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CLOSING FORCE ASSISTANCE DEVICE FOR A FIRE-DOOR CLOSER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102122
Kind Code:
A2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sing force assistance device (2) for a fire-door closer.  Axially connected with the rotational shaft (40) of a door closer (4) there is a rotational body (28) which is formed with a pinion gear unit (28a) on one part of the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which is equipped with an actuator (26) having a rack gear unit (26a) and a bias spring (24) on a linear working chamber (36)in an upper and a lower case (20)(22). Before the fire door (8) is completely closed, engagement takes place between the pinion gear unit (28a) and the rack gear unit (26a) in a fire-door closing-force augmentation zone.

Inventors:
KIM YOUNG-JO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535
Publication Date:
August 20, 2009
Filing Date:
February 04,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KIM YOUNG-JO (KR)
THREE S DOOR CO LTD (KR)
International Classes:
E05F3/00; E05F1/08
Foreign References:
KR100792317B12008-01-07
KR20050090567A2005-09-14
JPH084407A1996-01-09
US20040205931A12004-10-21
Attorney, Agent or Firm:
BAEK, Hong-Kee (Jung-gu, Daegu 700-442, KR)
Download PDF:
Claims: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보조장치에 있어서,

상하부케이스(20)(22)내 직선작동실(36)에 바이어스 스프링(24)과 랙기어부(26a)를 갖는 작동체(26)를 장치하고, 원통외주면 일부에 피니언기어부(28a)가 형성된 회전체(28)를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과 축연결되게 구성하되 방화문(8)의 완전닫힘 이전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에서 랙기어부(26a)와 피니언기어부(28a)간 이물림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의 각도범위 조절을 위한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이 작동체(26)에 나사연결되게 구성하되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타단이 상하부케이스(20)(22)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의 각도범위는 방화문(8) 완전닫힘를 0°로 기준해서 10°~ 50°잔여개방각 범위내에서 조절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보조장치에 있어서,

상하부케이스(20)(22)내 직선작동실(36)에 바이어스 스프링(24)과 랙기어부(26a)를 갖는 작동체(26)를 장치하고, 원통외주면 일부에 피니언기어부(28a)가 형성된 회전체(28)를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과 축연결되게 구성하되 방화문(8)의 완전닫힘 이전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에서 랙기어부(26a)와 피니언기어부(28a)간 이물림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회전체(28)에는 스플라인축공(28b)을 형성하되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부(40a)가 직접 삽입 고정되도록 스플라인축공(28b)을 형성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보조장치에 있어서,

상하부케이스(20)(22)내 직선작동실(36)에 바이어스 스프링(24)과 랙기어부(26a)를 갖는 작동체(26)를 장치하고, 원통외주면 일부에 피니언기어부(28a)가 형성된 회전체(28)를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과 축연결되게 구성하되 방화문(8)의 완전닫힘 이전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에서 랙기어부(26a)와 피니언기어부(28a)간 이물림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회전체(28)에는 스플라인축공(28b)을 형성하고,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부(40a)가 삽입되는 각홈(32a)을 갖는 각도조절구(32)의 스플라인축부(32b)가 스플라인축공(28b)에 삽입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구(32)는 조립완성된 상하부케이스(20)(22)의 상부케이스(20)의 통공(56)을 통해서 삽입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보조장치에 있어서,

