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VERSATILE ENVELOPE CARD AND 3D CARD USING THE SAME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142426
Kind Code:
A2
Abstract:
Disclosed are a versatile envelope and a 3D card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front face panel having a display window, lateral face panels and a bottom face panel, wherein the lateral sides of the front face panel are folded and inserted into each other to form a stand card or a frame card, and a pop-up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pace defined in the front and bottom face panels, thereby creating 3D effects and providing easy-to-make cards of increased versatility.

Inventors:
JANG YOUNG MI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2633
Publication Date:
November 26, 2009
Filing Date:
May 19,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JANG YOUNG MI (KR)
International Classes:
B42D15/04; A47G1/06; A47G1/14; B42D15/02
Foreign References:
JP2006035577A2006-02-09
US5822897A1
KR20080022028A2008-03-10
KR19980061545U1998-11-05
JPH059978U1993-02-09
Attorney, Agent or Firm:
CHO, HYEON SEOG (KR)
조현석 (KR)
Download PDF:
Claims:
액자로 변신 가능한 다용도 봉투카드에 있어서,

현출창이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변을 접으면 상기 전면판의 후면과 대면하는 하면판;

상기 전면판의 좌우측변을 각각 접은 후 좌우측변의 한쪽에 각각 형성된 끼움부를 서로 끼워 결합하면 스탠드 액자의 받침대가 형성되고, 한쪽에 형성된 끼움부를 다른 한쪽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 결합하면 상기 하면판에 밀착되어 벽걸이용 액자가 되도록 결합되는 경사진 좌우측면 판;

상기 전면판의 후면과 상기 하면판 사이에 삽입하는 현출판;및

상기 전면판의 상변을 접어서 상기 좌우측면 판 사이로 끼워 결합하여 상기 현출판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상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판은 상기 전면판의 후면과 대면하는 면에 사진이나 그림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면 판은 상기 받침대의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상하부위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한 장의 종이를 접어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로 변신 가능한 다용도 봉투카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면 판은:

좌우 말단부에 대칭되게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끼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 중 어느 한쪽의 끼움부를 다른 한쪽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로 변신 가능한 다용도 봉투카드.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판은:

상기 전면판의 상변을 접지 않고 편 상태로 두면 벽걸이용 구멍에 의해 벽걸이용 액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로 변신 가능한 다용도 봉투카드.

현출창이 형성된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하측에 연결되고 제 1 접음선에 의하여 접은 다음 제 2 접음선에 의하여 접히어 상기 전면판과 공간을 형성하는 하면판; 및

상기 전면판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연결되어 접히고, 그 하단부에는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는 경사부를 각각 구비한 제 1 측면판과 제 2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측면판; 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은 상기 제 1 측면판과 제 2 측면판을 접은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에 의하여 받침대가 형성되도록 하는 입체 카드.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판은

그 일측에 상기 현출창으로 투시되며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팝업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드.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부는,

상기 하면판과 분리되는 다수의 자름선;

상기 하면판이 접히는 방향과 같거나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 다수의 팝업접힘선; 및

상기 자름선에 의하여 상기 하면판과 분리되며, 상기 팝업접힘선의 접힘에 의하여 돌출되는 팝업체; 를 구비하고,

상기 팝업체는 돌출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드.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상측에 연결되고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벽걸이에 삽입되는 걸이공과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측면판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장공에 삽입 결합하는 제 2 체결편을 포함하는 상면판;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드.

Description:
다용도 봉투카드 및 이를 이용한 입체카드

본 발명은 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쉽게 스탠드 카드나 액자카드로 변신가능하고,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액자로 만든 다음 그 공간에 삽입된 사진 등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하며, 선택적으로 팝업체를 형성하거나 돌출되는 팝업부가 구비된 다용도 봉투카드 및 이를 이용한 입체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첩장, 판촉용 카드, 감사카드, 축하카드와 같은 카드나 연하장의 경우 카드를 받고나면 카드의 내용이나 종류에 상관없이 한 번 사용하고 나면 대부분 버리기 때문에 자원 낭비가 심하였다.

