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DOUBLE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19/132363
Kind Code:
A1
Abstract:
A double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2.0 to 6.0 wt% of Si; 0.0005 to 0.04 wt% of A1; 0.0001 to 0.003 wt% of S; 0.02 to 1.0 wt% of Mn; 0.003 wt% or less of N (0 wt% exclusive); 0.01 wt% or less of C (0 wt% exclusive); 0.01 wt% or less of Ti (0 wt% exclusive); and 0.005 to 0.10 wt% of P; wherein the remainder comprises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and satisfies Formula 1 below: [Formula 1] [Mn]/[S] ≥ 60 (In Formula 1, [Mn] and [S] represent the content (weight%) of Mn and S, respectively.)

Inventors:
LEE SEIL (KR)
LEE SANG-WOO (KR)
SHIN SU-YONG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6041
Publication Date:
July 04, 2019
Filing Date:
December 17, 2018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POSCO (KR)
International Classes:
C22C38/02; C21D8/12; C21D9/46; C22C38/04; C22C38/06; C22C38/14; C22C38/60
Foreign References:
JP2017122269A2017-07-13
JP2008106367A2008-05-08
JP2017133086A2017-08-03
KR930010323B11993-10-16
KR100294352B12001-09-17
Other References:
See also references of EP 3733900A4
Attorney, Agent or Firm:
YOU ME PATENT AND LAW FIRM (KR)
Download PDF:
Claims:
2019/132363 1»(:1^1{2018/016041

【청구범위】

【청구항 1]

중량%로, : 2.0내지 6.0%,시: 0.0005내지 0.04%, 0.0001내지 0.003% ,此 : 0.02내지 1.◦%, : 0. 003%이하(0%를제외함),(: : 0.01%이하(0%를 제외함), : 0.01% 이하(◦%를 포함하지 않는다), 0.005 내지 0.10%을 포함하고, 잔부는 근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는이방향성 전기강판.

[식 1]

[ / [到 > 60

(식 1에서, [ ] 및 [到은각각此및 £의 함량(중량%)을나타낸다.)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¾ : 0.001내지 0.1중량% 및 ¾1 : 0.001내지 0.1중량% 중 1종 이상을더 포함하는이방향성 전기강판.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 0.01중량%이하,미: 0.01중량%이하, 1¾: 0.01중량%이하, 1 : 0.01중량%이하,쇼 0.01중량%이하, 80: 0.01중량%이하및 : 0.01중량% 이하중 1종이상을더 포함하는이방향성 전기강판.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100} <001 ñ로부터 15° 이내의 방위를 갖는 결정립의 면적 분율이 60내지 99 %인 이방향성 전기강판.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상에 포스테라이트층이 형성,되고,상기 포스테라이트층은 강판 표면으로부터 2/해이내의 두께인 면적의 분율이 75% 이상인 이방향성 전기강판.

【청구항 6】

제 5항에 있어서, 2019/132363 1»(:1^1{2018/016041

상기 포스테라이트 층 상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면 절연층의 두께 및하면절연층의 두께가각각 0.2내지 8 이고,

상기 상면 절연층의 두께 및 상기 하면 절연층의 두께 차이가상기 하면절연층의 두께의 50%이하인이방향성 전기강판.

【청구항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절연층의 평균 조도 0切)와 상기 하면 절연층의 평균 조도 (1¾)가각각 1 /패이하이고,

상기 상면 절연층의 평균 조도 0¾)와 상기 하면 절연층의 평균 조도 (1¾)의 차이가 0.3_이하인 이방향성 전기강판.

【청구항 8]

저 11항에 있어서,

압연 방향과압연수직방향의 이 모두 1.651이상이고, 원주방향의 아이 1.55 이상이고, 은하기 식 2로계산되는이방향성 전기강판.

[식 2]

= 7.87/(7.87-0.0.065><[ ]-0. 1105父 [시]) X 68

(식 2에서, [ ] 및 [시]은각각 ^ 및시의 함량 (중량%)을나타낸다. 묘8은 80 ^로유기하였을때유도되는자기장의 강도比 를나타낸다. )

【청구항 9]

제 1항에 있어서,

1.51의 자기장이 걸릴 때, 측정 주파수가 0.01¾ 이하에서의 투자율 ¾(:가 5예 å에서의 투자율 1.2배 이상인이방향성 전기강판.

【청구항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강판을 750 °0 내지 880° (:의 온도에서 1내지 2시간소둔후 측정된 값이 1.651 이상이고, 아은 하기 식 2로 계산되는 이방향성 전기강판.