상하부케이스(20)(22)내 직선작동실(36)에 바이어스 스프링(24)과 랙기어부(26a)를 갖는 작동체(26)를 장치하고, 원통외주면 일부에 피니언기어부(28a)가 형성된 회전체(28)를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과 축연결되게 구성하되 방화문(8)의 완전닫힘 이전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에서 랙기어부(26a)와 피니언기어부(28a)간 이물림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회전체(28)에는 각형축공(60)을 형성하고,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부(40a)가 각형축공(60)에 삽입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제1항에 있어서, 방화문 완전닫힘시에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나사부에 너트체결된 푸쉬너트편(31)에 의해서 작동하는 접촉스위치(34)가 상하부케이스(20)(22)내부에 설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너트편(31)은 각형 구조너트편으로서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축회전시 케이스 내측벽에 걸림되어 위치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제1항에 있어서, 작동체(26)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이송안내하는 이송안내틀(27)이 상하부케이스(20)(22)내 직선작동실(36)에 장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하부케이스(20)(22)내 직선작동실(36)에 바이어스 스프링(24)과 제1,제2랙기어부(26a1)(26a2)를 갖는 제1,제2작동체(126)(128)를 장치하고, 원통외주면 일부에 제1,제2피니언기어부(28a1)(28a2)가 이격 형성된 회전체(28)를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과 축연결되게 구성하되 방화문(8)의 닫힘 이전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에서 두차례의 제1,제2랙기어부(26a1)(26a2)와 제1,제2피니언기어부(28a1)(28a2)간 이물림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의 각도범위 조절을 위한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이 제2작동체(128)를 관통하여 제1작동체(126)에 나사연결되게 구성하되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타단이 상하부케이스(20)(22)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제10항에 있어서, 이격된 제1,제2피니언기어부(28a1)(28a2)간에 융기면부(140)가 형성되며,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일단에는 제1,제2작동체(126)(128)가 면접되게 푸쉬하는 스프링(130)이 개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제10항에 있어서, 제1,제2작동체(126)(128)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이송안내하는 이송안내틀(27)이 상하부케이스(20)(22)내 직선작동실(36)에 장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Description: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본 발명은 방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클로저(door closer)의 폐쇄력이 약해지는 구간에서도 문제없이 방화문이 완전 닫기게 하여 연기나 유독가스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의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별 피난계단이나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제연구역 등의 문은 방화문으로 설치하도록 소방 관련법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다. 방화문에는 화재시 연기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불길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클로저(door closer)나 오토힌지(auto hinge)와 같은 도어 자동닫힘장치가 설치되며, 아울러 방화문 및 방화문 측벽에는 평상시에는 방화문이 개방된 상태로 걸림되게 하고 화재 등에 의해 실내에 연기나 유독가스 발생시 제어신호에 의해서 개방된 상태의 방화문의 걸림을 자동 해제시켜주는 방화문 자동해정장치가 구비된다. 방화문 자동해정장치의 일예로는 방화문에 걸림고리가 있고 벽체에 래치(latch)가 설치된 도어릴리즈(door release)가 있다.

도어 자동닫힘장치와 방화문 자동해정장치가 구비된 방화문은 평상시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연기 발생이나 유독가스 발생과 같은 화재발생 감지시 방화문 자동해정장치가 작동되어 방화문의 도어걸림상태를 해제시켜준다. 그에 따라 도어 자동닫힘장치의 폐쇄력(닫힘력)에 의해 방화문이 닫혀지게 됨으로써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유독성 가스의 확산이 방지되고 불길의 확산도 방지되어진다.

도어 자동닫힘장치의 닫힘력이 너무 강하게 되면 대피시 대피자가 방화문을 여는데 어려움이 있고 더욱이 도어릴리즈와 같은 방화문 자동해정장치에 걸림유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데에도 문제가 된다. 또 그 반대로 그 닫힘력이 너무 약하게 되면 방화문이 빨리 닫히지 않을 뿐 아니라 완전하게 닫혀지지도 않을 수 있어 연기나 유독가스가 새어나갈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도어자동닫힘장치의 도어클로저나 오토힌지 등은 해당 방화문에 요구되는 적절한 스프링 보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조절구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스프링 바이어스력으로 폐쇄력을 제공하는 도어자동닫힘장치의 생래적인 특성상 방화문이 거의 닫혀갈 즈음의 방화문 폐쇄력은 방화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작용하는 초기 방화문 폐쇄력에 비해서 현저하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방화문이 완전하게 닫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 비록 평상시에 도어자동닫힘장치에 의해서 방화문이 제대로 닫힌다할지라도 화재 발생 등에 의해 제연설비 가동시에는 방화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화재발생 등으로 제연설비가 가동이 되어지면 실내측으로 송풍 공급된 공기가 외부측으로 배출되면서 풍압을 형성하게 되는데, 항상 외부측으로 개방되게 설계된 방화문은 도어 자동닫힘장치가 작동하더라도 그 풍압의 영향으로 완전하게 닫히지 못하게 된다. 방화문이 완전하게 닫히지 못하게 되면 연기나 유독가스가 방화문의 열려진 틈새로 새어나가 비상계단과 같은 피난통로를 유해가스로 오염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평상시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 등과 같은 비상시에도 방화문의 닫힘제어가 있게되면 방화문이 수십초내(예컨대, 10초 이내)에 완전히 닫히도록 하는 장치가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단가가 낮고 신뢰성은 우수하며 작동성이 좋은 구조로 구현되며, 도어클로저 장착된 방화문이 닫힐시 방화문 폐쇄력이 약해지는 구간에서 폐쇄력을 보강시켜주어 방화문이 완전히 닫히도록 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체에 설치된 도어릴리즈에는 쉽게 걸림 유지되면서도 방화문 닫힘작동시 방화문 폐쇄력이 약해지는 구간에만 폐쇄력을 보강시켜주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고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의 조절이 가능한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시 방화문의 완전 닫힘상태를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부케이스(20)(22)내 직선작동실(36)에 바이어스 스프링(24)과 랙기어부(26a)를 갖는 작동체(26)를 장치하고, 원통외주면 일부에 피니언기어부(28a)가 형성된 회전체(28)를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과 축연결되게 구성하되, 방화문(8)의 완전닫힘 이전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에서 랙기어부(26a)와 피니언기어부(28a)간 이물림이 이루어지게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의 각도범위 조절을 위한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이 작동체(26)에 나사연결되게 구성하되,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타단이 상하부케이스(20)(22)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체(28)에 스플라인축공(28b)을 형성하되,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부(40a)가 직접 삽입 고정되도록 스플라인축공(28b)을 형성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체(28)에 스플라인축공(28b)을 형성하고,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부(40a)가 삽입되는 각홈(32a)을 갖는 각도조절구(32)의 스플라인축부(32b)가 스플라인축공(28b)에 삽입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화문 닫힘시 방화문 폐쇄력이 약한 구간에서의 방화문 폐쇄력을 보강시켜주는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를 구현하며 동시에 제조단가가 낮고 신뢰성은 우수하며 작동성과 시공성도 좋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면 도어릴리즈에서의 걸림 및 걸림유지도 용이하게 해주고, 방화문 닫힘표시 기능도 내장되어서 수신반에서 방화문 닫힘표시 확인도 가능하며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의 범위 조절도 가능하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가 설치된 일예 상태도,

