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STEEL PLATE PILING MANAGEMENT SYSTEM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142431
Kind Code:
A3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late piling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anaging steel plates loaded/unloaded to/from a steel plate stockyard divided into unit stockyards files, wherein the system includes: position and weight sensors; work schedule, steel plate, piling status and work history databases; and piling work management and work monitoring means. The position and weight sensors are attached to a crane for transporting steel plates for sensing their transport positions and weights. The work schedule database stores the total work schedule, work type in each work step, and steel plate identification numbers. The steel plate database stores the specific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each steel plate, type and physical quantity data of a relevant steel plate, and transport position of the steel plate. The piling status database stores the identification numbers for steel plates piled in relevant file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number of each file. The work history database stores the work time, work type, identification number of work file, identification number of a steel plate to be worked, and the transport route. The piling work management means stores the specific input number of each steel plate, updates the loaded steel plate database, determines the file where incoming steel plates are to be piled per the piling status database and unloading schedule for steel plates of the same type, issues a work order for steel plates loaded per schedule stored in the work schedule database, selects a desired steel plate per the work schedule database, determines the file where the selected steel plate is piled from the piling status database, and issues a work order where a specific steel plate is to be unloaded. The work monitoring means receives the position of the crane per each work item from the position sensor, updates the work history database, determines whether the work in progress corresponds to the work order sheet, and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a worker terminal if the work in progress does not match. The present invention shortens the work time used for steel plate loading/unloading, and automatically senses an erroneous work done by a worker.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shortens the time used for searching for lost steel plates.

Inventors:
LEE CHEOL SOO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2639
Publication Date:
March 11, 2010
Filing Date:
May 19,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UNIV SOGANG IND UNIV COOP FOUN (KR)
International Classes:
G06Q10/00; G06Q50/00
Domestic Patent References:
WO2001046061A12001-06-28
Foreign References:
KR20050066377A2005-06-30
KR20050024878A2005-03-11
JP2006268079A2006-10-05
Attorney, Agent or Firm:
PARK, Ji Ho (648-23 Yeoksam-Dong Gangnam-gu, Seoul 135-748, KR)
Download PDF:
Claims:
단위 적치장으로서의 파일로 구분되는 적치장에 입출고되는 강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크레인의 이동위치와 파일의 고유 식별번호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전체적인 작업스케줄, 각 작업단계의 작업종류, 작업 대상 강재의 식별번호가 저장되는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

입고 강재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와 해당 강재의 종류 및 물리량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입고강재 데이터베이스;

상기 각 파일의 고유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파일에 적치된 강재의 식별번호가 저장되는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

작업 일시, 작업 종류, 작업 대상 파일 식별번호, 작업 대상 강재 식별번호가 저장되는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의 일정에 따라 강재를 입고하는 경우 강재의 고유번호를 입력받아 강재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종 강재의 출고일정을 참조하여 입고 강재가 적치될 파일을 결정하여 작업지시서를 발급하며, 특정강재를 출고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대상 강재를 선정하고 상기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선정된 강재가 적치된 파일을 결정하여 작업지시서를 발급하는 적치작업 관리수단; 및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각 작업에 따른 크레인의 위치를 전송받아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진행 중인 작업이 상기 작업지시서의 내용과 부합하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발송하는 작업 모니터링 수단:을 구비하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작업 관리수단은 출고될 강재의 상부에 다른 강재가 적치되어 있어 다른 파일로 상부 강재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적치 현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종의 강재의 식별번호와 적치위치를 읽어들이고, 상기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 강재와 상기 동종 강재의 출고시기를 읽어 들인 후 상기 이동 강재와 동종 강재의 출고시기를 비교하여 이동 위치를 더 산출하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작업 관리수단은 이동 위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출고 시기 이외에 적치 현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파일별 적치높이를 더 참조하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강재가 실종된 경우 상기 강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종된 강재와 유사한 시기에 입고된 강재를 확인하고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유사시기에 입고된 강재의 위치를 검색하는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은 상기 유사시기에 입고된 강재 중 유사무게의 강재의 위치만을 검색하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권상되는 강재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는 작업 중인 강재의 무게가 더 저장되고,

