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USING VISCOSITY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128680
Kind Code:
A2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using viscosity. More specifically, the closure device dispenses only the amount desired for use and can prevent spillage even if a user accidentally turns the container over. The clos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which is inserted in and combined with a neck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includes a solution-discharge opening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a disc-shaped fixed plate mounted on an inner side of the main body, which has at least one through-hole. A flow path with a certain depth from the through-hole to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fixed plate. The closure device can reduce production costs by minimizing components and alleviate user anxiety about upsetting the container. Since the closure device discharges desired amounts of content, waste due to over-discharging can be reduced.

Inventors:
SEOK SANG YUN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2024
Publication Date:
October 22, 2009
Filing Date:
April 17,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SEOK SANG YUN (KR)
International Classes:
B65D47/18
Foreign References:
JPH08282704A1996-10-29
JPS6038241U1985-03-16
JP2005320011A2005-11-17
JP2002068221A2002-03-08
Other References: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 2266888A4
Attorney, Agent or Firm:
SEONG, NAK HOON (KR)
성낙훈 (KR)
Download PDF:
Claims:
용기의 네크부에 삽입, 결착되며 중앙부에 용액 토출구가 마련된 마개본체와,

상기 마개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는 원판형 부재로서, 일정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상에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중앙부에 이르는 일정깊이의 고정판 유로가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는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마개본체의 토출구는 하단이 상기 고정판상의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판 유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마개본체는 상부에 패킹부가 형성되고, 저부에 상기 고정판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부가 형성된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관통공은 고정판의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이어지는 고정판 유로는 고정판의 중앙부로 직선 또는 곡선형의 유로로 형성된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마개본체와 상기 고정판의 사이에 간극판이 추가 설치되는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간극판은 원판형 부재로서, 원판형 부재의 저부면상에 일정깊이의 중앙부 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 홈으로 부터 원주둘레 단부에 이르는 다수의 간극판 저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각 간극판 저부유로의 끝단에 간극판 저부유로단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판의 상부면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턱이 형성된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은 상기 마개본체의 저부면과 접촉하여 간극판 상부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간극판 상부유로의 중앙부는 마개본체의 토출구 저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

Description: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

본 발명은 용기의 마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용기가 전도되는 경우에도 용기 내의 액체가 누출되지 않으며, 반면에 용기 내의 액체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만의 양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액체가 갖고 있는 물리적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용기의 마개는 단순한 누출방지를 위한 밀폐(패킹) 기능이거나, 식용품의 용기와 같이 토출구의 형상을 원형이나 마름모꼴 등으로 변형하여 내용물이 토출되는 형상과 양을 조정한다.

이 보다는 진보된 형식으로는 스프레이식과 펌프식, 스포이드식 등의 마개류가 주로 의약품이나 화장품 용기에 많이 적용되어 있고, 이러한 마개의 제조에 사용되어지는 주재료는 주로 플라스틱이며, 사출성형에 의해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단순한 형상의 토출구를 갖고 있는 일반적 용기의 마개는 전도 시에 용기의 내용물이 전도되는 충격에 의해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과다토출에 대한 불안감으로 항상 주의를 기울여 용기를 사용해야 하는 심리적인 부담감을 갖게 된다.

