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USER-VIEW OUTPUT SYSTEM AND METHOD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151220
Kind Code:
A3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oncerns a user-view output system and method. The user-view output system outputs a screen from a user's viewpoint. The system comprises: a data-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creen output data; a camera positioned at the user's point of view; a viewing-angl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in such a way that the output from the camera coincides with the user's viewing angle; and a user-view outputting unit for outputting, onto a screen, a captured image from the camera based on the screen-output data.

Inventors:
SEO JUNG KAK (KR)
KIM YUNHAN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2789
Publication Date:
February 25, 2010
Filing Date:
May 27,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THINKWARE SYSTEMS CORP (KR)
SEO JUNG KAK (KR)
KIM YUNHAN (KR)
International Classes:
G08G1/0962
Foreign References:
KR20080004034A2008-01-09
JP2006098924A2006-04-13
JP2004150918A2004-05-27
JP2007040761A2007-02-15
JP2004045185A2004-02-12
Other References:
See also references of EP 2293269A4
Attorney, Agent or Firm:
ROYAL PATENT & LAW OFFICE (DOWON Bldg.1059-11 Nam-Hyun Dong, Kwanak Gu, Seoul 151-800, KR)
Download PDF:
Claims:
화면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사용자 시점에 위치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출력이 사용자 시야각과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시야각 제어부; 및

상기 화면출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화면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공에 위치하는 카메라 시점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미니맵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은 턴 포인트 및 POI(Point of Interest)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은 사용자 시점 화면 상의 경로선 및 건물의 위치를 고려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의 크기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이고, 동시에 상기 경로선 및 건물과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시점 출력 화면과 상기 미니맵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카메라를 유지하고, 상기 화면 출력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터치 시 미니맵을 확대하여 전체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의 전체 화면 출력 후 상기 미니맵 내의 소정의 영역 터치 시,

상기 터치된 소정의 영역으로 카메라를 이동하여 화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화면 터치 시 사용자 상공의 카메라 시점 화면으로 화면 출력 모드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화면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시점에 카메라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출력이 사용자 시야각과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출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화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방법.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공에 카메라를 위치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상공에 위치하는 카메라 시점에서 촬영한 미니맵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방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은 턴 포인트 및 POI(Point of Interest)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방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은 사용자 시점 화면 상의 경로선 및 건물의 위치를 고려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방법.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의 크기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이고, 동시에 상기 경로선 및 건물과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방법.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 시점 출력 화면과 상기 미니맵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카메라를 유지하고, 상기 화면 출력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방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터치 시 미니맵을 확대하여 전체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방법.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의 전체 화면 출력 후 상기 미니맵 내의 소정의 영역 터치 시,

상기 터치된 소정의 영역으로 카메라를 이동하여 화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방법.

