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PRODUCTION METHOD FOR COMPOST USING STOCK FARM WASTEWATER AND COMPOST PRODUCTION SYSTEM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096673
Kind Code:
A3
Abstract:
Disclosed are a production method for compost using stock farm wastewater and a compost production system.  The compost production method comprises: a step in which stock farm wastewater is anaerobically digested; a step in which solids are separated from the anaerobically digested stock farm wastewater; a step in which ammonia is collected from the solid-free effluent; a step in which multi-phase membrane separation is performed to concentrate nutrient salts, humic acid and micro-inorganic matters in the effluent from which ammonia has been collected; and a step in which the resulting products, having been separated, collected and concentrated respectively by the solid separation step, the ammonia collecting step and the multi-phase membrane separation step, are dried.  It is a benefit of the invention that safe, high-quality dry compost can be produced by collecting as much useful humic acid and nutrient salts as possible from the stock farm wastewater.  Moreover, the dry compost thus produced can be stored and sprayed easily, and when introduced into a farmland the solids are decomposed and the nutrient salts are eluted, so the pollution of rivers and groundwater due to a temporary spill can be avoided.

Inventors:
RHU DAE HWAN (KR)
YEO YEONG KI (KR)
SEO SE WOOK (KR)
YUNE YONG JUNE (KR)
CHOI JIN WON (KR)
LEE BYUNG SUK (KR)
LEE HWA SUN (KR)
CHOI BONG CHEOL (KR)
EUM YOUNG JIN (KR)
KIM HYUN CHEOL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193
Publication Date:
October 08, 2009
Filing Date:
January 14,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BOOKANG TECH CO LTD (KR)
RHU DAE HWAN (KR)
YEO YEONG KI (KR)
SEO SE WOOK (KR)
YUNE YONG JUNE (KR)
CHOI JIN WON (KR)
LEE BYUNG SUK (KR)
LEE HWA SUN (KR)
CHOI BONG CHEOL (KR)
EUM YOUNG JIN (KR)
KIM HYUN CHEOL (KR)
International Classes:
C05F3/00
Foreign References:
KR20000070811A2000-11-25
KR100755486B12007-09-05
KR100453806B12004-10-27
KR20080004441A2008-01-09
Attorney, Agent or Firm:
HAN, Ji Hee et al. (Namchang B/D 748-16,Yeoksam-dong, Gangnam-gu, Seoul 135-925, KR)
Download PDF:
Claims:
축산 폐수의 혐기 소화 단계;

상기 혐기 소화된 축산 폐수에서 고형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고형물이 제거되어 나온 유출수에서 암모니아를 회수하는 단계;

상기 암모니아가 회수되어 나온 유출수에서 영양 염류, 부식산과, 미량 무기 물질을 농축하는 다단계 막분리 단계; 및

상기 고형물 분리 단계, 상기 암모니아 회수 단계 및 상기 다단계 막분리 단계에서 각각 분리되고, 회수되고, 농축된 결과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비 제조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분리 단계에서는 pH를 상승시키는 응집제를 사용하는 퇴비 제조 방법.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는 탄산 칼슘 또는 수산화칼슘인 퇴비 제조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 회수 단계는 상기 고형물이 제거되어 나온 유출수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유출수 중의 암모늄 이온을 암모니아 기체로 탈기하는 단계; 및

상기 암모니아 기체를 산성 용액을 통과시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비 제조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분리막 단계는 상기 암모니아가 회수된 유출수를 와류 발생하에서 한외여과막 또는 정밀여과막으로 통과시키는 제 1 막분리 단계;

상기 제 1 막분리되어 나온 유출수를 역삼투여과막을 통과시키는 제 2 막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퇴비 제조 방법.

혐기 소화 반응 수단;

상기 혐기 소화 반응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고액 분리 수단;

상기 고액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암모니아 회수 수단;

상기 암모니아 회수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다단계 막분리 수단; 및

상기 고액 분리 수단, 상기 암모니아 회수 수단과, 상기 다단계 막분리 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건조 수단을 포함하는 퇴비 제조 시스템.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막분리 수단은 와류 발생 조건 하의 한외여과막 또는 정밀 여과막을 구비하는 제 1 막분리 수단과 역삼투여과막을 구비하는 제 2 막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퇴비 제조 시스템.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축산 폐수를 이용한 퇴비 제조 방법 및 퇴비 제조 시스템

