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TWO-WAY HEATING COOKER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16/099081
Kind Code:
A1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way heating cooker which can quickly heat food received in a receiving space of a cooking container with heat irradiated by an upper heating element and heat appli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can prevent oil splatter when food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oking container is cooked by installing a wing part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and can rotate the upper heating element in the clockwise direction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as to also heat food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oking container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Inventors:
LEE JIN HEE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571
Publication Date:
June 23, 2016
Filing Date:
December 11, 2015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LEE JIN HEE (KR)
International Classes:
A47J37/06
Foreign References:
KR20090057960A2009-06-08
KR20090057959A2009-06-08
KR20130007807A2013-01-21
KR200336237Y12003-12-18
KR20120107904A2012-10-04
Attorney, Agent or Firm:
YANG, Gun Sik (KR)
양건식 (KR)
Download PDF: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내부 중앙에 조리용기 (102)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조리용기 (102)와 연통된 기름배출통로 (104)와 상기 기름배출통로 (104)에 연통 된 기름받이입출구 (106)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 (108)와;

상기 조리용기 (102)으 I 본체 (108)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리용기 (102)를 상,하,측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가열시켜 주는 상부발열체 (142) (144)오 상기 본체 (108)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용기 (102)를 가열하는 하부발열체 (101)와;

상기 본체 (108)의 기름받이입출구 (106)를 통해 상기 본체 (108)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조리용기(102)의 기름배출통로 (104)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 (114)를 포함한것을 특장으로 하는 양방향가열조리기.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세

상기 본체 (108)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본체 (108)의

조리용기 (102)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될 때 기름이 바닥으로 튀는 것을 막아주는 날개부 (112)를 더 포함한것을 특정으로 하는 양방향가열조리기 .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108)의 외면 일측에는 하부이동레버 (111)가 더 설치되는바,

상기 하부이동레버 (111)는 조리용기 (102)로부터 기름배출통로 (104)로 기름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조리용기 (102)의 높낮이를 조절해 주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양방향가열조리기 .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108)에 연결되어 외부 발열체의 작동 및 고정에 필요한 고정부재 (116, 126)를 더 포함한것을 특정으로 하는 양방향가열조리기:. 청구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발열체 (142) (144)는,

상기 고정부재 (116, 126) 사이에 이동 및 고장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양방향가열조리기.

Description:
발명의 명청 : 양방향가열조리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일반적으로, 열 (熱)이 전달되는 메카니즘은 전도 ( Conduct i on)오 (· 대류 ( Convect i on) 및 복사 ( Rad i at i on)로 대별도 I는바, 전도열은 주로 고체에 의해 전달되고 대류열은 주로 유체에 의해 전달된다.

그리고, 복사열은 어떤 발열체의 표면으로부터 전자파 형태의 에너지가 방출되는 과정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으로서, 매질이 없는 상태에서도 열 (熱)이 ¾의 속도로 방출되어 피사체까지 직접 전달된다. 이러한 복사열의 파장 범워는 적외선에서부터 가시광선 영역을 거처 파장이 가장 짧은 자외선의 영역에까지 이른다. 그러나,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에 비해 원적외선고 ^ 근, 중 적외선고 I" 같은 적외선 파장영역 대가가장 강한열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적외선을 이용한 조리용품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보면 국내 발명등록 제 10-779225 호에는 의부가 석영관으로 구성된 적외선 램프오ᅡ, 상기 적외선 램프의 상단에 설치된 조리용기과, 상기 적외선 램프의 하단에 설치된 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고기구이기가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적외선 고기구이기는 적외선 램프가 조리용기를 가열하고, 이 조리용기가 고기의 하부만을 익혀주는 일방향 가열방식으로서, 고기가 타지 않도록 계속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열효을도 떨어진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20-314608 호에는 석쇠 상부에 적당한 거리를 두고 근적외선 램프를 설치하고, 이 램프 상부에는 반사판을 설치한 육류구이기가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육류구이기는 석쇠 위에 올려진 고기에 직접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고기를 굽기 때문에 육질 내부까지 골고루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육류 구이기 역시 램프에서 발사되는 근적외선이 고기의 상부만 익혀주는 일방향 가열방식으로서, 고기를 계속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ᅵ