도 2는 도 1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가 설치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의 결합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종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0 및 도 11은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에 의해 방화문 폐쇄력보강구간의 각도범위가 변경된 일예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가 설치된 일예 평단면도,

도 15는 도 2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의 변형 분해 사시도,

도 16는 도 15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의 측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의 평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시사도,

도 19는 도 18의 평단면도,

도 20 내지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가 설치된 일예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가 설치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의 결합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가 설치된 일예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이하 "폐쇄력 보조장치"로 약칭함)(2)는 방화문(8)에 체결된 고정브라켓(6)에 도어클로저(4)와 함께 설치된다. 폐쇄력 보조장치(2)는 도어클로저(4)의 저부에 위치하되 도어클로저(2)의 회전축(40)에 축연결되어서 도어클로저(4)와 연동작동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클로저(4)가 설치된 방화문(8)은 화재발생시 연기 또는 열 감지에 의해 벽체(12)에 설치된 도어릴리즈(14)에 의해서 걸림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면 그 도어클로저(4)의 닫힘력에 의해서 닫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쇄력 보조장치(2)는 도어클로저(4)와 연동작동하되, 방화문(8)이 닫히는 전체구간에서 방화문 폐쇄력이 약해지는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에서만 작동하여 도어클로저(4)의 닫힘력이 보강되도록 한다. 도어클로저(4)가 장치된 방화문(8)에서 방화문 폐쇄력이 약해지는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은 도어클로저(4)내 스프링 압축반력이 약해지는 구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방화문(8)의 완전 닫힘(0°상태)이 이루어지기전 50°이하의 잔여개방 각도범위로 정해질 수 있다.

요컨대, 방화문(8)과 도어릴리즈간의 걸림이 해제되면, 방화문(8)이 도어클로저(4)의 닫힘력으로 닫혀지게 되는데 방화문(8)이 완전히 닫히기전 방화문폐쇄력이 약해지는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에서는 폐쇄력 보조장치(2)가 작동하여서 추가적인 보강력을 도어클로저(4)에 더하여 준다. 그래서 화재발생시 실내로부터 불어나오는 풍압에도 불구하고 방화문(8)이 완전히 닫히게 해주고, 또 완전닫힘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쇄력 보조장치(2)는 폐쇄력 보조장치(2)를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을 내장하는 상하부케이스(20)(22)를 구비한다. 상하부케이스(20)(22)내에는 바이어스스프링 작동실과 작동체 전용작동실로 구분된 직선작동실(36)이 형성되고 또 축홈(38)도 형성된다.

직선작동실(36)에는 바이어스 스프링(bias spring)(24)과 랙기어부(26a)를 갖는 작동체(26)가 나란하게 수납 장치되는데, 작동체(26)는 작동체 전용작동실과 바이어스 스프링 작동실 일부에 위치되고 작동체 전용작동실에는 바이어스 스프링(24)이 침범하지 못한다. 직선작동실(36)내 스프링작동실측 일단 나공에는 바이어스 스프링(24)과 면접된 보장력조절볼트(50)가 나사체결되게 구성한다. 보장력조절볼트(50)는 바이어스 스프링(24)의 보장력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무두볼트이며, 그 외부면에는 렌치를 삽입할 수 있는 렌치홈(51)이 형성된다.