본 발명은 퇴비 제조 방법 및 퇴비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산 폐수를 이용한 퇴비 제조 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퇴비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산 분뇨는 그 발생량은 매우 작지만, 농도가 높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이러한 축산 분뇨를 처리하지 않고 축산 폐수로서 그대로 배출하게 되면 다량의 질소 및 인 성분의 배출로 인하여 환경 오염을 가중시키며 부영양화에 의한 녹조, 적조 현상을 일으켜 수질을 악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다량의 유기 물질이 함유되어 수질 오염을 가속화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개별 축산 농가에서 방류수 수질 기준에 맞게 처리하는데 있어서 수처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그 처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기준으로 오염 부하량을 비교해 볼 때 생활 하수는 200ppm인데 비해 축산 폐수는 10,000 내지 20,000ppm으로서 생활 하수보다 50 내지 100배 높은 상황인 바, 최근 환경 오염에 대한 인식이 높아감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폐수에 대한 규제를 점차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특정 유해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축산 폐수를 이용하여 재활용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축산 폐수를 이용하여 토양에 유용한 물질을 안정적으로 회수하고, 그 적용이 용이한 퇴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퇴비 제조 방법에 이용할 수 있는 퇴비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산 폐수에서 유용한 부식산과, 영양 염류를 최대한 회수하여 고품질의 안전한 건조 퇴비를 생산할 수 있다. 생산된 건조 퇴비는 보관 및 살포가 용이하고 농지에 주입되어 고형물의 분해와 함께 영양 염류가 용출되기 때문에 일시적인 유출에 따른 지하수 및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암모니아 회수 수단과 다단계 막분리 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와류 발생 막분리 공정에 사용되는 막분리 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막분리 수단에 와류 생성용 로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VII-V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로터의 동작시에 생성되는 와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 제조 방법은 축산 폐수의 혐기 소화 단계, 상기 혐기 소화된 축산 폐수에서 고형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고형물이 제거되어 나온 유출수에서 암모니아를 회수하는 단계, 상기 암모니아가 회수되어 나온 유출수에서 영양 염류, 부식산과, 미량 무기 물질을 농축하는 다단계 막분리 단계, 및 상기 고형물 분리 단계, 상기 암모니아 회수 단계 및 상기 다단계 막분리 단계에서 각각 분리되고, 회수되고, 농축된 결과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퇴비 제조 방법에서의 상기 고형물 분리 단계에서는 pH를 상승시키는 응집제를 사용하며, 상기 응집제는 예를 들어 탄산 칼슘 또는 수산화칼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퇴비 제조 방법에서의 상기 암모니아 회수 단계는 상기 고형물이 제거되어 나온 유출수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유출수 중의 암모늄 이온을 암모니아 기체로 탈기하는 단계, 및 상기 암모니아 기체를 산성 용액을 통과시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퇴비 제조 방법에서의 상기 다단계 분리막 단계는 상기 암모니아가 회수된 유출수를 와류 발생하에서 한외여과막 또는 정밀여과막으로 통과시키는 제 1 막분리 단계, 및 상기 제 1 막분리되어 나온 유출수를 역삼투여과막을 통과시키는 제 2 막분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 제조 시스템은 혐기 소화 반응 수단, 상기 혐기 소화 반응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고액 분리 수단, 상기 고액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암모니아 회수 수단, 상기 암모니아 회수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다단계 막분리 수단, 및 상기 고액 분리 수단, 상기 암모니아 회수 수단과, 상기 다단계 막분리 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건조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퇴비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다단계 막분리 수단은 와류 발생 조건 하의 한외여과막 또는 정밀 여과막을 구비하는 제 1 막분리 수단과 역삼투여과막을 구비하는 제 2 막분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 제조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암모니아 회수 수단과 다단계 막분리 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 제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혐기 소화 수단(10), 고액 분리 수단(20), 암모니아 회수 수단(30), 다단계 막분리 수단(40), 및 건조 수단(50)을 포함한다.

퇴비 제조 시스템의 혐기 소화 수단(10)은 산소가 없는 조건 하에서 혐기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혐기 소화 수단(10)에서는 축산 폐수 중 유기물을 가수 분해하고, 산 발효하고, 메탄 발효하여, 이산화탄소, 메탄, 암모니아 등의 가스상 물질로 분해한다.

고액 분리 수단(20)은 혐기 소화 수단(10)에서 소화되어 나온 축산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을 분리해 낸다.