더욱이, 이러한 적외선을 이용한 조리용기의 경우 조리용기에 올려진 식품을 익히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과 함께ᅳ 조리용기에 올려진 식품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에 걸치어 적외선램프를 점등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전기료의 증가여| 의한비용부담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여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종래 조리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출원 제 10-2009-0006812 호인 양방향 가열 조리기를 안출한 바 있으며, 이는 하부구조를 형성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으 I 상면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도 |는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차되여, 중앙에는 상기 지지대가 관통하는 증앙흩이 형성되어 있는 조리용기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된 덮개오ᅡ, 상기 덮개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향하여 복사열 ( R)을 방출하는 상부발열체오ᅡ, 상기 조리용기의 하단면에 구성되어 조리용기에 직접적인 열을 전달하는 하부 가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ᅳ 상기 조리용기는 상기 상부발열체로부터 조사되는 복사열고ᅡ, 상기 하부발열체의 직접가열에 의해 뜨겁게 가열되고, 음식물은 상기 상부발열체의 복사열고ᅡ 하부발열체의 직접가열 에 으 I해 상부와 하부가동시에 익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발열체와 하부발열체에 의해 음식물의 상부와 내부를 익혀줌으로써, 종래의 일방향 조리기에 비하여 열효을이 우수하고, 특히 고기와 같은 구이용 음식물을 계속 뒤집어 주지 않아도 태우지 않고 골고루 익힐 수 있으여, 따라서 조리과정에서 연기나 냄새가거으 I 나지 않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 10-2009-0006812 호인 양방향 가열 조리기의 경우 하부발열체의 상단에 홑려진 조리용기를 세척하기 위해 분리하거나 또는 조리용기를 하부발열체의 상단에 을려놓을 때, 상부발열체를 하부발열체오ᅡ 연결되는 지지대로부터 분리하여야만 조리용기를 하부발열체에 올려놓을 수 있음으로써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조리용기의 결합구조가 상기 조리용기의 내측 중앙에 통공된 관통흘을 상기 지지대의 상부측으로부터 인입하여 끼우는 끼움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조리용기를 하부발열체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결합할 때 필수적으로 상부발열체 를 먼저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저하되고 불편한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발열체에 용기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구조상의 유리한 점에도 불구하고 구이용이나 찌개용 또는 전골용과 같이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다양한 조리 용기를 교체하거나 흑은 조합된 용기들을 동시에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9 년 05 월 19 일자 출원번호 제 10-2009-0043420호 (발명의 명청 : 개량 양방향가열 조리기)로 출원한바 있으 며, 청구범위는 " 상부측에 위치되고 내부에 복사열을 방출하는 열발산부가 구성 된 상부발열체 ( 11 )오ᅡ, 하부축에 위치되고 내부에 가열부가 구성된 하부발열체 ( 12)와 상기 상부발열체 ( 11 )오ᅡ 하부발열체 ( 12)를 연결하는 지지대 ( 13)로 구성된 양방향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발열체 ( 12)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턱 ( 14)을 더 형성하고, 상기 하부발열체 ( 12)의 결합턱 ( 14)에 안착되는 제 1 결합홈 (21)이 하부들레부를 따라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된 절개부 (22)기" 형성되여 상기 절개부 (22)와연결되어 상기 지지대 (13)의 외면에 접하는 제 1지지턱 (23)이 내측 중앙에 형성된 제 1용기부 (20)와; 상기 제 1용기부 (20)의 절개된 절개부 (22)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발열체 (12)의 결합턱 (14)에 안착되는 제 2 결합홈 (31)이 하부측에 형성되여 내측에 상기 지지대 (13)의 외면에 접하는 제 2 지지턱 (32)이 형성된 제 2 용기부 (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 " 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개량 양방향 가열 조리기는 조리용기의 측면에 날개부가 없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의 기름이 하부 바닥 등으로 튀기 때문에 양방향가열조리기의 주변이 지저분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종래의 개량 양방향 가열 조리기의 상부발열체는 고정되어 있는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음식울을 측면에서 가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음식울을 골고루 가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발열체에 의해 조사되는 열고ᅡ 조리 용기의 하측에서 가열되는 열로 조리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uuᅡ르게 데워지도록 함과 아울러 조리용기으 I 축면에 날개부를 설치하여 조리용기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의 기름이 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고 상부발열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바, 조리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측면에서도 가열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여,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가열조리기는,

내부 중앙에 조리용기 (102)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조리용기 (102)와 연통된 기름배출통로 (104)와상기:기름배출통로 (104)에 연통 된 기름받이입출구 (106)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 (108)와;

상기 조리용기 (102)의 본체 (108)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리용기 (102)를 상ᅳ하,측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가열시켜 주는상부발열체 (142)(144)오 h 상기 본체 (108)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용기 (102)를 가열하는

하부발열체 (101)와;

상기 본체 (108)의 기름받이입출구 (106)를 통해 상기 본체 (108)의 내부에 안착 되어 상기 조리용기 (102)의 기름배출통로 (104)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 114)를 포함한다.

