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DEVICE FOR GENERATING ENERGY AND REDUCING INDUCTION ENERGY BY USING MAGNETIC FIELD AND ELECTROMAGNETIC FIELD LINE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15/137579
Kind Code:
A1
Abstract:
A device for generating energy and reducing induction energy by using a magnetic field and an electromagnetic field line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il unit having coils woun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dually stacked on a semiconductor and permanent magnets located at both longitudinal rotational ends of the coil unit to decrease active/reactive power, increase a power factor, decrease a power loss in the line, and prevent fault or rapid wearing out of an electrical machine due to an excessive voltage drop of the machine, thereby increasing the life span of the machine.

Inventors:
KU BON HUN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8899
Publication Date:
September 17, 2015
Filing Date:
September 24, 2014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KU BON HUN (KR)
International Classes:
H02J1/02; H02J1/00
Foreign References:
KR20000046658A2000-07-25
KR20100068616A2010-06-24
JP2005045941A2005-02-17
JP2001155601A2001-06-08
Attorney, Agent or Firm:
FRIENDS DREAM INTERNATIONAL PATENT & LAW FIRM (KR)
특허법인 프렌즈드림 (KR)
Download PDF: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반도체상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코일을 이중으로 적층한 코일부;및 상기 코일부의 회전 종단의 양단에 위치한 영구자석;

을 포함하는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휴도 에너지 저감 장치 .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원통형 반도체위에 한 방향으로 제 1 코일을 일정 간격으로 감고. 그 위에 제 1 코일의 감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즉, 제 1 코일과 X 자 방향으로 제 2 코일을 감아 이중 형태의 코일을 적층한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의 종단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 .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으로 적충된 코일은

얇은 자성강판에 의하여 상호 절연되는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판형상의 영구자석이 적층되게 구성하되 상기 코일의 감긴수 만큼 적층되는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징-치 .

【청구항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감장치의 출력단에 부하기를 연결하되, 상기 부하기는 상기 에너지 저감장치에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저항과 콘덴서로 구성된 회로와 병렬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기장과 도선 상에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통해 이동 전류의 에너지 손실을 막아 도선 상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장치로써 . 보다 상세하게는 도선에서 발생하는 부하 중 정전기 및 고주파의 발생을 억제하며 와전류를 막아 전기적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최근 지구의 이상 기후 및 은난화에 따른 전력 소비량 증가로 인한 에너지 부족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발전소에서 전송 되어진 전력의 손실을 줄여 발전소의 생산량을 줄이고, 가정의 소비 전력을 낮추는 것이다.

적은 전력의 양을 줄일 수 있지만 넓게는 전국의 모든 가정과 기업의 량을 합치면 적지 않은 양의 전력이다.

발전소와 기업이나 가정의 배전반으로 연결되어진 도선의 양단에는 정지되어진 전류가 존재한다. 전기 기구의 소켓이 꽂혀 있다면 잔류 전류의 에너지 활동은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전기 기구의 연결은 발전소의 대기 전력을 "0"에 두는 것이 아니다. 실지 발전소에서 사용처에 연결되어진 선로에는 전류와 전압이 모두 존재한다. 이렇게 선로 상에 존재하는 전류량은 흐르는 전류의 량보다는 적다. 하지만 그 전류 량은 사용처인 수많은 기업과 가정의 전류 량을 합하면 상상 이상의 전력량을 갖게 된다.