암모니아 회수 수단(30)은 고액 분리 수단(20)에서 고형물이 분리되어 나온 유출수 중의 암모늄 이온(NH 4 + )을 암모니아(NH 3 )로 탈기시킨다.

암모니아 회수 수단(30)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모늄 이온(NH 4 + )을 포함하는 유출수가 위치하는 반응조(32), 상기 반응조(32)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구(도시하지 않음), 반응조(32)에서 탈기되어 나오는 암모니아(NH 3 ) 기체를 산성 용액과 반응시키는 반응조(34) 등을 포함한다.

다단계 막분리 수단(40)은 암모니아가 회수되어 나온 유출수에서 영양 염류, 부식산과, 미량 무기 물질을 농축한다. 다단계 막분리 수단(40)은 예를 들어 두 단계의 막분리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 1 막분리 수단(42)에서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점착성이 있는 고형물을 걸러내고, 제 2 막분리 수단(44)에서는 영양 염류, 부식산과, 미량 무기 물질을 걸러내어 처리수만 유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 1 막분리 수단(42)은 점착성 있는 고형물에 의한 분리막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와류를 발생 조건 하에 분리막이 적용되어 있는 막분리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와류를 발생하는 막분리 수단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퇴비 제조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막분리 수단(42)에 포함되어 있는 분리막은 정밀여과막(microfilteration membrane) 또는 한외여과막(ultrafilteration membrane)일 수 있으며, 제 2 막분리 수단(44)에 포함되어 있는 분리막은 역삼투여과막(Reverse Osmosis membrane)일 수 있다.

건조 수단(50)은 고액 분리 수단(20)에서 분리된 고형물, 암모니아 회수 수단(30)에서 회수된 암모니아, 다단계 막분리 수단(40)에서 농축된 영양 염류, 부식산과, 미량 무기 물질을 건조하여, 완성된 퇴비가 농지 살포에 적합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퇴비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퇴비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비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우선 축산 폐수를 혐기 소화시킨다(S1).

축산 폐수는 소, 돼지 등의 가축에서 나오는 분뇨 등을 포함하는 슬러지 형태의 것으로, 고농도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영양 염류 또한 높은 농도로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축산 폐수를 혐기 소화 반응 수단(도 1의 10)에 유입하여, 축산 폐수 중의 유기물을 가수 분해하고, 산 발효하고, 메탄 발효하여 이산화탄소, 메탄, 암모니아 등의 가스상 물질로 분해한다.

다음, 혐기 소화된 축산 폐수에서 고형물을 분리한다(도 4의 S2).

혐기 소화 반응 수단(도 1의 10)에서 소화된 축산 폐수를 고액 분리 수단(도 1의 20)을 이용하여 고형물을 일차적으로 분리한다. 이때, 효율적인 응집 및 분리를 위해 응집제를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암모니아 회수 공정이 중성 이상의 알칼리 조건, 바람직하게는 pH 9 이상의 알칼리 조건에서 수행되어야 하므로, 응집제로는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높은 pH를 유지시켜 주는 탄산칼슘(CaCO 3 ) 또는 수산화칼슘(Ca(OH) 2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액 분리 수단(도 1의 20)에서 분리된 고형물은 건조 수단(도 1의 50)으로 보내지고, 고형물이 제거되어 나온 유출수는 암모니아 회수 수단(도 1의 30)으로 보내진다.

이어, 고형물이 분리되어 나온 유출수에서 암모니아를 회수한다(도 4의 S3).

고형물이 분리되어 나온 유출수에는 암모늄 이온(NH 4 + )이 녹아 있으며, 응집제의 영향으로 알칼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유출수가 위치하는 반응조(도 2의 32)에 공기를 불어넣어 암모늄 이온(NH 4 + )을 암모니아(NH 3 ) 기체로 탈기한다. 탈기된 암모니아(NH 3 )는 황산(H 2 SO 4 ) 또는 염산(HCl)의 산성 용액이 용해되어 있는 반응조(도 2의 34)를 통과하여 회수된 후 건조 수단(도 1의 50)으로 보내지고, 암모니아가 회수 된 후의 유출수는 다단계 막분리 수단(도 1의 40)으로 보내진다.

다음, 암모니아가 회수 된 유출수를 다단계로 막분리한다(도 4의 S4).