또한, 카드를 받은 상대방이 카드를 오래도록 간직하고 싶은 경우라도 서랍이나 보관함 등에 넣어서 보관하기 때문에 항상 볼 수 없는 단점이 있었고, 시간이 지난 후에 카드를 찾을 경우 어디에 두었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아 한참을 헤매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종이로 제작된 종래의 카드를 한 번 사용하면 버리는 1회용이 아니라 다른 용도로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었다.

또한, 기존 액자의 경우 목재, 플라스틱, 금속제 등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자원의 낭비와 공해가 다량 발생하여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파손 또는 부상의 위험이 현저한 것이 사실이었다. 이에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소재이며 유아 및 어린아이들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그리고, 종이를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접어 사진 등을 여유있게 삽입할 수 있는 액자 형태로 변형하거나 팝업카드를 구성하여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시에 장식용으로 재활용하는 친환경적 봉투카드의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편지지봉투, 스탠드형 카드, 벽걸이형 카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액자로 변신 가능한 다용도 봉투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 전면에 구성된 현출창의 크기 및 모양을 사용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 가능한 액자로 변신 가능한 다용도 봉투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봉투 형태로 접은 상태에서 현출창과 팝업부가 구비되고 사진 등을 삽입할 수 있는 다용도 봉투카드를 이용한 입체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자로 변신 가능한 다용도 봉투카드는 현출창이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변을 접으면 상기 전면판의 후면과 대면하는 하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좌우측변을 각각 접은 후 좌우측변의 한쪽에 각각 형성된 끼움부를 서로 끼워 결합하면 스탠드 액자의 받침대가 형성되고, 한쪽에 형성된 끼움부를 다른 한쪽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 결합하면 상기 하면판에 밀착되어 벽걸이용 액자가 되도록 결합되는 경사진 좌우측면 판, 상기 전면판의 후면과 상기 하면판 사이에 삽입하는 현출판, 상기 전면판의 상변을 접어서 상기 좌우측면 판 사이로 끼워 결합하여 상기 현출판이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면판의 상변을 접지 않고 편 상태로 두면 벽걸이용 구멍에 의해 벽걸이용 액자로 사용할 수 있는 상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판은 상기 전면판의 후면과 대면하는 면에 사진이나 그림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면 판은 상기 받침대의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상하부위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한 장의 종이를 접어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측면 판의 좌우 말단부에 대칭되게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끼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 중 어느 한쪽의 끼움부를 다른 한쪽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 결합하면 액자카드가 된다.

상기 하면판은 하단부에 절개된 절개홈을 형성하여 상기 현출판을 용이하게 꺼내고 넣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체 카드는 현출창이 형성된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하측에 연결되고 제 1 접음선에 의하여 접은 다음 제 2 접음선에 의하여 접히어 상기 전면판과 공간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 상기 현출창으로 투시되는 팝업부를 구비한 하면판 및 상기 전면판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연결되어 접히고, 그 하단부에는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는 경사부를 각각 구비한 제 1 측면판과 제 2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측면판 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측면판은 상기 제 1 측면판과 제 2 측면판을 접은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에 의하여 받침대가 형성되는 팝업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팝업부는, 상기 하면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하면판과 분리되는 다수의 자름선, 상기 하면판이 접히는 방향과 같거나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 다수의 팝업접힘선 및 상기 자름선에 의하여 상기 하면판과 분리되며, 상기 팝업접힘선의 접힘에 의하여 돌출되는 팝업체를 구비하고, 상기 팝업체는 돌출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의 상측에 연결되고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벽걸이에 삽입되는 걸이공과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측면판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장공에 삽입 결합하는 제 2 체결편을 포함하는 상면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를 받은 사람의 취향 및 용도에 따라 편지지봉투, 스탠드형 카드, 벽걸이형 카드 등으로 쉽게 만들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한 장의 종이를 현출창이 있는 액자 종이봉투 형태로 접으며, 특히 하면판을 접음선 따라 두 번 접으므로 형성되는 일정한 공간에 의하여 삽입된 사진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를 봉투 형태로 접은 상태에서 하면판이 선택적으로 접히고 돌출되어 새로운 이미지를 제공하는 팝업카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호도를 높이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선택에 의하여 액자 또는 팝업카드로 만든 상태에서 책상 등과 같이 평편한 곳에 세울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드를 봉투 형태로 접은 상태에서 상면판의 걸이공을 이용하여 벽걸이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의한 액자로 변신 가능한 다용도 봉투카드의 전개도,