도면의 간단한설명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가열조리기를 나타낸 도면 ,

도 1B는 도 1A의 양방향가열조리기의 요부를 절개한도면 ,

도 2는 도 1A의 양방향가열조리기의 요부를 분해한 도면, 도 3은 도 1A의 양방향가열조리기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A의 양방향가열조리기으ᅵ 평면을 나타낸 도면 ,

도 5는 도 1A의 회전봉의 요부를 확대한도면 ,

도 6은 도 1A의 회전가이드의 요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1A의 회전가이드에서 회전봉이 회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1A의 양방향가열조리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가열조리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 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A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가열조리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 B 는 도 1A 의 양방향 가열조리기의 조리용기 ( 102)의 상,하 조절고ᅡ 상부발열체 ( 142 , 144)의 회전체의 고정에 필요한요부를 절개한도면이여, 도 2는 도 1A으 I 양방향 가열조리기의 요부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3 은 도 1A 의 양방향 가열조리기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여, 도 4 는 도 1A 의 양방향 가열조리기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A의 회전봉의 요부를 확대한도면이며, 도 6은 도 1A의 회전가이드의 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양방향 가열조리기 ( 100)는, 내부 중앙에 하부발열체 (101)로 가열되는 조리용기 (102)를 구비함과 아을러 상기 조리용기 (102)와 연통 된 기름배출통로 (104)와 상기 기름배출통로 (104)에 연통된 기름받이입출구 (106)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 (108)오ᅡ;

상기 조리용기 (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 (108)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용기 (102)를 가열시켜 주는 하부발열체 (101)와;

상기 조리용기 (10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조리용기 (102)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될 때 기름이 하부 바닥으로 튀는 것을 막아주 는 날개부 (112)오 h

상기 본체 (108)의 기름받이입출구 (106)를 통해 상기 , 본체 (108)의 내부에 안착 되어 상기 조리용기 (102)으 I 기름배출통로 (104)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 (114)오 h

상기 본체 (108)의 외면 일측에 설치 고정된 제 1고정부재 (116)오

상기 제 1 고정부재 (116)의 일측에 설치되되, 내면에 호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홈 (118)을 구비하고 있는 제 1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20)오ᅡ;

상기 제 1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2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고정부재 (116)의 일측에 설치되되, 내면에 호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홈 (118) 을 구비하고 있는 제 2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22)오 I";

상기 제 2 호형상의 희전가이드 (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고정부재 (116)의 외면 일측에 설치된 조작부 (124)와;

상기 제 1 고정부재 (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상기 본체 (108)의 외면 일측에 설치 고정된 제 2고정부재 (126)오ᅡ; 상기 제 2 고정부재 (126)의 일측에 설치되도 I, 내면에 호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체결홈 (118)을 구비하고 있는 제 3 호형상의 희전가이드 (128)오ᅡ;

상기 제 3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2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 2 고정부재 (126)의 일측에 설치되되, 내면에 호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홈 (118) 을 구비하고 있는제 4호형상의 희전가이드 (130)오 ;

상기 제 1 호형상으ᅵ 희전가이드 (120)에 희전 가능하게 설치되도ᅵ, 일측에 볼플런저 (132)를 구비하고 있는 제 1희전봉 (134)과;

상기 제 2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볼플런저 (,132)를 구비하고 있는 제 2희전봉 (136)과;

상기 제 3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2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볼들런저 (132)를 구비하고 있는 제 3회전봉 (138)과;

상기 제 4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30)에 희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볼플 H저 (132)를 구비하고 있는 제 4회전봉 (140)과; ,

상기 제 1 회전봉 (134)고 제 3 희전봉 (138)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회전봉 (134)과제 3회전봉 (138)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 (108)의 조리용기 (102)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음식물로 열을 조사하여 음식물을 가열시켜주는 제 1 상부발열체 (142)오

상기 제 2 회전봉 (136)과 제 4 희전봉 (14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 2 희전봉 (136)과제 4희전봉 (140)의 희전에 따라 상기 본체 (108)의 조리용기 (1Ό2)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음식물로 열을 조사하여 음식물을 가열사켜주는 제 2 상부발열체 (144)를 포함한다.