다단계 막분리 공정으로 유입되는 유출수에는 고형물의 농도가 약 500㎎/ℓ 이상되고, 다양한 이온성 물질이 존재한다.

우선, 다단계 막분리 공정에서는 1 단계로서 유출수를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도 3의 42)을 통과시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고형물을 거르게 된다. 이러한 고형물은 점착성이 있어, 단순히 분리막을 통과시키게 하면, 분리막이 막힐 수 있으므로, 와류 발생 조건하에서 막분리 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여기서, 와류란 유체가 소용돌이 치면서 흐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의 와류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난류(亂流)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제 1 단계의 막분리 공정에서는 와류 발생 조건 하에 분리막이 적용되어 있는 막분리 수단(이하, 제 1 막분리 수단)을 사용한다.

와류 발생 막분리 공정을 도 5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와류 발생 막분리 공정에 사용되는 막분리 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막분리 수단에 와류 생성용 로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로터의 동작시에 생성되는 와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막분리 수단(42)은 원수 유입구(110), 처리수 배출구(120), 농축수 배출구(130)를 구비한 배럴(100)과 배럴(100) 내에 설치되는 와류 발생용 로터(200) 및 필터 트레이(30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분리 장치(30) 중 와류 발생용 로터(200)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모터 회전시 와류를 발생하는 것으로, 제 1 로터(210)와 제 2 로터(22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로터(210)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제 1 블레이드(211)를 구비하고, 제 2 로터(220)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블레이드(211)에 대하여 회전축선 방향상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블레이드(221)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막분리 수단(42)을 이용하여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원수 유입구(110) 내로 암모니아가 회수된 유출수가 유입된다. 배럴(100) 내부로 유입된 유출수는 필터 트레이(300)의 분리막, 예를 들어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을 통과하면서, 유출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은 걸러지고,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영양 염류 및 부식산 등을 포함하는 유출수는 처리수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러한 제 1 막분리 수단(42)의 정화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로터(200)가 지속적으로 회전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블레이드(211)와 제 2 블레이드(221)가 로터(200)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상으로 상호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로터(200) 회전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잡한 유형의 와류를 발생한다.

와류에 의해 필터 트레이(300)의 분리막에 부착된 고형물을 다시 떨어지게 하고, 분리막에서 떨어진 고형물은 농축수에 함유된 상태로 농축수 배출구(130)를 통해 배럴(100)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와류를 이용하여 필터 트레이(300)의 분리막에 고착된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와류 발생 막분리 공정에 의한 고형물의 농축율은 약 90%에 이른다.

상대적으로 큰 고형물이 제거된 상기 유출수는 예를 들어 역삼투여과막을 포함하는 제 2 막분리 수단(도 3의 44)으로 유입되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영양 염류, 부식산과, 여러가지 미량 무기 물질은 역삼투여과막에 의해 약 80 내지 90% 정도 농축된다. 즉, 역삼투여과막을 이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영양 염류, 부식산과, 여러가지 미량 무기 물질을 고농도로 농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단계 막분리 공정에서 제 1 막분리 수단(도 3과 도 5의 42)과 제 2 막분리 수단(도 3의 44)에서 각각 농축된 고형물은 건조 수단(도 1의 50)으로 보내지고, 고형물이 제거되어 나온 처리수는 농가에서 재이용할 수 있으며, 일부는 암모니아를 포집하기 위한 산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다음, 각 단계에서 얻어진 고형물들과 회수된 암모니아를 건조한다(도 4의 S5).

고액 분리 수단(도 1의 20)에서 분리된 고형물, 암모니아 회수 수단(도 1의 30)에서 회수된 암모니아와, 다단계 막분리 수단(도 1의 40)에서 농축된 영양 염류, 부식산과, 여러가지 미량 물질을 건조하여 안정한 건조 퇴비 형태로 만들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퇴비에는 영양 염류, 부식산과, 여러가지 미량 물질을 고루 갖추고 있어, 훌륭한 토양 개량제와 영양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영양 염류가 고형물과 함께 포함되어 있어 고형물의 분해와 함께 천천히 용출되기 때문에 강우에 따른 유출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건조에 의해 부피가 감소되어 물류 비용도 감소되며, 퇴비 살포시에 특별한 장비도 요구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다단계 막분리 공정을 통한 영양 염류 등의 농축을 통하여 수분 함량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에 건조시 소모되는 에너지의 절감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축산 폐수를 이용한 퇴비 제조 방법 및 퇴비 제조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