직선작동실(36)에서 직선작동하는 작동체(26)내의 나홈(46)에는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의 각도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나봉(44)이 나사 삽입되며, 상기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타단은 상하부케이스(20)(22)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외부로 노출된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타단에는 조절손잡이부(48)가 일체형성되고,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중간측 나사부에는 푸쉬너트편(31)이 나사 체결된다.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을 넓히기 위해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을 일측방으로 축회전시키게 되면 푸쉬너트편(31)은 각형(바람직하게는 사각형)으로 된 너트편이므로 케이스 내부측벽에 걸림되어 회전되지 않고 위치고정되지만,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직선운동시에는 함께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은 일측방향으로 축회전됨에 따라 작동체(26)내 나홈(46)에 나사삽입되어서 그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그 결과 바이어스 스프링(24)에 의해 밀린 작동체(26)는 직선작동실(36)에서 작동체 전용작동실의 내측으로 더욱 쉬프트(shift)되어진다.

상기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이 외부 노출된 방향의 상하부케이스(20)(22)의 내부측면에는 접촉스위치(34)가 설치된다. 접촉스위치(34)는 방화문(8)의 닫힘이 완료될 시 직선운동하는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에 나사체결된 푸쉬너트편(31)이 누름에 따라 스위치 온되며, 그에 대응된 방화문 완전닫힘을 알려주는 상태신호가 벽체에 내설된 기동확인 배선을 통해서 수신반으로 전송되어진다.

또 상하부케이스(20)(22)내에 각각 형성된 축홈(38)에는 원통외주면 일부에 피니언기어부(28a)가 형성된 회전체(28)가 축설치되게 구성하되, 상기 회전체(28)는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과 축연결되게 구성한다.

회전체(28)의 피니언기어부(28a)는 직선운동하는 작동체(26)의 랙기어부(26a)와 이물림 연결되며, 피니언기어부(28a)가 없는 회전체(28)의 원통외주면구간에서는 작동체(26)의 선형적 움직임이 없으며 회전체(28)만 헛회전하게 된다.

회전체(28)의 원통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피니언기어부(28a)와 작동체(26)의 랙기어부(26a)가 이물림작동이 이루어지는 구간은 방화문(8)의 완전닫힘 이전 구간으로서 도어클로저(4)에 의해서 닫히고 있는 방화문(8)의 폐쇄력이 약해지는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이다. 방화문 폐쇄력이 약해지는 이 구간에서만 직선작동실(36)에 압축된 바이어스 스프링(24)에 의해서 작동체(26)가 밀리면서 직선운동을 하게되고, 그에 따라 작동체(26)의 랙기어부(26a)와 이물림된 피니언기어부(28a)를 갖는 회전체(28)가 축회전되게 함으로써 회전체(28)에 축연결된 도어클로저(4)의 닫힘력을 보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을 이용하여서 방화문 폐쇄력 보강구간의 각도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폐쇄력 보조장치(2)를 도어클로저(4)로부터 분리만 시켜주면 폐쇄력 보조장치(2)의 상하부케이스(20)(22)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조절손잡이부(48)만을 회전시켜서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의 각도범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에 대한 각도조절 범위는 방화문(8)이 완전닫힘을 0°로 기준해서 10°~ 50°잔여개방각 범위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하철이나 빌딩 지하주차공간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 방화문(8)의 경우에는 제연설비 가동시 지하철이나 지하주차공간내에서 부는 바람이 다른 곳에 설치된 방화문과 상대적으로 강한 관계로 방화문 완전닫힘 이전 40°정도의 잔여 개방각부터 방화문폐쇄력 보강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때에는 사용자는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조절손잡이부(48)를 회전시켜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이 0°~ 40°의 각도범위가 되도록 작동체(26)와 회전체(28)의 이물림 영점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일 예는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을 회전시켜서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이 0°~ 15°각도범위인 폐쇄력 보조장치(2)의 작동상태도이고, 그 중 도 9에는 작동체(26)와 회전체(28)의 '이물림 영점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일 예는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을 회전시켜서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이 0°~ 50°각도범위인 폐쇄력 보조장치(2)의 작동상태도이며, 그중 도 10에는 작동체(26)와 회전체(28)의 '이물림 영점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을 이용한 작동체(26)와 회전체(28)의 이물림 영점위치 조절은 바이어스 스프링(24)이 가능한한 이완된 상태(방화문 닫힘상태임)에서 조절해야하며,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을 일측방향으로 축회전시켜서 작동체(26)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이 더 넓어지게 된다. 이때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은 작동체(26)의 내부 나홈(46)에 나사삽입되어 짧아지게 되지만 푸쉬너트편(31)은 각형인 관계로 케이스 내측벽에 부딪혀서 위치고정되므로 제자리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폐쇄력 보조장치(2)의 회전체(28)와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을 축연결함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체(28) 상부면에 스플라인축공(28b)을 형성하고, 또 각도조절구(32)의 스플라인축부(32b)가 회전체(28)의 스플라인축공(28b)에 삽입되게 하되 상하부케이스(20)(22)가 조립완료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20)에 형성된 통공(56)을 통해서 삽입되게 한다.

