(310) 및 제2커버부(320)의 중첩 위치로의 닫힘 조작 역시 전술한 탄성부재(470)에 의해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게임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