[식 2]

아= 7.87/(7.87-0.0.065 ><[ ]-0. 1105 [시]) X 68

(식 2에서, [ ] 및 [시]은각각 및시의 함량 (중량%)을나타낸다. 2019/132363 1»(:1^1{2018/016041

88은 800쇼/로유기하였을때유도되는자기장의 나타낸다.) 【청구항 111

제 1항에 있어서,

압연방향의묘!1가 1.81이상이고,압연수직방향의 811가 1.71이상이고, 원주방향의 가 1.6 이상이고, 은 하기 식 3으로 계산되는 이방향성 전기강판.

[식 3]

¾= 7.87/(7.87-0.0.065 ñ<[ ]-0. 1105 ><[시]) X 825

(식 3에서, [ ] 및 [시]은각각 및시의 함량(중량%)을나타낸다. 825은 250 로 유기하였을 때 유도되는 자기장의 강도比 를 나타낸다.)

【청구항 12】

중량%로, : 2.0내지 6.0%,시: 0.0005내지 0.04%, £: 0.0001내지 0.003%, 1&1: 0.02 내지 1.0%, 0.001 내지 0.01%, 0: 0.02 내지 0.06%, 11:0.01% 이하(0%를 포함하지 않는다), I3 : 0.005 내지 0. 10%을 포함하고, 잔부는 6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슬라브를제조하는단계 ;

상기 슬라브를가열하는단계 ;

상기 슬라브를열간압연하여 열연판을제조하는단계;

상기 열연판을냉간압연하여 냉연판을제조하는단계;

상기 냉연판을 1차재결정 소둔하는단계 및

1차 재결정 소둔된 냉연판을 2차 재결정 소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

[식 1]

[¾]/[到 > 60

(식 1에서 , [ 및 [到은각각슬라브내의 ¾및 £의 함량(중량%)을 나타낸다.)

【청구항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는 하기 식 4를 만족하는 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 2019/132363 1»(:1^1{2018/016041

방법.

[식 4]

IX] /[^ ] > 0.0067

(식 4에서, [0] 및 [ ]는각각슬라브내의(:및 의 함량(중량%)을 나타낸다.)

【청구항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판을제조하는단계에서, 압하율이 50내지 70%인 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재결정 소둔하는 단계에서, 질화량이 0.01 내지 0.023 중량%인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1차재결정 소둔하는단계 이후, 1차재결정 소둔된강판의 평균 결정립 입경이 32내지 50,인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청구항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판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 열연판을 소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연판을 소둔하는 단계의 온도奸2) 및 슬라브를 가열하는 단계의 온도( )이 하기 식 5를만족하는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식 5]

-200 <11-12 <30

【청구항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를 가열하는 단계에서, 1100 이상의 시간이 25 내지 50분인 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9】

제 18항에 있어서, 2019/132363 1»(:1^1{2018/016041

상기 열연판을 소둔하는 단계에서 11001: 이상의 시간이 5 내지 50초인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청구항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판을소둔하는단계 이후, 열연판의 평균결정립 입경이 100 내지 200_인 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판을 소둔하는 단계 이후, 열연판 1™2 면적에서, 입경이 0.1_이상인석출물의 수가 100내지 4000개 이고,

입경인 0.5, 초과인 석출물의 수어)에 대한, 입경이 0.1 내지 0.5 인 석출물의 수(시 비율( 이 1 이상인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 방법 .

【청구항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판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 열연관을 소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를 가열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열연판을 제조하는 단계까지의 시간이 3 내지 20분이고, 슬라브 가열하는 단계부터 열연판을 제조하는 단계까지의 최대 온도가 열연판 소둔하는 단계의 소둔 온도의

【청구항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2 이상의 패스를 포함하고, 최종 패스및최종패스이전의 패스에서의 압하율이 각각 15내지 40%이고,상기 최종 패스 및 최종 패스 이전의 패스에서의 압하율의 합이 55% 이하인 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청구항 2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재결정 소둔하는단계 이후, ¾位0를포함하는소둔분리제를 2019/132363 1»(:1/10公018/016041

도포하는단계를더 포함하는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이방향성 전기강판및그의 제조방법

【기술분야】

이방향성 전기강판(DOUBLE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및그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합금 조성 내에서 Mn및 S의 비율을 적절히 제어하여, 압연 방향 및 압연 수직 방향의 자성이 매우 우수한 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기술】