도선 상에 발생하는 전류의 손실은 결국 부하기와 발전소 양단에 걸려 있는 전류량의 문제일 수 있다. 발전소는 사용자가 언제 전기를 사용하기를 원하는지 알 수 없기에 항상 대기 상태를 만들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만일 그 대기 전력과 순환전력이 무부하에 가까운 장치로 인해 저항을 최소화한다면, 발전소의 전력과 전기를 사용하려는 수요처와의 도선상에 손실이 줄어들게 되어질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에너지 전송 효율 증가 장치가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 1은 등록특허공보 제 10- 1271310호 (명칭:직류 전기에너지 전송 효율 증가 장치 )에 개시된 기술로, 직류 전기 에너지 전송 효율 증가 장치 (20)는 직류 전기 에너지 생산 장치 ( 10)와 직류 전기에너지 소비 장치 (30)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직류 전기 에너지 생산 장치 ( 10)는 직류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로 예를 들면 태양광 발전과 같은 발전소나 직류 전기 에너지 공급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직류 전기에너지 소비 장치 (30)는 직류 전기에너지를 소비하는 모든 장치이거나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된 직류 전기에너지를 변전소로 운반하기 위해 교류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인버터가 될 수 있다.

즉, 직류 전기에너지 전송 효율 증가 장치 (20)는 직류 전기 에너지가 전송되는 송전선에 연결되어 있다.

직류 전기 에너지 전송 효율 증가 장치 (20)를 이용하여 직류 전기 에너지의 송전을 안정화시켜 직류전기에너지 소비 장치 (또는 인버터 ) (30)까지 전송하므로 직류 전기 에너지의 송전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이다.

하단 그림을 참고하면 , 직류 전기 에너지 전송 효율 증가 장치 (20)는 송전선 연결되는 커넥터 (31 , 33 , 42 , 44), 송전선과 연결되는 전선 ( 11 , 12) , 및 전자의 이동 및 전압의 안정화를 수행하는 전압 안정화부 (21, 22)를 포함한다.

커넥터 (31 , 33 , 42 , 44)는 직류 전기 에너지를 송전하는 송전선과 직류 전기 에너지 전송 효율 증가 장치 (20)내의 전선 ( 11 , 12)을 연결시켜 준다. 전선 ( 11 , 12 )은 직류 전기 에너지 전송 효율 증가 장치 (20)내에서 직류 전기 에너지가 송전되는 곳으로 전기적 특성물질과 전자기장 발생코일에 의해서 전선 ( 11 , 12 )내의 전자의 이동이 안정화된다.

전압 안정화부 (21 , 22 )는 직류 전기 에너지 생산장치 ( 10 )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직류 전기 에너지 전송 효율 증가 장치 (20 )내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류 전기 에너지를 송전하는 송전선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전압 안정화부 (21 )는 직류 전기 에너지 생산장치 ( 10)내에 상단과 하단의 2개로 구성이 되어 각각 양극 및 음극의 송전 선로와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직류 전기 에너지의 송전시 송전선로 상에서 손실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송전상의 메카니즘적인 문제로 인해 생산된 직류 전기 에너지를 100% 원하는 곳까지 송전할 수는 없다. .

피상전력, 결국 이론적 전력은 한전에서는 100%의 전기를 공급하지만 실제 전기 사용은 설비, 사용 시설에 따른 저항에 의해 실제로 사용 되어지는 전력은 90% - 80% 정도이다. 이렇게 전기로써의 일을 못하고 버려지는 10% ~ 20%의 전력은 전국이라는 의미에서 볼 때 생각보다 적지 않은 전력량이다.

특히 산업용에서는 90% 미만인 경우가 많고. 심지어는 가산금이 89%를 기준으로 1%씩 추가 부담 되어진다.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볼 때 여름과 겨울에 심각한 전력난을 겪고 있는 이 시대에 작은 손실 전력이라도 줄여서, 공급자와 수요자에게 작은 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저비용으로 고 효율의 송전 시스템을 얻기 위해서는 송전 선로상에서 손실되는 전력의 누수를 막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교류는 부하기와 발전소 간의 연계에 대한 것이다. 직류에서는 역률이 1인지라 무효분도 없으나, 교류는 다르다. 역률이 좋지 못해 무효전력이 많이 발생한다 .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교류는 부하기와 발전소 간의 연계에 대한 것이다.