각도조절구(32)는 상부에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부(40a)가 삽입되는 각홈(32a)을 갖으며, 그 하부에는 회전체(28)의 스플라인축공(28b)에 삽입되는 스플라인축부(32b)가 형성된다. 각도조절구(32)는 사용자가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을 이용하여서 이물림 영점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회전체(28)가 축회전됨으로 인해 각홈(32a)이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부(40a)와 틀어지게 되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함이다.

각도조절구(32)의 각홈(32a)은 각볼트머리부(40a)가 사각머리부를 가지므로 사각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사각홈 이외에도 사각머리부의 각볼트머리부(40a)를 수용할 수 있는 다각홈(8각홈 또는 12각홈 등)으로도 구현할 수 있음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여진다.

또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부(40a)의 크기는 규격에 따라 약간씩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 규격에 맞는 각홈(32a)을 갖는 각도조절구(32)를 다수개 제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도조절구(32)를 구비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2에서와 같이 각도조절구(32) 없는 폐쇄력 보조장치(2)도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는 사각형태의 각형축공(60)이 회전체(28)에 바로 형성되며, 회전체(28)의 각형축공(60)에는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부(40a)가 삽입고정된다.

도 12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하부케이스(20)(22)의 조립해체 없이는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의 각도범위 조절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회전각을 갖는 각형축공(60)을 갖는 회전체(28)들을 다수 마련하며,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의 각도범위 조절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하부케이스(20)(22)를 조립해체한다. 그래서 회전체(28)를 빼낸 후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회전체(28)를 끼워 넣고난 다음, 상하부케이스(20)(22)를 재조립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에서와 마찬가지로 각도조절구(32) 없는 폐쇄력 보조장치(2)로 구현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쇄력 보조장치(2)의 사시도로서, 도 12와 마찬가지로 각도조절구(32)가 필요없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쇄력 보조장치(2)는 회전체(28)에 스플라인축공(28b)을 바로 형성하되,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부(40a)가 직접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도 13과 같은 경우에는 도 12의 실시 예와는 달리 상하부케이스(20)(22)의 조립해체 없이도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의 각도범위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는 회전체(28)에 형성된 스플라인축공(28b)의 특성상 내주면 요철부가 형성된 관계로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 변경을 위한 각도범위의 조절이 이루어짐에 의해 회전체(28)가 회전된다하더라도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부(40a)를 회전체(28)의 스플라인축공(28b)에 바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쇄력 보조장치(2)를 설치함에 있어서, 도어클로저(4)와 폐쇄력 보조장치(2)를 고정브라켓(6)에 지지하여 방화문(8)에 체결고정시키되, 고정브라켓(6)의 저부 양단에 일체형성된 끼움편(6a)들중 일단의 끼움편(6a)을 상하부케이스(20)(22)에 상하방으로 형성된 후부 삽입홈(54)에 삽입되게 한다. 또 그와 동시에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부(40a)가 각도조절구(32)의 상부 각홈(32a)에 삽입되게 하며, 하부케이스(22)의 측부에 형성된 체결공(58)과 고정브라켓(6)의 끼움편(6a)에 형성된 체결공(7)으로 볼트체결함으로써 폐쇄력 보조장치(2)를 방화문(8)에 설치될 고정브라켓(6)에 고정되게 한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지만 폐쇄력 보조장치(2)의 더욱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는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의 각볼트머리(40a)의 나공을 형성하고 각도조절구(32)에 축부에 통공을 형성한 다음 회전체(28)의 스플라인축공(28b)의 저방으로 와셔가 회전체(28)의 저면 또는 하부케이스(22)에 안착되게 한 다음 볼트로 상기 나공에 볼트체결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각도조절구(32)가 없는 폐쇄력 보조장치(2)의 구조에서는 각도조절구(32)의 축부에 통공을 형성시키는 고려를 하지 않아도 된다.