도 2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후면도,

도 3은 제1 실시 예에 의한 좌전면도,

도 4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우후면도,

도 5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상면판이 개봉된 상태의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의한 입체 카드의 전개도,

도 7은 제2 실시 예에 의한 하면판이 접힌 상태의 배면 도시도,

도 8은 제2 실시 예에 의한 측면판이 모두 접힌 상태의 배면 도시도,

도 9는 제2 실시 예에 의한 하면판이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팝업부가 돌출되도록 접힌 상태의 배면 도시도,

그리고,

도 10은 팝업체가 돌출된 상태 도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액자로 변신 가능한 다용도 봉투카드의 구성도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의한 액자로 변신 가능한 다용도 봉투카드의 전개도, 도 2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후면도, 도 3은 제1 실시 예에 의한 좌전면도, 도 4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우후면도, 그리고 도 5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상면판이 개봉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용도 봉투카드(100)는 현출창(11)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전면판(10)과, 전면판(10)의 하변을 접으면 상기 전면판(10)의 후면과 대면하도록 상기 전면판(1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하면판(20)과, 전면판(10)의 좌우측변을 각각 접은 후 서로 끼워 결합하면 스탠드 액자의 받침대가 형성되고, 한쪽에 형성된 끼움부(32)를 다른 한쪽에 형성된 삽입홈(43)에 끼워 결합하면 하면판(20)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좌우측면 판(30 및 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하면판(20)은 전면판(10)의 후면과 대면하는 면에 사진이나 그림, 광고 및 홍보용 문구 등을 인쇄하여 전면판(10)의 현출창(11)을 통해 보이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전면판(10)의 후면과 하면판(20) 사이에 삽입하는 현출판(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특히, 현출판(60)을 사용할 경우 하면판(20)의 일 면에 사진이나 그림, 광고 및 홍보용 문구 등이 필요 없으나 필요에 따라 넣을 수도 있다.

또한, 전면판(10)의 상변을 접어서 좌우측면 판(30 및 40) 사이로 끼워 결합하면 현출판(60)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전면판(10)의 상변을 접지 않고 편 상태로 두면 벽걸이용 구멍(51)에 의해 다용도 봉투카드(100)를 벽걸이용 액자로 사용할 수 있는 상면판(50)을 전면판(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한다.

상면판(50)은 현출판(60)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용도 봉투카드(100)에 포함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다. 따라서, 상면판(50)은 사용 용도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좌우측면 판(30 및 40)은 다용도 봉투카드(100)를 스탠드형 액자로 만들 경우 액자의 받침대 역할을 하고 벽걸이용 액자나 봉투카드로 만들 경우 카드를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좌우측면 판(30 및 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위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액자 받침대가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액자 받침대의 기울기는 좌우측면 판(30 및 40)의 상하부위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각도에 의해 정해진다.

상기 좌우측면 판(30 및 4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말단부에 대칭되게 형성된 절개부(31)에 의해 끼움부(32)(4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끼움부(32)(42) 중 어느 한쪽의 끼움부(도면상에서는 32)를 다른 한쪽에 형성된 삽입홈(43)에 끼워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1과 같이 끼움부(32)(42)는 서로 끼워서 결합 가능하도록 좌우측면 판(30 및 40)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측면 판(30 및 40)의 끼움부(32)(42)의 형상은 서로 바꿔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홈(43)도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면 판(40)에 형성되어 있으나, 좌우측면 판(30 및 40)의 끼움부(32)(42)의 형상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으면 삽입홈(43)은 좌측면 판(30)에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좌우측면 판(30 및 40)은 우측면 판(40)의 좌상단에 삽입홈(43)이 형성되어 있어 좌측면 판(30)을 끼울 수 있어 접고 펼 때 결속과 해제가 용이하다(도 2참조). 또한, 좌우측면 판(30 및 40)을 전면판(10)의 좌우측 절취선을 따라 뒤로 접으면 좌우 말단에 대칭되게 형성된 끼움부(32)(42)를 절개부(31)(41)에 끼워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우측면 판(30 및 40)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휘어지지 않는 지지력을 발생한다.