직류에서는 역률이 1인지라 무효분도 없으나, 교류는 다르다. 역률이 좋지 못해 무효전력이 많이 발생한다.

즉, 전압을 기준으로 해서 전류가 뒤져있거나 전류가 앞서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역률이 많이 발생하면 전력 손실도 당연히 커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발전소의 발전 소비량이 많아지니, 전력요금도 많이 내야 한다. 그밖에 계전기나 부하기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주어 장비 사용에도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내용】

【기술적 과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역기전력에 의한 필터 역할을 하여 , 역률 개선 및 에너지껄감 및 전력품질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그로 인해 역률을 1에 가깝게 만들어 진상전류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줄일 수 있는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단과 부하기 사용 단에 걸려 있는 전압은 사용 단의 부하기 앞에 병렬 콘덴서를 걸어 보면ᅳ 이는 전류위상을 앞당겨 발전단이 일, 즉 전류를 이동하려 하지 않게 만드는 것이다.

사용 단의 전류의 상이 조금씩 뒤쳐져 발전 단에서 전류를 흐르게 만드는 효과를 막는 것이다. 이렇게 미세한 전압의 변화로 대기 손실 전력량을 줄이는 것으로ᅳ 기존의 콘덴서와는 다른 발전 단에 걸려있는 전압과 부하기, 사용 단의 전압 위상을 맞출 수 있는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소 측에서 높은 기술로 많은 것들을 해결하고 있지만 변전소 자체적인 방법으로 역률을 조절한다는 것은 현재로서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발전소 단이 아닌 사용처 종단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올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 본 발명은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를 줄여 무효전력을 낮출 수 있는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하 변동이 심한 장치를 사용하는 곳의 역률 및 전압 보상, 고조파 저감 등 전력 품질을 향상시켜, 전력 사용 효율을 높여 주고. 또한 안정적인 전압과 전류를 제공함으로 전기적 층격에 민감한 전자 장비 및 각종 장치들의 크고 작은 전력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는 반도체상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코일을 이중으로 적층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회전 종단의 양단에 위치한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저감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코일부는 원통형 반도체위에 한 방향으로 제 1 코일을 일정 간격으로 감고, 그 위에 제 1 코일의 감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즉. 제 1 코일과 X자 방향으로 제 2 코일을 감아 이중 형태의 코일을 적층구조로 구성하여 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 영구자석은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의 종단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서로 대향돠는 위치에 적층되어 설치하고 , 상기 이중으로 적층된 코일은 얇은 자성강판에 의하여 상호 절연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영구자석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판형상의 영구자석이 적층되게 구성하되 상기 코일의 감긴수 만큼 적층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너지 저감장치의 출력단에 부하기를 연결하되, 상기 부하기는 상기 에너지 저감장치에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저항과 콘덴서로 구성된 회로와 병렬로 연결되어 사용되게 한다.

【유리한 효과】

따라서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에너지 발생과 유도 에너지 저감장치에 의하면, 유 /무효전력을 감소시키고, 역률을 상승시키며, 선로에서 손실되는 전력량을 감소시키고, 전기기계의 무리한 전압의 강하로 인한 불량이나 급격한 기기노후를 막아, 기기수명이 증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에너지 발생과 유도 에너지 저감장치에 의하면, 결국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로 발생하는 지상. 진상의 위상차를 줄여 역률을 낮추고, 부하기에 작동 시 순환전력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일정한 전류의 공급을 통해 막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전기에너지 전송 효율 증가 장치에 개시된 기술,

도 2는 본 발명의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를 부하기에 연결하여 구성한사용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코일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코일과 영구자석 구성도,

도 5는 도 4의 확대 도면,

도 6은 자기장 형성 참고 도면,

정정용지 (규칙 제 91조) ISA/KR 도 7은 기동 시 본 발명의 코일 설치전과 설치 후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변위차를 측정한 그래프,

도 8은 시간별 위상차를 대비한 그래프,

도 9는 모터와 같은 기기의 가속 시 설치 전과 후의 변화에 따른 테스트 결과표 도 10은 코일의 감긴 형태나 코일의 권선 수, 코일의 엇갈림에 따라 파형의 변화를 테스트한 표,

도 11은 본 발명의 코일을 설치하기 전의 테스트 자료,

도 12는 본 발명의 코일을 설치한 후의 테스트 자료,

그리고,

도 13과 도 14는 미세전류를 이용하는 상태에 대하여 전류의 진폭올 설치전과 설치 후의 테스트결과이다- .