도 15는 도 2의 폐쇄력 보조장치(2)의 변형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는 도 15의 폐쇄력 보조장치(2)의 측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폐쇄력 보조장치(2)의 평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폐쇄력 보조장치(2)는 작동체(26)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이송안내하는 이송안내틀(27)이 상하부케이스(20)(22)의 직선작동실(36)내 작동체 전용작동실에 장치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이송안내틀(27)은 "ㄷ"의 측단면 형상으로서 그 하부상면에는 레일돌기(27a)들이 형성되고, 작동체(26)의 저면에는 레일홈(25)이 형성됨으로써 작동체(26)가 이송안내틀(27)에 안내되어서 쉽게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쇄력 보조장치(2)는 좌측방화문 및 우측방화문에도 모두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제 상기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쇄력 보조장치(2)의 동작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관리자가 닫힌 방화문(8)을 열게되면 도어클로저(4)의 아암(10)에 연동된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이 시계방향으로 축회전되고 폐쇄력 보조장치(2)의 회전체(28)도 도 9, 도 8, 도 7에 차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체(28)의 피니언기어부(28a)에 맞물린 랙기어부(26a)를 갖는 작동체(26)는 도 9 및 도 8에 차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이빨이 맞물린 구간만큼은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바이어스 스프링(24)을 압축하게 된다. 회전체(28)는 피니언기어부(28a)와 랙기어부(26a)가 맞물림이 없는 구간에서는 헛회전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작동체(26)는 더 이상 좌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그 위치에 머물게 된다. 이에 따라 바이어스 스프링(24)은 압축 바이어스력을 갖게 된다.

방화문(8)이 완전히 열리게 되면 방화문(8)은 벽체에 설치된 도어릴리즈에 걸림되어진다. 이렇게 도어릴리즈에 방화문(8)이 걸림된 상태에서는 도어클로저(4)에 의한 인장력만이 방화문(8)에 작용하고 폐쇄력 보조장치(2)에 의한 인장력은 전혀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방화문(8)의 걸림유지가 수월하다.

도 7에서는 방화문(8)이 완전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력 보조장치(2)내 구성부품들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평상시에는 방화문(8)은 도 7에서와 같이 벽체의 도어릴리즈에 걸림이 되어 열려 있다가, 화재시 연기나 열 감지에 의해 도어릴리즈는 방화문(8)에 대한 걸림을 해제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방화문(8)은 도어클로저(4)의 닫힘력에 의해 닫혀지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때에는 폐쇄력 보조장치(2)는 작동하지 않는다.

방화문(8)이 닫혀지기 시작하면 도어클로저(4)의 아암(10) 및 회전축(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방화문(8)이 문닫힘 직전의 폐쇄력이 약해지게 되는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에 오게되면 도 8에서와 같이 폐쇄력 보조장치(2)의 피니언기어부(28a)와 랙기어부(26a)가 이물림작동을 하게된다. 그에 따라 압축바이어스력을 갖고 있던 바이어스스프링(24)의 반력에 의해서 작동체(26)가 직선작동실(36)의 작동체 전용작동실 내측으로 밀려 이동되면서 이물림되고 있는 회전체(28)를 강하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므로 도어클로저(4)의 닫힘력을 더욱 보강해 주게 된다. 그에 따라 방화문(8)은 제연설비로 인해 발생한 풍압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수십초내(예컨대 10초 이내)에 완전히 닫히게 된다.

방화문(8)이 마지막 잔여개방상태로부터 완전닫힘될 때 쾅하게 세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클로저(4)에 유압완충수단이 내설되어 있는 기술은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그러한 도어클로저를 채용하면 방화문(8)이 너무 빨리 쾅하고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방화문(8)이 완전 닫힌 상태에서 폐쇄력 보조장치(2)내 구성부품들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어클로저(4)의 닫힘력과 폐쇄력 보조장치(2)의 보강력이 합해진 방화문 폐쇄력에 의해서 방화문(8)이 완전 닫힘이 이루어지면, 만일 평상시의 경우라면 방화문(8)을 쉽게 열기가 용이하지 않다. 하지만 방화문(8)은 평상시에는 관리자에 의해서 항상 열려 있도록 조치되며, 화재에 의한 피난시에는 제연설비의 송풍 바람이 내실에서부터 외측으로 불면서 방화문(8)을 외측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 등이라 할지라도 방화문(8)을 쉽게 밀어 열 수가 있다.