전기강판의 자속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의 집합조직을 향상시켜서 자화방향으로 <100> 축을 평행으로 정렬시키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 추가로강의 합금량을줄여 Fe원자가강중에 차지하는 분율을 향상시킴으로서 포화자속을 순철에 가깝게 함으로써, 자속밀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중에 방향성 전기강판의 경우

Goss 방위라고 부르는 {110}<001> 방위를 이용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슬라브-열연-열연판 소둔-냉연 -1차재결정 중 탈탄-질화- 2차 고온소둔 과정을통해서 얻을수있다.하지만,이는압연방향(Rd방향) 로만자성이 우수하고 압연 수직방향(TD 방향)에서는 자성이 극히 열위하여 자화의 방향이 압연방향으로 정해져 있는 변압기 외에는 사용하기 곤란하다. 이 때문에, 이와는 다른 집합조직으로 자화방향과 <100 ñ축을 평행으로 하는 집합조직을제어한전기강판의 제조가요구된다.

회전기기에서의 자화 방향은 통상적으로 판면 내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100 ñ축은 관면에 평행하여야 되는데, 그런 조건하에서의 방위 중 철강재료에서 자주 관찰되는 방위는 {100}<011> 방위이다. 이것은 압연 방향으로부터 45도 압연수직방향(TD방향)으로 틀어진 방향으로 <100>축이 평행하기 때문에, 자화 방향이 판의 압연방향에서 45도일 때 가장 자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 방위는 넁간압연 안정 방위로 재결정 소둔시에는 모두 사라지게 되는 특징이 있어 전기강판 소재에서 활용되지 않고있다. 2019/132363 1»(:1^1{2018/016041

이와유사하게 {100}<001>방위가있는데, 이는(:油근 011 ^방위로 하여 과거로부터 유용성을인정받아왔으나,교차압연을하거나 진공소둔을 하는 등 실제의 대규모 공업생산이 불가능한 기구를 통해 제조하는 방법만이 알려져 있다.

특히 교차압연법은 소재의 연속생산이 불가능한 것에 의하여 활용될 수 없는데, 대형 발전기기의 경우 수미의 직경의 원통형태의 코어를 제조하여야 되기 때문에, 판면에서 코어를 수개〜수십개로 분할하여 이를 조립하는 형태로 만들게 되는 공정에 적용할 수 없고, 생산성 또한 극히 낮게 된다.

발전기의 경우, 일반터빈 발전기는각국의 상용 전기 주파수인 50 혹은 60 ¾에 맞추어서 전기를생산하기 때문에 50 ¾및 60 ¾에서의 자기적 성질이 중요하나, 풍력발전기 등 회전속도가 느린 발전기에서는 이러한 IX:및 30¾이하에서의 자기적 특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의 기기에서는교류자기에서 발생하는철손보다도,자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자속밀도 특성이 보다 더 중요한 특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68 자속밀도로 이를 평가한다. 68 자속밀도는 자장의 강도가 800쇼 에서의 강판의 자속밀도 값을 의미하는데, 이는 주로 5예의 교류자기에서 측정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직류에서 측정하거나,

50¾이하의주파수에서 측정하기도한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고자하는과제】

이방향성 전기강판및 그의 제조방법을제공하고자한다. 구체적으로 합금 조성 내에서 및 3의 비율을 적절히 제어하여, 압연 방향 및 압연 수직 방향의 자성이 매우 우수한 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한다.

【과제의 해결수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방향성 전기강판은중량%로, : 2.0 내지 6.0%,시 : 0.0005내지 0.04%, 0.0001내지 0.003%, !&: 0.02내지 1.0%, 0.003% 이하(0%를 제외함), 0: 0.01%이하(0%를 제외함), II: 0.01% 이하(0%를포함하지 않는다), I 3 : 0.005내지 0.10%을포함하고,잔부는 6 및 2019/132363 1»(:1^1{2018/016041

기타불가피한불순물을포함하고, 하기 식 1을만족한다.

[식 1]

[加]/[到 > 60

(식 1에서, [ ] 및 [到은각각 및 £의 함량 (중량%)을나타낸다. ) ¾ : 0.001내지 0.1중량% 및 ¾ 1 : 0.001내지 0.1중량% 중 1종 이상을더 포함할수있다.

1 0 : 0.01중량%이하,미: 0.01중량%이하, Pb 0.01중량%이하, ¾ : 0.01중량%이하,쇼 0.01중량%이하, 60: 0.01중량%이하및 : 0.01중량% 이하중 1종이상을더 포함할수있다.