정정용지 (규칙 제 91조) ISA/KR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 ~부" , " ~기" , "모들"

"장치 '' 둥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 이는 하드웨어 및 /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를 부하기에 연결하여 구성한 사용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 및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 (JH1 ;이하, 저감장치라 한다) ( 100)는 발전단 (30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기 (200)로 동작되는 다른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교류전력의 전압과 전류 사이에 생기는 위상차를 줄여 무효전력의 발생을 즐이도록 동작된다.

먼저 본 발명은 저전압과 고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손실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리액턴스를 줄 목적으로 유도리액턴스에 의해 무효전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액터 ( reactor )와 비슷한 방법이지만 여기서 다른 것은 리액터에서 흡수할 수 없는 전기장인 전자기장을 컨트롤하여 좀더 좋은 효율, 즉 좀더 낮은 전력 손실률을 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사도 되어지고 있는 것은 콘덴서의 원리를 응용해 코일을 한 방향으로 감고, 전자간의 발생하는 공명현상으로 전압의 안정화로 절감 효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전압의 변화는 그다지 크지 못한 상태이다. 이유는 지금의 전기적 기술이 이런 전압의 문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지금의 전기적 특성에서 볼 때 전압의 큰 변화보다는 부하기의 기동 시 전압의 문제와 무효전력에 대한 것이 더욱 중요하다.

또한, 모터는 처음 운전 시 기동 전류가 약 5배에 가까운 전류를 사용하게 되는 데, 이런 기동 전류로 인해 많은 전력 손실을 갖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전력 손실을 막는데 기존 제품 다수의 절전기는 condenser와 같이 역률을 줄이는 것이나, 본 발명은 이러한 수준의 것과는 다른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교류전력의 전압과 전류 사이에 생기는 위상차를 줄여 무효전력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결국 무효 전력을 제로화하여, 유효전력으로 소모되게 하여 무효전력으로 인한 손실을 줄여 전력요금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적인 성질과 전기전인 성질의 결합으로 고주파와 저주파를 구분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 구성을 한쪽 방향으로 감긴 형태가 아닌 X자로 엮긴 형태의 모습을 구성하여 낮은 저항을 갖고 고주파와 저주파를 구분하는 필터 역활을 하도록 구성한다 .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감징-치 ( 100)는 이중으로 감겨진 코일부 ( 110)와 각 코일의 회전 종단의 양단에 영구자석 ( 140 )이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코일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코일부 ( 110)는 원통형 반도체 ( 120)위에 한 방향으로 제 1 코일 ( 111)을 일정 간격으로 감고. 그 위에 절연된 얇은 자성강판 ( 130)을 덮고, 그 위에 반대 방향으로 즉, 제 1 코일 (111)과 X자 방향으로 제 2 코일 (112)을 다시 감아 이중 형태의 코일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X자 형태의 코일 구성으로 인하여 낮은 저항을 갖고 고주파와 저주파를 구분하는 필터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감기어진 코일의 각각의 종단에 극성을 갖는 영구자석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적층하여 구성한다 .

도 3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코일과 영구자석 구성도를 참고하면.

영구자석 (140)이 각 코일부 (110)의 종단에 극성을 갖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적층되어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확대 도면을 참고하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적층된 영구자석이 코일부 (110)의 감긴수 만큼 적층되고, 코일부 (110)를 기준으로 대향되게 설치한다 .