상기 작업 모니터링 수단은 진행 중인 작업에 필요한 강재의 무게와 상기 무게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강재의 무게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발송하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컴퓨터를,

전체적인 작업스케줄, 각 작업단계의 작업종류, 작업대상 파일 식별번호 및 해당 파일로부터 입출고 될 강재의 식별번호가 저장되는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

입고 강재에 부여된 고유식별번호와 해당 강재의 종류 및 물리량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강재 데이터베이스;

상기 각 파일의 고유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파일에 적치된 강재의 식별번호가 저장되는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

작업 일시, 작업 종류, 작업 대상 파일 식별번호, 작업 대상 강재 식별번호가 저장되는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의 일정에 따라 강재를 입고하는 경우 강재의 고유번호를 입력받아 강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종 강재의 출고일정을 참조하여 입고 강재가 적치될 파일을 결정하여 작업지시서를 발급하며, 특정강재를 출고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대상 강재를 선정하고 상기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선정된 강재가 적치된 파일을 결정하여 작업지시서를 발급하는 적치작업 관리수단; 및

크레인에 구비된 위치 센서로부터 각 작업에 따른 크레인의 위치를 전송받아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진행중인 작업이 상기 작업지시서의 내용과 부합하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발송하는 작업 모니터링 수단:으로 기능시키기 위한 강재 적치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작업 관리수단은 출고될 강재의 상부에 다른 강재가 적치되어 있어 다른 파일로 상부 강재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적치 현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종의 강재의 식별번호와 적치위치를 읽어들이고, 상기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 강재와 상기 동종 강재의 출고시기를 읽어 들인 후 상기 이동 강재와 동종 강재의 출고 시기를 비교하여 이동 위치를 더 산출하는 강재 적치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작업 관리수단은 이동 위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출고 시기 이외에 적치 현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파일별 적치높이를 더 참조하는 강재 적치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제7항에 있어서,

컴퓨터를

강재가 실종된 경우 상기 강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종된 강재와 유사한 시기에 입고된 강재를 확인하고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유사 시기에 입고된 강재의 위치를 검색하는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으로 더 기능시키기 위한 강재 적치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은 상기 유사시기에 입고된 강재 중 유사무게의 강재의 위치만을 검색하는 강재 적치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는 작업 중인 강재의 무게가 더 저장되고,

상기 작업 모니터링 수단은 진행 중인 작업에 필요한 강재의 무게와 상기 무게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강재의 무게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발송하는 강재 적치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Description: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선박건조용 강재를 야적장에 적치하고 출고하는 전반적인 강재 적치관리를 완전 자동화함으로써 시간,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건조에 사용되는 강재는 선박의 수주에서부터 절단 가공공정에 이르기까지 강재관리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은 강재가 입고되어 야적장에 적치되어 있다가 가공을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넘겨지기 위해 출고되는 과정까지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선박건조에는 큰 하중과 부피를 갖는 강재가 대량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작업 전반에 걸쳐 강재는 일정한 공간에 적치장을 설치하여 두고 작업에 맞추어 강재를 입고하거나 선박건조 작업 스케줄에 따라 필요한 강재를 출고하게 된다.

이러한 강재의 적치관리는 그 하중과 부피의 문제로 인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강재의 관리가 비효율적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손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실종 강재가 생기어 작업에 필요한 강재를 제 시간에 찾지 못하거나, 선박건조 후에 잉여 자재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선박건조용 강재의 적치관리를 위한 방법 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첫 번째 강재 관리방법으로는 적치장(파일) 별 관리는 시행하나 적치장(파일) 내 적치순서 관리는 하지 않으며, PDA 등으로 하달된 작업지시에 따라 현장관리자가 크레인 작업자에게 작업지시를 하고 변경된 강재의 적치위치를 직접 PDA등에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한 군데의 적치장 내에서 강재의 적치순서 등을 관리하지 않아 하부에 적치되어 있는 강재가 작업에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강재 상부에 적치되어 있는 강재를 작업자의 직관에 의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비효율적이며 차후에 실종 강재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으며 강재의 이동위치 등을 작업관리자가 직접 단말기 등을 통하여 입력하여야 하므로 상술한 우려가 더욱 커질 수 있었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바코드를 강재에 부착하여 관리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바코드를 이용하는 방법도 위와 마찬가지로 작업지시자의 직관에 의하여 강재가 적치될 위치를 관리하고 단순히 적치된 위치를 저장해 두는 정도의 관리만 하게 되므로 적중률(한번 이동된 강재가 다음 단계에서 이동 없이 필요로 하는 강재를 출고할 수 있는 정도 즉, 강재관리 시스템의 효율을 나타낸다.)이 30% 미만으로서 강재 적치위치의 관리 면에서 비효율적인 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외에도 실종 강재가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들의 단편적인 기억이나 경험에 따라 직관적인 해결책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해결 시간이나 비용 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인 방법일 수 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선박건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강재의 적치위치를 자동적으로 관리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강재의 적치위치를 자동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제수단으로서 강재의 이동 또는 적치위치를 감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단위 적치장으로서의 파일로 구분되는 적치장에 입출고되는 강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위치센서,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 강재 데이터베이스,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 적치작업 관리수단 및 작업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한다.