전면판(10)은 현출창(11)을 형성하여 카드의 전면 또는 액자의 창 기능을 한다. 전면판(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다용도 봉투카드를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상면판(50)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형상을 포함한 복수 개의 변을 갖는 도형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또한 복수 개의 변과 함께 곡선으로 이루어진 도형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용도 봉투카드는 전면판(10)의 모양에 따라 카드 모양이 결정된다.

하면판(20)은 하단부에 절개된 절개홈(21)을 형성하여 현출판(60)을 용이하게 꺼내고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면판(20)은 전면판(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판(10)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뒤로 접으면 전면판(10)의 후면과 대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면판(20)은 내부에 삽입되는 사진 또는 그림, 편지지, 메시지 등을 담는 봉투 또는 액자의 역할을 한다. 즉, 하면판(20)이 뒤로 접혀지면 좌우측면 판(30)(40)의 상하부위 경사로 인하여 현출창(11)이 위치한 전면 뒷부분에 밀착되어 밀려나지 않게 되어 현출판(60)이 흘러나오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면판(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판(10)의 후면과 대면하는 면에 사진이나 그림, 광고 및 홍보용 문구 등을 인쇄하여 전면판(10)의 현출창(11)을 통해 보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봉투카드는 한 장의 종이를 접어서 만들 수 있으며, 플라스틱종이, 일반종이, 코팅종이, 향기를 발산하는 종이, 야광 또는 형광물질을 함유하는 종이가 포함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종이가 아닌 다른 소재로도 이와 같은 형태의 액자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다용도 봉투카드의 조립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출창(11)이 형성된 전면판(10), 하면판(20), 좌우측면 판(30)(40), 상면판(50) 및 현출판(60)으로 구성된 다용도 봉투카드(100)의 전개도에서, 현출창(11)을 통해 사진이나 그림 등이 밖으로 보이도록 현출판(60)을 현출창(11) 후면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현출판(60)은 하면판(20)과 좌우측면 판(30)(40)을 조립한 다음 상면판(5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판(10)의 후면과 하면판(20) 사이에 끼워 넣을 수도 있다.

그 다음, 전면판(10)과 하면판(20)사이의 절취선을 따라 하면판(20)을 뒤로 접어서 전면판(10)의 후면과 밀착되도록 한 다음, 상면판(50)과 전면판(10) 사이의 절취선을 따라 상면판(50)을 하면판(20) 위로 접는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 상면판(50)을 접지 않아도 되며, 하면판(20)과 좌우측면 판(30)(40)을 조립한 다음 전면판(10)의 후면과 좌우측면 판(30)(40) 사이에 끼워 넣을 수도 있다.

이후, 상면판(50)과 우측면판(40) 사이의 절취선을 따라 우측면판(40)을 하면판(20) 위로 접는다. 만일, 삽입홈(43)이 좌측면판(30)에 형성되어 있으면 좌측면판(30)을 먼저 접는다.