상기의 단순한 형상의 마개보다는 밀폐기능이 보다 확실한 형식을 갖고 있고, 많이 적용되고 있는 스프레이식과 펌프식 마개는 이들이 목적하는 밀폐와 양의 조정기능에 적합하기 위해서는 부품수가 다수(7~11)로 구성되어 있어 제조비용이 높고, 작동하는 구성부품의 내용물이 건조될 시에는 고착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용기 내의 잔량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거나 구성부품 사이에 잔량이 남아 자원의 낭비요인이 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미세토출이 용이하지 않는 불편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수가 많지 않아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용기가 전도될 경우에도 누출이 되지 않고, 토출량의 조절이 용이하며, 용기 내의 잔량이 거의 남지 않아 낭비가 없는 새로운 개념의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는 용기의 네크부에 삽입, 결착되며 중앙부에 용액 토출구가 마련된 마개본체와, 상기 마개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는 원판형 부재로서, 일정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상에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중앙부에 이르는 일정깊이의 고정판 유로가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마개본체의 토출구는 하단이 상기 고정판상의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판 유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개본체는 상부에 패킹부가 형성되고, 저부에 상기 고정판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관통공은 고정판의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이어지는 고정판 유로는 고정판의 중앙부로 직선 또는 곡선형의 유로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개본체와 상기 고정판의 사이에 간극판을 더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간극판은 원판형 부재로서, 중앙부의 저부면상에 일정깊이의 중앙부 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 홈으로 부터 원주둘레 단부에 이르는 다수의 간극판 저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각 간극판 저부유로의 끝단에 간극판 저부유로단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판의 상부면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턱이 형성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간극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중앙부 유로는 상부에 위치한 마개본체의 토출구 저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위치한 고정판 중앙부 유로와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는 용기에 수용된 용액이 간격이 좁은 유로를 통과할 시에 발생되는 점착력으로 인하여 액체의 유동이 정지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며, 반면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중력이나 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점착력보다 크게 작용하게 함으로써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구조적인 밀폐장치를 별도의 작동부품이 없이 물리적 특성인 액체의 점착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용기가 전도되더라도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아 사용상의 심리적인 불안감이 해소되고,

둘째, 용기의 누출방지 기능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셋째,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만의 토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과다토출에 의한 낭비가 감소하며,

넷째, 용기 내의 내용물 잔량이 거의 남지 않아 자원의 낭비가 적어지고,

다섯째, 별도의 개폐기능을 갖는 작동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고장의 원인이 적어져 기능의 신뢰도가 높아지며,

여섯째, 부품 수량을 최소화하고 단순화하여 제조원가가 낮으며,

일곱째, 고객의 실수까지를 예방하여 주는 기능을 가지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도와 판매증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용기로부터 뚜껑과 본 발명의 마개장치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장치의 평면도, 저면도, 단면도임.

도 5 내지 도 7 는 본 발명에 따른 간극판의 평면도, 저면도, 단면도임.

도 8 와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임.

도 10 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 와 도 12 는 상기 도 10 에 도시된 고정판의 일예의 평면도와 단면도임.

도 13 은 상기 도 10 에 도시된 고정판의 다른 예의 평면도임.

도 14 은 본 발명의 마개장치가 장착된 용기에서 용액이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뚜껑 30 : 마개본체

31 : 패킹부 32 : 용액 토출구

33 : 걸림턱부 40 : 간극판

41 : 돌출턱 42 : 간극판 저부유로

43 : 유로단부 홀 44 : 중앙부 홈

46 : 간극판 상부유로 50, 50″ 50′: 고정판

51,55 : 관통공 53,57 : 고정판 유로

60 : 마개장치 70 : 용기

71 : 용기 네크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용기로부터 뚜껑과 본 발명의 마개장치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 는 평면도, 도 3 는 저면도, 도 4 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 는 본 발명에 따른 간극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 는 평면도, 도 6 는 저면도, 도 7 는 단면도이다.

도 8 와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60)는 용기(70)의 네크부(71)에 삽입, 결착되며, 상기 마개장치(60)의 상부로 뚜껑(10)이 결착된다.

본 발명의 마개장치(6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용액 토출구(32)가 마련된 마개본체(30)와, 상기 마개본체(30)의 내측에 장착되는 간극판(40)과, 상기 간극판(40)의 저부에 장착되는 고정판(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간극판(40)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도 10 참조)에 대해선 이후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마개본체(30)는 상부 중앙부에 용액 토출구(32)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부에 패킹부(31)가 형성되며, 저부에 상기 고정판(50)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부(33)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간극판(40)은 원판형 부재로서, 도 5 내지 도 7 에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였다. 상기 간극판(40)은 원판형 부재의 저부면상에 일정깊이의 중앙부 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 홈(44)으로 부터 원주둘레 단부에 이르는 다수의 간극판 유로(42)가 형성되고, 상기 각 간극판 유로(42)의 끝단에는 원판형 부재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들어온 형태의 간극판 유로단부 홀(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간극판(40)의 상부면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턱(41)이 형성되고, 이 돌출턱(41)과 마개본체(30)의 저부면과의 사이는 용액이 흐르는 유로(도 4 및 도 7 의 46)가 된다.