{100} <001 ñ로부터 15° 이내의 방위를 갖는 결정립의 면적 분율이

60내지 99 %일수있다.

강판 상에 포스테라이트 층이 형성되고, 포스테라이트 층은 강판 표면으로 이내의 두께인면적의 분율이 75%이상일수있다.

포스테라이트 층 상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면 절연층의 두께 및 하면 절연층의 두께가각각 0.2내지 8 / / 이이고, 상면 절연층의 두께 및 하면 절연층의 두께차이가상기 하면절연층의 두께의 50%이하일수있다. 상면 절연층의 평균조도 0切)와상기 하면 절연층의 평균조도 0¾)가 각각 1쌔! 이하이고, 상면 절연층의 평균 조도 (1¾)와 상기 하면 절연층의 평균 ·조도 (!¾)의 차이가 0.3 / 이하일수있다.

압연 방향과압연 수직방향의 아이 모두 1.651이상이고, 원주방향의 이 1.55 1끼상이고, 은하기 식 2로계산된다.

[식 2]

= 7.87/(7.87-0.0.065><[ ]-0.1105 [시]) 68

(식 2에서, [ ] 및 [시]은각각 ^ 및시의 함량 (중량%)을나타낸다. 요8은 800 01 로유기하였을때유도되는자기장의 강도奸근 를나타낸다. )

1. 의 자기장이 걸릴 때, 측정 주파수가 0.01¾ 이하에서의 투자율 ¾가 5·에서의 투자율 ¾의 1.2배 이상일수있다.

전기강판을 750 내지 880 X:의 온도에서 1 내지 2시간 소둔 후 측정된아값이 1.651이상일수있다. 은하기 식 2로계산된다.

[식 2] 2019/132363 1»(:1^1{2018/016041 = 7.87/(7.87-0.0.065 ><[ ]-0. 1105 [시]) X 38

(식 2에서, [ ] 및 [시]은각각 및시의 함량(중량%)을나타낸다. 88은 80^ / 4로유기하였을때유도되는자기장의강도 그 63 1 를나타낸다.) 압연방향의표뇨가 1.81이상이고 ,압연수직방향의 가 1. 이상이고, 원주방향의 ¾가 1.6 1끼상이고,예은하기 식 3으로계산된다.

[식 3]

¾ 1 = 7.87/(7.87-0.0.065><[ ]-0.1105><[시]) 父 625

(식 3에서 , [ ] 및 [시]은각각 및시의 함량(중량%)을나타낸다. 825은 2500쇼細로 유기하였을 때 유도되는 자기장의 강도的^ 幻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 방법은 중량%로, : 2.0내지 6.0%,시 : 0.0005내지 0.04%, 0.0001내지 0.003%, 此: 0.02내지 1.0%, 0.001내지 0.01%, 0: 0.02내지 0.06%, 11: 0.01% 이하(0%를포함하지 않는다), ? 0.005내지 0.10%을포함하고,잔부는 6 및 기타불가피한불순물을포함하고,하기 식 1을만족하는슬라브를제조하는 단계; 슬라브를가열하는단계; 슬라브를 열간압연하여 열연판을제조하는 단계; 열연판을 냉간 압연하여 넁연판을 제조하는 단계; 넁연판을 1차 재결정 소둔하는단계 및 1차재결정 소둔된 넁연판을 2차재결정 소둔하는 단계를포함한다.

[식 1]

[¾]/[引 > 60

(식 1에서, [ 및 [到은각각 ¾및 의 함량(중량%)을나타낸다.) 슬라브는하기 식 4를만족할수있다.

[식 4]

[(:]/[미 > 0.0067

(식 4에서, [이 및 [ ]는 각각 슬라브 내의 0 및 의 함량(중량%)을 나타낸다.)

슬라브를가열하는단계에서 1100°0 이상의 시간이 25내지 50분일수 있다.

열연판을제조하는단계에서, 2이상의 패스를포함하고,최종패스및 2019/132363 1»(:1^1{2018/016041

최종패스이전의 패스에서의 압하율이 각각 15내지 40%이고, 최종패스및 최종패스이전의 패스에서의 압하율의 합이 55%이하일수있다.

열연판을제조하는단계 이후, 열연판을소둔하는단계를더 포함하고, 열연판을소둔하는단계에서 1100°0 이상의 시간이 5내지 50초일수있다. 열연판을소둔하는단계 이후, 열연판의 평균결정립 입경이 100내지

200 일수있다.