즉, 영구자석 (140)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적층 영구자석 (141)과 제 2 적층 영구자석 (142)을 배치하고, 제 1 적층 영구자석 (141)은 서로 극성이 다른 .판상의 영구자석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데 예를 들어 최상위 영구자석을 N극

영구자석 (141a)을 위치시킨다면 , 그 하부에 S극 영구자석 (141b)이 적층되고, 다시 N극 영구자석 (141a)과 S극 영구자석 (141b)이 코일의 감긴 수 만큼 적층된다. 또한. 제 2 적층 영구자석 (142)은, 제 1 적층 영구자석 (141)의 적층된 극성과 반대방향으로 설치한다 .

즉, 상기 예에서 제 L 적층 영구자석 (141)은 먼저 N극 영구자석 (141a)이 위치하고, 그 하부에 S극 영구자석 (141b)이 적층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제 2 적층 영구자석 (142)은 S극 영구자석 (142a)이 최상위충에 위치하고, 그 하부에 N극 영구자석 (M2b)이 위치하는 구성으로 반복하여 적층하는 것이다.

즉, 제 1 적층 영구자석 (141)과 제 2 적충 영구자석 (142)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판상의 영구자석을 서로 대향되게 적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구자석의 배치는 제품의 상.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및 양전하의 미세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주파수를 안정시킬 수 있는 전자기의 상호 작용을 촉진하고, 쌍극자를 생성하여 분자 결합에 영향을 증으로써 빠르게 결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전자기장을 컨트를하여 와전류로 인한 전력 손실을 막을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이렇게 상 /하로 나뉘어져 감겨 있는 코일부 ( 11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서로 반대의 전자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이 두 전자기장의 힘의 방향은 서로 반대의 힘을 갖게 되어 서로 상쇄되며 걸려 있는 부하기의 기동 시나 큰 전압의 변형 시 전압의 파형 변화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감겨진 코일마다 양끝에 극성을 갖는 자기장을 배치함으로써, 순간 순간의 상황에 따른 전자기장의 변화를 제어하여.. 전압과 전류의 파동을 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한다 .

그리고. 본 발명의 코일의 구성으로 각 코일 마다 자기장을 구성하여 전력 사용의 순간에 발생되어지는 부하의 불균형, 즉 상용전원의 파형을 왜곡하는 고조파를 막을 수 있다ᅳ

도 6의 자기장 형성 참고 도면을 보면, 이렇게 발생되어지는 부하의 불균형은 전자가 갖고 있는 Potential Energy가 낮아 발생하는데, 도 6과 설치되어진 자기장에 의해 Potential Energy는 부하에 흐트러지지 않고, 그 미세한 전차기장은 자기장과 만나 부하를 낮추고, Potential Energy Generator 에 의해 일정한 전류의 값을 공급하게 한다.

이런 구성들에 의해 전기 고유의 Noise 감소 효과와ᅳ Hamornic Filtering효과, 기계의 오작동 발생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국 정전기 발생 감소로 조명기구의 수명연장 등 가져 오게 된디-.

전체적인 결과를 보면, 소비전력이 낮아지는 것이 아니고, 부하기에 전력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전력 공급자에게는 작지만 손실 전력을 줄여주고, 소비자 측에서도 안정된 전류와 전압을 이용하며, 총 사용 전력량은 감소되는

정정용지 (규칙제 91조) ISA/KR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최종 단에 걸려 있는 부하기를 사용하려는 그 시점, 기동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큰 전압 차와 전류 량을 막아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 제 1 적층 영구자석 (141)은 제 1 지지브라켓 (150b)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적층 영구자석 (142)은 제 2 지지브라켓 (150a)에 의해 지지되고, 각각의 제 1 지지브라켓 (150b)과 제 2 지지브라켓 (150a)은 베이스플레이트 (16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코일부 (110)도 베이스플레이트 (160)의 상하단에 고정된다.