제10항에 있어서,

화면 터치 시 사용자 상공의 카메라 시점 화면으로 화면 출력 모드를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뷰 출력 방법.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escription: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위치에 카메라를 위치시키고, 사용자 시야각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점에서 화면을 출력하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 등을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3D 출력화면을 통해 보다 사실감 있게 사물을 표현하여 쉽고 정확하게 운전하고자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3D 화면 출력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점에서 화면을 출력한다면 보다 현실감 있고 사실적인 사물의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점에서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현재위치와 지나가야 할 먼거리의 주행화면도 함께 볼 수 있는 별도의 맵을 출력하는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의 시인성을 높이고 현실감 있는 사물을 표현하기 위한 사용자 시점의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별도의 미니맵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에 카메라를 위치시키고, 사용자 시야각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점에서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현실감 있는 3D 객체를 표현하고 현재 위치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점에서 화면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이한 시점에서의 미니맵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현재위치 및 다른 지역의 화면도 함께 볼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은, 화면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사용자 시점에 위치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출력이 사용자 시야각과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시야각 제어부 및 상기 화면출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화면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뷰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상공에 위치하는 카메라 시점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미니맵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니맵은 사용자 시점 화면 상의 경로선 및 건물의 위치를 고려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니맵의 크기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이고, 동시에 상기 경로선 및 건물과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는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시점 출력 화면과 상기 미니맵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카메라를 유지하고, 상기 화면 출력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화면 터치 시 사용자 상공의 카메라 시점 화면으로 화면 출력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뷰 출력 방법은, 화면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시점에 카메라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출력이 사용자 시야각과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출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화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상공에 카메라를 위치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상공에 위치하는 카메라 시점에서 촬영한 미니맵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에 카메라를 위치시키고, 사용자 시야각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점에서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현실감 있는 3D 객체를 표현하고 현재 위치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점에서 화면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이한 시점에서의 미니맵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현재위치 및 다른 지역의 화면도 함께 볼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뷰 출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화면 터치시 화면 출력 모드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니맵을 함께 출력하는 사용자 뷰 출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100)은 데이터 수신부(130), 카메라(110), 시야각 제어부(120), 사용자 뷰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130)는 화면을 출력하는데 필요한 지도 데이터 등을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지도 데이터는 화면에 출력하고자 하는 도로, 시설물 및 POI(Point of Interes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사용자의 시점에 위치한 카메라이다. 이때, 카메라는 스크린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눈을 가정한 것으로 3차원 공간을 바라보는 개체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시점은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수단 등을 운전하는 시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차량 등의 운전자의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점을 의미하고 보행자 등의 경우에는 보행자의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시야각 제어부(120)는 상기 카메라의 출력이 사용자 시야각과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즉, 시야각 제어부(120)는 카메라의 시야각과 실제 사람의 시야각과 유사하도록 카메라의 시야각을 일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 뷰 출력부(140)는 상기 화면 출력 데이터를 기초로 카메라(110)의 촬영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화면 출력 데이터를 기초로 카메라(110)가 위치한 시점에서 촬영한 영상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시점의 출력 화면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출력화면의 모드를 변경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출력화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변경되는 출력화면 모드는 2D의 탑 뷰(top view) 모드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한 모드로 변경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도 상의 사용자의 위치에 카메라를 위치시키고, 사용자 시야각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점에서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현실감 있는 3D 객체를 표현하여 현재 위치를 보다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 뷰 출력 시스템(200)은 데이터 수신부(230), 제1 카메라(210), 제2 카메라(240), 시야각 제어부(220), 사용자 뷰 출력부(240), 미니맵 출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시점의 촬영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다른 시점에서 촬영한 화면을 표시하는 미니맵을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230)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화면에 출력하고자 하는 지도 데이터 등을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미니맵과 사용자 시점의 화면은 같은 지점을 다른 뷰 모드로 출력하는 것이므로 데이터 수신부(23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하고 화면 출력시 각각의 카메라를 기초로 각기 다른 모드로 출력하도록 수 있다.

제1 카메라(210)는 사용자의 시점에 위치한 카메라이고, 제2 카메라(240)는 사용자의 상공에 위치한 카메라이다. 이때 제2 카메라(240)는 사용자와 기설정된 거리 이격된 상공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늘에서 내려다보듯 사용자 상공의 시점에서 촬영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탑 뷰(top view)를 제공할 수 있다.

시야각 제어부(220)는 제1 카메라(210)의 출력이 사용자 시야각과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뷰 출력부(250)는 제1 카메라(210)의 촬영 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 시점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미니맵 출력부(260)는 제2 카메라(240)의 촬영 영상을 화면의 소정 부분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미니맵은 2D 모드의 탑 뷰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미니맵은 턴 포인트 및 POI(Point of Interest)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시점의 출력화면은 턴 포인트, POI(Point of Interest) 및 사용자 후방을 출력하지 않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들을 출력하는 미니맵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 뷰 화면과 함께 미니맵을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미니맵의 소정 영역 또는 사용자 뷰 화면의 소정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미니맵을 확대하여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니맵 또는 사용자 뷰 화면의 소정영역을 터치하는 경우는 미니맵을 확대된 화면으로 관찰하고 터치를 통한 좌표이동을 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바, 미니맵을 확대하여 전체화면으로 보여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니맵을 확대하여 전체화면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터치된 미니맵의 소정 영역 또는 사용자 뷰 화면의 소정영역으로 카메라가 이동하여 전체화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미니맵을 전체화면으로 확대한 후 미니맵의 소정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미니맵의 제2 카메라(240)가 상기 터치된 소정 영역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의 후방 등을 보고자 하는 경우, 미니맵 내의 보고자 하는 영역을 터치하여 원하는 곳을 볼 수 있다.