위치센서는 크레인의 이동위치와 파일의 고유 식별번호를 감지한다.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에는 전체적인 일자별 작업스케줄, 각 작업단계의 작업종류, 작업 대상 강재의 식별번호가 저장된다.

강재 데이터베이스에는 강재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와 해당 강재의 종류 및 물리량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각 파일의 고유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파일에 적치된 강재의 식별번호가 저장된다.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에는 작업 일시, 작업 종류, 작업 대상 파일 식별번호, 작업 대상 강재 식별번호가 저장된다.

적치작업 관리수단은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의 일정에 따라 강재를 입고하는 경우 강재의 고유번호를 입력받아 입고 강재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종 강재의 출고일정을 참조하여 입고 강재가 적치될 파일을 결정하여 작업지시서를 발급하며, 특정강재를 출고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대상 강재를 선정하고 상기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선정된 강재가 적치된 파일을 결정하여 작업지시서를 발급한다.

작업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위치센서로부터 각 작업에 따른 크레인의 위치를 전송받아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진행 중인 작업이 상기 작업지시서의 내용과 부합하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발송한다.

또한 상기 적치작업 관리수단은 출고될 강재의 상부에 다른 강재가 적치되어 있어 다른 파일로 상부 강재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적치 현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종의 강재의 식별번호와 적치위치를 읽어들이고, 상기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 강재와 상기 동종 강재의 출고시기를 읽어 들인 후 상기 이동 강재와 동종 강재의 출고시기를 비교하여 이동 위치를 더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적치작업 관리수단은 이동 위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출고 시기 이외에 적치 현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파일별 적치높이를 더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가 실종된 경우 상기 강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종된 강재와 유사한 시기에 입고된 강재를 확인하고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유사시기에 입고된 강재의 위치를 검색하는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은 상기 유사시기에 입고된 강재 중 유사무게의 강재의 위치만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권상되는 강재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에는 작업 중인 강재의 무게가 더 저장되고, 상기 작업 모니터링 수단은 진행 중인 작업에 필요한 강재의 무게와 상기 무게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강재의 무게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발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를 아래와 같은 수단으로 기능시킨다.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에는 전체적인 작업스케줄, 각 작업단계의 작업종류, 작업대상 파일 식별번호 및 해당 파일로부터 입출고 될 강재의 식별번호가 저장된다.

입고강재 데이터베이스에는 입고 강재에 부여된 고유식별번호와 해당 강재의 종류 및 물리량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각 파일의 고유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파일에 적치된 강재의 식별번호가 저장된다.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에는 작업 일시, 작업 종류, 작업 대상 파일 식별번호, 작업 대상 강재 식별번호가 저장된다.

적치작업 관리수단은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의 일정에 따라 강재를 입고하는 경우 강재의 고유번호를 입력받아 입고 강재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종 강재의 출고일정을 참조하여 입고 강재가 적치될 파일을 결정하여 작업지시서를 발급하며, 특정강재를 출고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대상 강재를 선정하고 상기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선정된 강재가 적치된 파일을 결정하여 작업지시서를 발급한다.