결국, 베이스플레이트 (160)에 코일부 (110)가 중앙에 설치되고 코일부 (110)의 종단에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되어 본 발명의 저감장치 (100)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저감장치 (100)를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에 따른 변위차와 시간별 위상차를 측정한 데이터가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정정용지 (규칙 제 91조) ISA/KR 도 7의 기동 시 본 발명의 코일 설치전과 설치 후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변위차 측정한 그래프와, 도 8의 시간별 위상차를 대비한 그래프를 참고하면, 먼저 도 7에서, 기동 시 설치 전.후의 모습으로 점선은 설치 전, 실선은 설치 후 그래프로서, 무효전력와소모를 낮춤으로 인해 사용하려는 시점에 생기는 위상 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점선은 설치 전이고, 실선은 설치 후의 그래프로서, 설치 후를 설치전과 비교하면, 부하기의 대기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모터와 같은 기기의 가속 시 설치 전과 후의 변화에 따른 테스트 결과는 다음 도 9와 같다,

정정용지 (규칙 제 91조) ISA/KR 도 9의 모터와 같은 기기의 가속 시 설치 전과 후의 변화에 따른 테스트 결과표 "I 참고하면, 점선은 설치 전, 실선은 설치 후의 모습으로 순간의 시간에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코일의 감긴 형태나 코일의 권선 수, 코일의 엇갈림에 따라 파형의 변화가 오고 역률의 변화도 갖고 오며, 와전류의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테스트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정정용지 (규칙 제 91조) ISA/KR 도 10은 코일의 감긴 형태나 코일의 권선 수, 코일의 엇갈림에 따라 파형의 변화를 테스트한 표로서, 도면을 참고하면, 노이즈 현상에 대한 측정 자료인데, ch 3은 설치 전이고 ch 2는 설치 후 결과표로서, ch 1은 코일을 한 방향으로만 감은 제품의 테스트 자료이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가장 이상적인 형태를 도 3과 같이 전자기장이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구성하게 되었다.

도 2에서와 같이 부하기를 걸고 들어오는 전류를 테스트한 결과가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코일을 설치하기 전의 테스트 자료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코일을 설치한 후의 테스트 자료이다.

정정용지 (규칙 제 91조) ISA/KR 도 11과 도 12를 비교하면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그래프가 비슷하였지만, 설치 전의 형태는 사용자의 전력 손실을 볼 수 있으며, 분명 장비의 수명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또한 생산에 있어 민감하고, 미세한 전류에도 불량이 발생하는 곳에도 이런 형태는 파장은 결코 이롭지 못할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미세전류를 이용하는 상태에 대하여 전류의 진폭을 설치전과 설치 후의 테스트결과를 도시하였디- .

도 13과 도 14를 비교하면, 미세 전류상태에서도 설치 후는 안정되게 전류의 진폭이 유지되나, 설치 전은 진폭의 변화가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콘덴서는 위싱-이 빠른 것을 통과시키고, 리액터는 위상이 느린 것을 통과시킨다. 서로 반대의 행위를 하지만, 이들을 잘 조화시키면 위싱ᅳ이 빠른 것과

정정용지 (규칙 제 91조) ISA/KR 위상이 느린 것을 분리해 낼 수 있으며 . 정전기 발생 감소 및 고조파와 고주파를 억제시키는 것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기장과 선로의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에너지 발생과 유도 에너지 저감 장치에 의하면, 결국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로 발생하는 지상. 진상의 위상차를 줄여 역률을 낮추고, 부하기에 작동 시 순환전력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일정한 전류의 공급을 통해 깍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에너지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선에서 발생하는 부하 중 정전기 및 고주파의 발생을 억제하며 와전류를 막아 전기적 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 발전소와 기업이나 가정의 배전반에 사용할 수 있다.




 
Previous Patent: COMBINED DYEING METHOD

Next Patent: MOBILE TER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