도 1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에 관련된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의 시사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0 내지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쇄력 보조장치(2)는 방화문(8)이 180°까지 회전하여서 완전개방되고 도어걸림되는 구조의 방화시설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폐쇄력 보조장치(2)는 180°완전개방된 방화문(8)이 도어클로저(4)의 닫힘력에 의해서 닫혀질 때 두차례에 걸쳐서 방화문 닫힘력을 보강시켜 주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쇄력 보조장치(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폐쇄력 보조장치(2)와 거의 유사하지만 작동체(26)와 회전체(28)의 구조가 다소 상이하다. 도 18 및 도 19에서, 도 3 및 도 4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 그 기능 및 작용이 도 3 및 도 4의 폐쇄력 보조장치(2)와 거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8 및 도 19에서, 도 3 및 도 4와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폐쇄력 보조장치(2)에서는 하나의 작동체(26)를 채용한 반면 도 18 및 도 19에서는 두개의 작동체 즉, 제1랙기어부(26a1)를 갖는 제1작동체(126)와 제2랙기어부(26a2)를 갖는 제2작동체(128)를 채용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제1,제2작동체(126)(128)는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나봉(44)을 축으로 해서 서로 면접가능케 분리 구성된다. 폐쇄력구간 각도조절봉(30)의 나봉(44)에는 스프링(130)이 먼저 삽입되고 통공(129)을 갖는 제2작동체(128)가 헐겁게 삽입되며 그후 제1작동체(126)가 나사결합되어지되, 제1,제2작동체(126)(128) 상하부케이스(20)(22)에 조립시 직선작동실(36)의 작동체 전용작동실에 삽입된 상기 스프링(13)은 상기 작동체 전용작동실의 측부 걸림턱에 그 스프링 일단이 걸림 구성된다. 그러므로 스프링(130)은 평상시 제1,제2작동체(126)(128)가 면접되도록 제2작동체(128)를 푸쉬하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원통외주면에 하나의 피니언기어부(28)가 형성된 회전체(28)를 채용하였지만,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쇄력 보조장치(2)에서는 회전체(28)의 원통외주면에 이격된 두개의 피니언기어부 즉, 제1피니언기어부(28a1)와 제2피니언기어부(28a2)가 형성되게 구성한다. 상기 이격된 두개의 피니언기어부(28a1)(28a2)간에는 그 제1,제2피니언기어부(28a1)(28a2)의 기어치 산높이와 유사한 높이를 갖는 융기면부(140)가 형성된다.

그래서 회전체(28)와 제1,제2 작동체(126)(128)가 기어 이물림시, 회전체(28)의 제1피니언기어부(26a1)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동체(126)의 랙기어부(26a1)가 이물림되고, 회전체(28)의 제2피니언기어부(26a2)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체(128)의 랙기어부(26a2)가 이물림된다. 그리고, 회전체(28)가 회전시 회전체(28)의 제1,제2피니언기어부(26a1)(26a2)간에 개재된 융기면부(140)가 제1작동체(126)의 랙기어부(26a1)와 접촉하게되면 제1작동체(126)는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고 그 구간동안에는 회전체(28)만이 회전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체(28)와 제1,제2 작동체(126)(128)간의 유기적인 작동을 통해서 폐쇄력 보조장치(2)는 바이어스 스프링(24)이 너무 압축되지 않고 방화문 폐쇄력을 보강시켜줄 수 있을 만큼만 압축된 바이어스 스프링 압축력을 갖게되어 관리자가 방화문(8)을 180°까지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후 방화문(8)이 닫힘시 폐쇄력 보조장치(2)에 의해서 방화문 폐쇄력이 두차례에 걸쳐서 방화문(8)에 작용되게 한다. 즉 방화문(8)의 닫힘 이전 방화문폐쇄력 보강구간으로서 제1,제2작동체(126)(128)와 회전체(28)간 기어 이물림이 있는 구간에서 상기 방화문 폐쇄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 18 및 도 19와 같은 폐쇄력 보조장치(2)에서, 회전체(28)와 제1,제2 작동체(126)(128)간의 유기적인 작동관계에 대해서 도 20 내지 도 23을 함께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괸리자가 닫힌 방화문(8)을 열게되면 도어클로저(4)의 아암(10)에 연동된 도어클로저(4)의 회전축(40)이 시계방향으로 축회전되고 폐쇄력 보조장치(2)의 회전체(28)도 도 20, 도 21, 도 22, 도 23에 차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체(28)의 제1피니언기어부(28a1)에 맞물린 랙기어부(26a1)를 갖는 제1작동체(126)는 도 20 및 도 21에 차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이빨이 맞물린 구간만큼은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바이어스 스프링(24)을 압축하게 된다. 그 후 회전체(28)는 제1피니언기어부(28a1)과 제2피니언기어부(28a2)간의 융기면부(140)에서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헛회전만 한다. 이때 제2작동체(128)는 융기면부(140)에 의해서 제1작동체(126)과는 벌어지게 되지만 스프링(130)에 의해서 탄지된 상태로 벌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작동체(126)가 더 이상 좌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그 위치에 머물러 있게되며, 그 만큼 압축된 바이어스 스프링(24)은 그에 상응하는 압축 바이어스력을 갖게 된다.