그 다음, 상면판(50)과 좌측면판(30) 사이의 절취선을 따라 좌측면판(40)을 접어서 우측면판(40)에 형성된 삽입홈(43)에 끼움부(32)를 끼워 삽입하면 도 2와 같이 봉투카드가 완성된다. 만일, 봉투카드를 스탠드형 액자로 만들고 싶으면, 우측면판(40)에 형성된 삽입홈(43)에 좌측면판(30)의 끼움부(32)를 조립하지 않고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좌우측면판(30)(40)의 끼움부(32)(42)를 서로 절개부(31)(41)에 끼워서 결합하면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입체 카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의한 입체카드의 전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0)과, 측면판(200)과, 하면판(140)과, 팝업부(150)와, 상면판(5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즉, 제2 실시 예에 의한 입체카드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봉투카드에서 하면판(140)의 구조가 팝업부를 구비하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팝업부가 구비된 입체 카드(100)는 플라스틱종이, 일반종이, 코팅종이, 향기를 발산하는 종이, 야광 또는 형광물질을 함유하는 종이, 플라스틱이 포함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종이가 아닌 다른 소재로도 이와 같은 형태의 액자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면판(10)은 팝업부가 구비된 입체 카드(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현출창(11)을 구비하고, 상하좌우의 각 측면에 제1접음선(12)을 구비한다.

좌측면판(30)은, 전면판(10)의 정면에서 왼쪽(좌측)에 위치하고 제1접음선(12)에 의하여 접히는 것으로, 체결공(35)과, 절개부(31)와, 끼움부(32)와, 경사부(36)를 구비하고, 우측면판(40)은 일례로, 전면판(10)의 정면에서 오른쪽(우측)에 위치하고 제1접음선(12)에 의하여 접히는 것으로, 체결공(45)과, 절개부(41)와, 끼움부(42)와, 경사부(46)와, 체결장공(44)과, 체결환공(43)을 구비한다.

하면판(140)은 전면판(10)의 아랫면 또는 하측에 위치하고 제1접음선(12)에 의하여 접히는 것으로 전면판(10)의 폭보다 좁은 형상이며, 아래로 연장되는 끝단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체결편(141, 142)과, 전면판(1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접음선(143)과, 전면판(10)의 제1접음선(12)과 하면판(140)의 제2접음선(143) 사이에 위치하면서 사다리꼴 형상을 하는 바닥부(144)와, 하면판(140)과 분리되고 바닥부(144)에 위치하는 제3접음선(145)에 의하여 접히는 사진삽입홈(146)을 구비한다.

팝업부(150)는 하면판(140)에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다수의 자름선(155)에 의하여 하면판(140)과 분리되는 팝업체(153)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접히어 팝업체(153)를 하면판(140)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다수의 팝업접음선(151, 152, 154)을 구비한다.

상면판(50)은 전면판(10)의 윗면 또는 상측에 위치하고 제1접음선(12)에 의하여 접히는 것으로 걸이공(51)과, 제 2 체결편(52)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현출창(11)은 개방되어 있으며, 절개부(31, 41)는 분리된 상태이고, 체결공(35, 45)과 체결장공(44)과 체결환공(43)과 걸이공(51)은 구멍이 뚫린 상태이고, 자름선(155)은 잘려 있는 상태이다. 제1접음선(12)과 제2접음선(143)과 제3접음선(145)과 팝업접음선(151, 152, 154)은 각각 접히는 선이고, 제1체결편(141, 142)는 체결공(45, 35)에 각각 삽입되어 체결되며, 체결편(52)은 체결장공(44)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사진삽입홈(146)은 제3접음선(145)에 의하여 접히므로 하면판(140)이 제1접음선(12)과 제2접음선(143)에 의하여 2번 접힌 상태에서 하면판(140)의 일측에 구비된 사진삽입홈(147)과 함께 사진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경사부(36, 46)는 좌측면판(30)과 우측면판(130)이 제1접음선(12)에 의하여 각각 접힌 상태에서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세우는 역활을 한다.

도 7은 입체카드의 하면판이 접힌 상태의 배면 도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부(150)가 포함되는 하면판(140)이 제1접음선(12)에 의하여 전면판(10)의 뒷면에 밀착 상태로 접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입체카드의 측면판이 모두 접힌 상태의 배면 도시도로서, 하면판(140)과 상면판(50)과 우측면판(130)이 각각의 제1접음선(12)에 의하여 접힌 상태에서 좌측면판(30)이 제1접음선(12)에 의하여 겹쳐 접히는 동시에 끼움부(31)가 체결환공(43)에 삽입되어 완전하게 접힌 상태로 조립되어 고정된다.