작업 모니터링 수단은 크레인에 구비된 위치 센서로부터 각 작업에 따른 크레인의 위치를 전송받아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진행중인 작업이 상기 작업지시서의 내용과 부합하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발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은 상기 적치작업 관리수단은 출고될 강재의 상부에 다른 강재가 적치되어 있어 다른 파일로 상부 강재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적치 현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종의 강재의 식별번호와 적치위치를 읽어들이고, 상기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 강재와 상기 동종 강재의 출고시기를 읽어 들인 후 상기 이동 강재와 동종 강재의 출고 시기를 비교하여 이동 위치를 더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적치작업 관리수단은 이동 위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출고 시기 이외에 적치 현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파일별 적치높이를 더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강재가 실종된 경우 상기 강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종된 강재와 유사한 시기에 입고된 강재를 확인하고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유사 시기에 입고된 강재의 위치를 검색하는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으로 더 기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은 상기 유사시기에 입고된 강재 중 유사무게의 강재의 위치만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는 작업 중인 강재의 무게가 더 저장되고, 이 경우 상기 작업 모니터링 수단은 진행 중인 작업에 필요한 강재의 무게와 상기 무게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강재의 무게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으로부터,

본 발명은 강재의 입출고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실종강재의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오작업을 자동으로 감지하며 강재의 위치변화를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치장의 이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적치장 이용률을 증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치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입고 및 출고 작업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적치장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강재를 입고하는 경우의 작업지시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위치센서와 무게센서가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 2: 파일

3: 크레인 10: 중앙서버

11: 작업 스케줄 데이터베이스 12: 적치작업 관리수단

13: 작업 모니터링 수단 14: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

15: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 16: 작업 이력 데이터베이스

17: 강재 데이터베이스 21: 위치센서

22: 무게센서 30: 작업자 단말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적치장은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를 이루는 파일(2; 단위 적치장)과 다수의 파일이 모여 하나의 구역을 이루는 베이(1)로 이루어진다. 크레인(3)은 주로 이동식 크레인이 설치되어 각 파일(2)들 위를 이동하며 입고되는 강재들을 적절한 위치에 적치하거나 선박 제조에 필요한 강재들을 적치된 지점에서 권상작업 후 출고하게 된다.

본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컴퓨터상에서 구현되는 서버(10)부분과 일련의 센서로 구성되는 크레인(20)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크레인(20)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크레인(20)에는 위치센서(21)와 무게센서(22)가 구비된다.

위치센서(21)와 무게센서(22)는 방식에 무관하며 그 목적에 따른 기능만 충족시킬 수 있다면 여러 가지 형태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위치센서(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20)의 이동부에 설치되며, 크레인의 주행구간을 따라 크레인의 절대위치를 측정하는 엔코더, 각 파일에 장치된 기구적 트리거에 의해 작동되어 각 파일을 인식하는 기능을 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ㄱ'자로 휜 막대 형상의 기구적 트리거를 각 파일마다 다르게 배열하여 크레인(20) 이동부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가 특정 파일마다 다르게 터치될 수 있도록 하여 특정파일을 감지하게 된다. 이어서 위치센서(21)는 감지된 해당파일의 고유식별 번호를 후술할 작업 모니터링수단(13)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위치센싱은 상술한 것과 같은 기계적 방식 외에도 근접자석스위치를 이용하거나 적외선을 이용한 감지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무게센서(22)는 권상작업 중인 강재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도록 크레인(20)의 이동부를 따라 이동하는 크레들 하부에 설치하거나 강재 더미를 걸 수 있는 후크 또는 강재를 부착시켜 권상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석 등에 설치된다. 권상작업 중 감지하는 강재의 무게는 후술할 적치작업 관리수단(12)으로 전송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서버(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10)를 구성하는 각 수단들은 컴퓨터를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되며, 하드 디스크 또는 램 등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를 통하여 컴퓨터상에 저장된다.

한편, 서버(10)란 컴퓨터를 일정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하나의 단위로 묶기 위한 용어로서 물리적으로 동일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도 1]에서 서버(10) 내에 표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중앙서버로서 함께 구현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특정 수단만이 크레인 등에 구비된 작업자의 컴퓨터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서버(10)는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11), 강재 데이터베이스(17),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15) 및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16)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부분과 적치작업 관리수단(12), 작업 모니터링 수단(13) 및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14)으로 구성되는 기능부분으로 되어 있다.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11)에는 전체적인 일자별 작업스케줄, 각 작업단계의 작업종류, 작업 대상 강재의 식별번호가 저장된다. 전체적인 작업스케줄이란 선박의 제조와 관련된 단계별 제조 공정을 의미한다. 또한 작업의 종류란 입고 또는 출고 작업인지의 여부를 의미한다.