상기 간극판 저부 중앙부 홈(44)을 통해 유입된 용액은 간극판 저부유로(42)를 거쳐 간극판 유로단부 홀(43)을 통해 간극판 상부 유로(46)로 이동한다.

상기 간극판 상부유로(46)는 간극판(40)의 중앙부에서 마개본체(30)의 용액 토출구(32) 저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간극판 상부유로(46)를 흐르는 용액은 상기 용액 토출구(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고정판(50)은 간극판(40)의 저부에 설치되며, 간극판(40)과는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50)의 중앙부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용기 네크부(71)로부터 이동한 용액이 간극판 저부유로(42)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50)의 하부형상을 오목한 형상으로 할 경우, 용기 내에 잔량이 남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 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 와 도 12 는 상기 도 10 에 도시된 고정판의 일예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며, 도 13 은 상기 도 10 에 도시된 고정판의 다른 예의 평면도이다.

도 10 에 예시된 마개장치(50″)는 앞에서 설명한 도 4 의 상태에서 간극판(40)이 생략된 경우이다. 즉, 마개본체(30)의 내측에 한개의 고정판(50″)이 설치된 경우이다.

상기 고정판(50″)은 원판형 부재로서, 일정위치에 관통공(51)이 형성되고, 상부면상에 상기 관통공(51)으로부터 중앙부에 이르는 일정깊이의 고정판 유로(53)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판 유로(53)에 있어서 특히 고정판의 중앙부에 위치한 유로(53a)는 마개본체(30)의 용액 토출구(32) 저부와 연결되어 용액의 흐름이 이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50″)의 관통공(51)은 고정판(50″)의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1)으로부터 이어지는 고정판 유로(53)는 고정판(50″)의 중앙부로 직선형으로 형성된다.(도 11 와 도 12 참조)

한편, 상기 도 13 에서는 고정판(50′)에 형성된 관통공(55)으로부터 중심부에 이르른 유로(57)가 고정판(50′)의 둘레를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하여 고정판 유로(57)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개장치(40)는 마개본체(30)와 간극판(40) 또는 마개본체(30)와 고정판(50,50″50′)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42,46)의 간격과 간극에 의해 용액의 물리적인 특성인 점도로 인하여 점착력이 작용되어지고, 이 점착력이 용기(70)가 전도되는 경우에도 용액의 누출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으로 작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14 은 본 발명의 마개장치가 장착된 용기에서 용액이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시에 용기(70) 내의 액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용기(70)를 상하로 흔들거나 손으로 압착을 가하면 외주에서 가해진 외력이 마개장치(40) 내에 형성된 용액의 점착력보다 크게 작용하여 용액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간극판(40)과 마개본체(30)의 저면부와의 간극은 용액의 점도특성에 따라 결정하고, 간극판(40)의 저면부는 유로를 다양하게 형성시켜 점착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용기(70)가 전도가 되더라도 1차로 간극판(40)의 하면부에 형성된 간극판 저부유로(42)를 따라 점착력이 발생되어 용액의 유동이 정지되고, 2차로 마개본체(30)의 저면부와 간극판(40)의 상면부의 간극에 의해 점착력이 작용하게 됨으로 누출방지기능을 이중으로 보완시켜 누출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마개장치(40)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화장품의 용기는 전도가 되기 쉬운 형상으로 디자인 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고가의 화장품이 용기의전도에 의해 누출되어 낭비가 될 수 있다는 심리적인 불안감이 있으며, 또한 사용시에 너무 많이 토출이 되면 아깝다는 생각도 갖게 된다.

마찬가지로 액체의 형태를 지닌 간장이나 식초 등과 같은 조미료품에 있어서도 용기가 전도되어 내용물이 쏟아지는 경우도 있지만 너무 많이 토출이 되어서 음식의 맛을 버릴 수 있다는 걱정을 하면서 병을 따르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용기의 마개장치를 적용할 경우 사용자에는 편리성과 함께 만족감을 줄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