도 9는 입체카드의 하면판이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팝업부가 돌출되도록 접힌 상태의 배면 도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판(140)이 제1접음선(12)에 의하여 전면판(10)과 약 90도 정도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2접음선(143)에 의하여 바닥부(144)와 약 90도 정도로 접혀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팝업부(150)는 자름선(155)에 의하여 하면판(140)과 분리된 팝업체(153)가 각각의 방향으로 접히는 다수의 팝업접음선(151, 152, 154)에 의하여 하면판(140)으로부터 돌출된다. 자름선(155)과 팝업접음선(151, 152, 154)은 팝업체(153)가 구성하는 형상 또는 모양에 의하여 숫자와 크기와 위치가 각각 다르다.

도 10은 입체 카드의 팝업체가 돌출된 상태 도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팝업부(150)가 돌출된 상태를 현출창(11) 쪽에서 본 것으로 팝업체(153)가 다수의 자름선(155)에 의하여 하면판(140)으로부터 분리되고 다수의 팝업접음선(151, 152, 154)이 각각의 방향으로 접히므로 돌출된다. 팝업체(153)는 다양한 모양이 될 수 있으며, 팝업체(153)의 모양에 의하여 자름선(155)과 팝업접음선(151, 152, 154)의 길이, 숫자가 바뀌며, 특히, 팝업접음선은 접히는 방향이 각각 다르게 된다.

또한, 팝업부(150)가 구비된 액자 겸용 입체 카드(100)를 벽걸이에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면판(50)을 편 상태에서 걸이공(51)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또한, 벽걸이에 고정하지 않는 경우는 제1접음선(12)을 따라 상면판(50)을 접으므로 하면판(140)이 형성한 일정한 공간의 입구를 막는다. 이때 제 2 체결편(52)을 체결장공(44)에 삽입하므로 상면판(50)이 분리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팝업카드의 상면판(50)을 접고 책상 등에 세우는 경우, 경사부(36)와 경사부(46)에 의하여 전면판(10)이 소정의 각도로 눕힌 상태로 세워진다. 이때 전면판(10)과 하면판(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사진 등이 삽입되므로 무게의 중심이 전면판(10) 쪽으로 쏠리어 세우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팝업카드의 사진삽입부(146,147)에 사진을 삽입할 수 있는 데, 끼움부(32,42)를 절개부(41,31)에 각각 끼우고, 하면판의 제 1 체결편(141,142)과 체결공(45,35)을 각각 체결하면 하면판(140)이 전면판(1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때 사진삽입부(146,147)를 이용하여 그림, 문서, 티켓, 명함 등이 포함되는 사진을 삽입할 수가 있다. 삽입된 사진은 현출창(11)을 통하여 보인다.

이 경우에 팝업부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즉, 삽입된 사진이 팝업부를 가리게 되므로 굳이 하면판에 팝업부를 구성하지 않고서도 소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팝업부는 선택적으로 구성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팝업부가 구비된 입체 카드(100)는 전면판과 하면판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고 사진 등을 삽입하거나 또는 하면판의 팝업부를 돌출 형성하며, 현출창을 통하여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하고, 상면판을 이용하여 벽에 걸거나 또는 측면판의 경사부를 이용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세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팝업부가 구비된 입체 카드(100)는 현출창(11)을 통하여 보이는 하면판(140) 또는 전면판(10)의 여백에 행사, 이벤트 등의 안내 또는 기념일 등을 기록하여 조립한 다음 평평한 바닥에 세우거나 벽에 걸어 오랫동안 확인하는 동시에 선호하는 사진, 그림 등을 삽입하여 현출창으로 보이도록 하므로, 용도가 끝난 상태에서도 장식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드에 관한 것으로, 스탠드 카드나 액자카드로 변신가능하고, 팝업부가 구비한 다용도 봉투카드 및 이를 이용한 입체카드에 관한 것으로,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액자 또는 팝업카드로 만든 상태에서 책상 등과 같이 평편한 곳에 세울 수 있어 사용자의 선호도를 높이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