강재 데이터베이스(17)에는 입고되는 강재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와 해당 강재의 종류, 입고시기 및 물리량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즉, 강재가 입고되는 경우 입고되는 각 강재에는 작업자에 의하여 혹은 순차적으로 강재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되고 이는 후술할 적치작업 관리수단(12)에 의하여 입고강재 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된다. 또한 각 강재마다 강재의 종류, 크기, 부피 등의 물리적 데이터가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입고 시기는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15)에는 각 파일마다 적치된 강재의 현황을 알 수 있도록 데이터가 저장된다. 즉 각 파일을 의미하는 고유 식별번호와 이에 대응하여 적치된 강재의 식별번호가 저장된다. 이 때 한 파일에 적치된 순서 즉 상하관계를 병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하부에 적치된 강재를 권상 작업하여야 할 경우에 이동시킬 상부 강재의 고유번호 및 수량 등을 알 수 있다.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16)에는 작업 일시, 입고 및 출고 등의 작업 종류, 작업 대상 파일 식별번호, 작업 대상 강재 식별번호, 이동위치가 저장된다. 또한 무게센서(22)가 크레인에 더 구비되어 작업 중의 강재 무게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16)에 작업 중인 강재의 무게가 더 저장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적치작업 관리수단(12)을 설명한다.

적치작업 관리수단(12)은 기본적으로 작업 스케줄 데이터베이스(11)를 참조하여 작업자 단말기(30)로 작업 지시서를 발급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작업 지시서의 작성은 입고작업을 하는 경우와 출고작업을 하는 경우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입고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강재를 입고하는 경우 작업자 등으로부터 강재의 고유번호를 입력받아(S10) 강재데이터베이스를 갱신(S20)한다. 다음으로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15)로부터 동종 강재의 출고일정을 참조하여 입고 강재가 적치될 파일을 결정하여(S30) 작업지시서를 발급한다.(S50) 한편, 강재가 적치될 파일을 결정하기 위하여 출고일정 이외에도 각 파일의 적치높이를 참조할 수 있다.

특정강재를 출고하는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11)를 참조하여 출고 대상 강재를 선정하고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15)에서 선정된 강재가 적치된 파일을 결정(S110)하여 작업지시서를 발급한다.

이 때 적치작업 관리수단(12)이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15)를 검색하여 출고될 강재의 상부에 다른 강재가 적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20) 다른 파일로 상부 강재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치 현황 데이터베이스(15)로부터 동종의 강재의 식별번호와 적치 위치를 읽어 들이고, 작업스케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 강재와 동종 강재의 출고시기를 읽어 들인 후 이동 강재와 동종 강재의 출고시기를 비교하여 이동 위치를 더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각 파일에 적치된 강재의 적치 높이를 참조하여 밸런스 등을 더 고려하여 적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S125) 다음으로 적치작업 관리수단(12)이 작업자 단말기(30)로 작업지시서를 발급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작업 모니터링 수단(13)을 설명한다.

작업 모니터링 수단(13)은 위치 센서(21)와 무게센서(22)로부터 각 작업에 따른 크레인의 위치와 이동 중인 강재의 무게를 전송받아 작업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진행 중인 작업이 상기 작업지시서의 내용과 부합하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자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발송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작업진행 도중 작업 대상 강재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이를 서버(10)에 입력하게 되면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14)이 이를 입력받고 실종 강재의 위치를 예측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즉, 실종강재 위치예상 수단(14)은 강재가 실종된 경우 강재 데이터베이스(17)로부터 실종된 강재와 유사한 시기에 입고된 강재를 확인하고 적치현황 데이터베이스(15)로부터 상술한 유사시기에 입고된 강재의 위치를 검색하여 이를 작업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실종강재의 위치예상 적중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사 시기에 입고된 강재 중 유사한 무게의 강재의 위치만을 검색하여 이를 작업자 단말기(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