또한 화면 출력되는 미니맵의 위치 및 크기는 시점 화면 상의 경로선 및 건물의 위치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미니맵의 크기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이고, 동시에 상기 경로선 및 건물과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는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니맵이 사용자에게 인식되기 쉬운 최소한의 크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최소한의 크기 이상이면서 동시에 사용자 시점의 화면 상에 출력되는 경로선 및 건물 등을 최소한으로 가리게 되는 최적의 크기를 산출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미니맵의 크기는 실험 값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크기를 설정,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시점의 사용자 뷰와 동시에 이와 다른 시점의 미니맵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현재위치 및 다른 지역의 화면도 함께 볼 수 있으며, 사용자 뷰에 나타나지 않는 턴 포인트, POI 등을 출력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뷰 출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단계(S310)에서는 화면에 출력할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데이터는 지도 데이터 등을 의미하며, 화면 출력에 필요한 도로 데이터, 시설물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는 사용자 시점에 카메라를 위치시킨다. 3D 영상의 경우,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시점을 달리하여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점에서 바라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자 시점에 카메라를 위치시킬 수 있다.

단계(S330)에서는 카메라의 출력이 사용자 시야각과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즉, 카메라의 시야각과 실제 사람의 시야각과 유사하도록 카메라의 시야각을 일치시킬 수 있다.

단계(S340)에서는 화면 출력 데이터를 기초로 카메라 촬영 영상을 출력한다. 즉, 수신한 지도 데이터 등을 기초로 카메라의 시점에서 촬영한 영상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단계(S350)에서는 사용자 상공에 별도의 카메라를 위치시키고 그 촬영 영상을 미니맵으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시점의 출력 영상은 턴 포인트, POI 등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미니맵을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미니맵은 별도의 카메라를 가지며, 화면 출력을 위한 데이터는 사용자 시점의 출력 영상을 위한 화면 출력 데이터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미니맵은 사용자 상공에서 내려다본 탑 뷰(top view)일 수 있으며, 2D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화면 터치시 화면 출력 모드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뷰 화면(410)은 사용자의 시점에서 3D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뷰는 보다 사실적이고 실감나는 영상을 제공하여 도로를 보다 쉽게 인식하고 정확한 지점 파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사용자의 후방을 확인하고 싶거나 턴 포인트, POI 등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등은 화면 터치 등을 통해 다른 모드의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 뷰 화면(410)을 터치하여 탑 뷰 화면(420)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탑 뷰 화면에서는 턴 포인트(422), POI(421) 등이 나타난다. 또한 탑 뷰 화면에서는 사용자 후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해당 지점으로 카메라가 이동하여 화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뷰 화면을 제공하여 보다 현실감 있고 시인성이 높은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뷰 화면 터치 등의 간편한 방법을 통하여 다른 뷰 모드로 화면을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니맵을 함께 출력하는 사용자 뷰 출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 뷰 화면(510)출력과 동시에 미니맵(52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미니맵은 기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미니맵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 사용자 뷰 화면(510)상의 건물, 경로선 등과 중첩되어 사용자 뷰 모드의 실효성을 거두기가 어려우므로, 건물, 경로선 등과 중첩되는 범위를 최대한 줄이는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미니맵의 크기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이고, 동시에 상기 경로선 및 건물과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는 크기이며, 이는 실험 등에 의해 적절한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니맵의 크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임으로 크기를 설정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미니맵(520)이 사용자 뷰 출력(510)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뷰에는 나타나지 않는 턴 포인트(521), POI(522)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후방의 상황도 인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 시점에서 화면을 출력하는 사용자 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사실감 있는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도로 상황을 보다 쉽게 인식하도록 하며, 미니맵을 동시에 출력하여 사실감 있는 화면과 함께 턴 포인트, POI 등의 출력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화면 출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뷰 출력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