그 후 회전체(28)의 회전으로 회전체(28)의 융기면부(140)와 제1작동체(126)의 랙기어부(26a1)와의 압박접촉이 끝나게 되면 스프링(130)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2작동체(128)가 제1작동체(126)와 면접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체(28)의 제2피니언기어부(28a2)는 제2작동체(128)의 랙기어부(26a2)와 맞물리게 된다. 그러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8)의 회전에 의해 기어이빨이 맞물린 구간만큼 제2작동체(128)를 좌측으로 밀게 되는 바, 그에 따라 밀리고 있는 제2작동체(126)에 면접된 제1작동체(126)가 좌측으로 재차 이동되면서 바이어스 스프링(24)을 추가적으로 압축하게 된다.

그 후 회전체(28)는 제2피니언기어부(28a2)와 제2작동체(128)의 랙기어부(26a2)가 맞물림이 없는 융기면부 구간에서는 도 23에서와 같이 헛회전을 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제1,제2작동체(26)는 더 이상 좌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그 위치에 머물게 되며, 그에 따라 바이어스 스프링(24)은 두번에 걸쳐 단속적으로 압축된 압축 바이어스력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두번에 걸쳐 단속적으로 바이어스 스프링(24)이 압축되어짐에 따라 폐쇄력 보조장치(2)는 바이어스 스프링(24)이 너무 압축되지 않고 방화문 폐쇄력을 보강시켜줄 수 있을 만큼만 압축된 바이어스 스프링 압축력을 갖게된다. 그러므로 관리자가 방화문(8)을 180°까지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방화문(8)이 180°까지 완전 개방되어 있다가, 화재시 연기나 열 감지에 의해 방화문(8)의 걸림이 해제되면 방화문(8)은 도어클로저(4)의 닫힘력에 의해 닫혀지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 때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작동체(126)(128)와 회전체(28)간 기어 이물림이 없는 관계로 폐쇄력 보조장치(2)는 작동하지 않는다.

방화문(8)이 닫혀지기 시작하면 도어클로저(4)의 아암(10) 및 회전축(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방화문(8)의 대략 반즈음 정도 닫힌 상태에서 도 22에서와 같이 폐쇄력 보조장치(2)내 회전체(28)의 제2피니언기어부(26a2)와 제2작동체(128)의 랙기어부(26a2)가 이물림작동을 하게된다. 그에 따라 압축바이어스력을 갖고 있던 바이어스 스프링(24)의 반력에 의해서 제1,제2 작동체(126)(128)가 직선작동실(36)의 작동체 전용작동실 내측으로 밀려 이동되면서 이물림되고 있는 회전체(2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므로 도어클로저(4)의 닫힘력을 1차로 보강해 준다.

그 후 방화문(8)이 계속 닫혀지다가 방화문(8)이 문닫힘 직전 폐쇄력이 제일 약해지게 되는 방화문 폐쇄력 보강구간 예컨대, 방화문 개방각이 0°∼15°범위내에 오게되면 도 21 및 도 20에서와 같이 폐쇄력 보조장치(2)내 회전체(28)의 제1피니언기어부(26a1)와 제1작동체(126)의 랙기어부(26a1)가 이물림작동을 하게된다. 그에 따라 잔여 압축바이어스력을 갖고 있던 바이어스 스프링(24)의 반력에 의해서 제1,제2 작동체(126)(128)가 다시 한번 직선작동실(36)의 작동체 전용작동실 내측으로 밀려 이동되면서 이물림되고 있는 회전체(2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므로 도어클로저(4)의 닫힘력을 2차로 보강해 준다. 그에 따라 방화문(8)은 제연설비로 인해 발생한 풍압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수십초내에 완전하게 닫히게 된다.

한편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폐쇄력 보조장치(2)도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폐쇄력 보조장치(2)와 같이, 제1,제2 작동체(126)(128)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이송안내하는 이송안내틀(27)이 상하부케이스(20)(22)의 직선작동실(36)내 작동체 전용작동실에 장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제1,제2작동체(126)(128)가 이송안내틀(27)에 안내되어서 쉽게 직선운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방화 및 방재설비에 이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