여기서 , 제 1상부발열체 (142) 및 제 2상부발열체 (144)는적외선램프이다. 한편ᅳ 상기 본체 (108)의 외면 일측에는 하부이동레버 (111)가 설치되는바, 상기 하부이동레버 (111)는 조리용기 (102)로부터 기름이 기름배출통로 (104)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조리용기 (102)의 높낮이를 조절해 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가열조리기 (100)의 조립과정 및 入용 상태를설명하면 다응과 같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가열조리기 (100)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조립순서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내부 중앙에 조리용기 (102)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조리용기 (102)오ᅡ 연통 된 기름배출통로 (104)와 상기 기름배출통로 (104)에 연통된 기름받이입출구 (106) 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 (108)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 (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 (108)의 내부에 상기 조리용기 (102)를 가열시켜 주는 하부발열체 (101)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 (10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날개부 (112)를 설치 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 (112)는 조리용기 (102)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 이 조리될 때 기름이 하부 바닥으로 튀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 (102)는 사용의 편의상 하부이동레버 (111)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108)의 기름받이입출구 (106)를 통해 상기 본체 (108)의 내부에 기름받이 (114)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 (108)의 외면 일축에 체결홈 (118)을 구비하고 있는 제 1 호형상 의 희전가이드 (120)와 체결홈 (118)을 구비하고 있는 제 2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22)를 갖는 제 1고정부재 (11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부재 (116)의 외면 일축에 조작부 (124)를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부재 (1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상기 본체 (108) 의 외면 일측에 체결홈 (118)을 구비하고 있는 제 3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28)와 체결홈 (118)을 구비하고 있는 제 4 호형상의 희전가이드 (130)를 갖는 제 2 고정 부재 (126)를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20)에 볼플런저 (132)를 구비하고 있는 제 1 회전봉 (134)을 희전 가능하게 설치시킨 후, 상기 제 2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22)에 볼플런저 (132)를 구비하고 있는 제 2 회전봉 (136)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28)에 볼플런저 (132)를 구비하고 있는 제 3 희전봉 (138)을 희전 가능하게 설치시킨 후, 상기 제 4 호형상의 회전가이드 (130)에 볼플런저 (132)를 구비하고 있는 제 4 희전봉 (140)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 하고 회전가이드 내부에는 회전된 회전봉 (140, 138)을 잡아 주는 고정체가 있고 이것으로 희전봉을 세웠을 때 고정할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봉 (134)과 제 3 회전봉 (138) 사이에 상기 본체 (108)의 조리용기 (102)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로 열을 조사하여 음식물을 가열시켜 주는 제 1상부발열체 (142)를 설치한 후, 상기 제 2회전봉 (136)과제 4희전봉 (140) 사이에 상기 본체 (108)의 조리용기 (102)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로 열을 조사하여 음식물을 가열시켜주는 제 2상부발열체 (144)를 설치한다.

그리고, 조작부 (124)에 제 1 상부발열체 (142)와 제 2 상부발열체 (144) 및 하부발열체 (101)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가열조리기 (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본체 (108)의 조리용기 (102)의 수용공간에 조리할음식물을 위치시킨다.

그리고ᅳ 제 1회전봉 (134)과제 3회전봉 (138) 사이에 설치된 제 1상부발열체 (142)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 2회전봉 (136)과 제 4희전봉 (140) 사이에 설치된 제 2상부발열체 (144)를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 1 상부발열체 (142) 및 제 2상부발열체 (144)가 도 1A어 i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조작부 (124)의 조작스위치를 온 (ON) 한다. ' .

상기 조작부 (124)으 I 조작에 따라 하부발열체 (101)는 밀에서 조리용기 (102)를 가열하고 제 1상부발열체 (142) 및 제 2상부발열체 (144)는 위에서 조리용기 (102)와 조리용기 위의 음식물을 가열한다.

그리고, 조리용기 (102)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가 거으 I 완료될 때, 사용자는 제 1 상부발열체 (142) 및 제 2상부발열체 (144)를 조금씩 하부 바닥으로 내린다. 이때, 회전봉 (134, 136, 138, 140)의 볼플런저 (132)가 체결홈 (118)에 체결된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측면에서 각도를 조절하면서 가열할수 있다.

한편, 본체 (108)의 상단에 날개부 (112)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날개부 (112)는 본체 (108)의 조리용기 (102)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될 때 기름이 하부 바닥으로 튀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ᅳ 조리용기 (102)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부발열체 ( 142) 및 제 2 상부발열체 ( 144)를 하부 바닥으로 내린 후, 조작부 ( 124)를 조작 스위치를 오프 ( OFF) 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으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으ᅵ 진정한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가열조리기는 상부발열체에 의해 조사되는 열과 조리용기의 하측에서 가열도 I는 열로 조리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빠르게 데워지는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측면에 날개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 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의 기름이 바닥으로 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음식물의 조리시, 양방향 가열조리기의 주변이 깨끗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발명은 상부발열체가 시계방향 또는 반사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바, 조리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측면에서도 가열할 수 있기 때 문에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