열연판을 소둔하는 단계 이후, 열연판 I· 2 면적에서, 입경이 0.1_ 이상인석출물의 수가 100내지 4000개 이고, 입경인 0.5 초과인석출물의 수( 에 대한, 입경이 0.1 내지 0.5,인 석출물의 수(시 비율( 이 1 이상일수있다.

열연판을 소둔하는 단계의 온도(그2) 및 슬라브를 가열하는 단계의 온도 01)가하기 식 5를만족할수있다.

[식 5]

-200 <11-12 <30

슬라브를가열하는단계 이후, 열연판을제조하는단계까지의 시간이

3내지 20분이고, 슬라브가열하는단계부터 열연판을제조하는단계까지의 최대온도가열연판소둔하는단계의 소둔온도의 20 V 이하일수있다.

냉연판을제조하는단계에서, 압하율이 50내지 70%일수있다.

1차재결정 소둔하는단계에서 질화량이 0.01내지 0.023중량%일 수 있다.

1차 재결정 소둔하는 단계 이후, 1차 재결정 소둔된 강판의 평균 결정립 입경이 32내지 50_일수있다.

1차 재결정 소둔하는 단계 이후, 的를 포함하는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는단계를더 포함할수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방향성 전기강판은 합금조성 내에서 및 3의 비율을적절히 제어하여 , 압연 방향및 압연수직 방향의 자성이 매우우수하다 ·

특히 , 풍력발전기 등 회전속도가느린 발전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2019/132363 1»(:1^1{2018/016041

【발명을실시하기 위한구체적인내용】

제 1, 제 2및제 3등의 용어들은다양한부분, 성분, 영역, 층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또는 섹션과구별하기 위해서만사용된다. 따라서 , 이하에서 서술하는제 1부분, 성분, 영역, 층또는섹션은본 발명의 범위를벗어나지 않는범위 내에서 제 2부분, 성분, 영역, 층또는섹션으로언급될수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1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정수,단계,동작,요소및/또는성분을구 체화하며,다른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느부분이 다른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언급하는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수 있다. 대조적으로어느부분이 다른부분의 ’’바로위에" 있다고언급하는경우, 그사이에 다른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포함하는모든용어들은본발명이 속하는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가진자가일반적으로 이해하는의미와동일한의미를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매우공식적인의미로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는 중량%를 의미하며, 은

0.0001중량%이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추가원소를더 포함하는것의 의미는추가 원소의 추가량만큼잔부인철 을대체하여 포함하는것을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2019/132363 1»(:1^1{2018/016041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방향성 전기강판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이방향성 전기강판은중량%로, : 2.0내지 6.0%,시: 0.0005 내지 0.04%, 0.0001내지 0.003%, : 0.02내지 1.0%, 0.003%이하(0%를 제외함), 0: 0.01%이하(0%를제외함), : 0.01%이하(0%를포함하지 않는다), ?: 0.005내지 0.10%을포함한다.

먼저 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성분한정의 이유부터 설명한다.

: 2.0내지 6.0중량%

실리콘( )는, 열간압연에서는 오스테나이트를 형성하는 원소로, 슬라브 가열 온도 부근과 열연판 소둔 온도 부근에서 10% 내외의 오스테나이트분율을갖게 하기 위하여 첨가량을제한할필요가있다. 또한 2차 재결정 소둔에서는 페라이트 단상이어야소둔시 2차재결정 미세조직의 형성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페라이트 단상이 되는 성분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순철에서는 2.0 중량% 이상 첨가시 페라이트 단상이 형성되고 이에 (:의 첨가를 통하여 오스테나이트 분율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 ^함량의 하한을 2.0중량%로한정할수있다.또한 6중량%초과시 넁간압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제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는 2.2 내지 3.1중량%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자속밀도가높은강판을 얻기 위해서는 는 2.4내지 2.9중량%포함될수있다.

시: 0.0005내지 0.04중량% ,

알루미늄(시)은쇼내을 형성하여 2차 재결정의 인히비터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방향성 전기강판의 질화 공정 이외의 인히비터 사용시에도(: 6 집합조직을 얻을수 있기 때문에 시의 첨가량은 통상의 방향성 전기강판보다 넓은 범위에서 제어될 수 있다. 단, 0.0005 중량% 미만 첨가시에는 강중의 산화물이 크게 증가하여 자성을 열위하게 만들고 또한 2차재결정 온도를 변화시켜 ^ 방위의 형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그하한을 0.0005중량%로 한다. 0.04중량%를초과하면 2차재결정 온도가크게 증가하여 공업적 생산이 어렵다. 더욱구체적으로사은 0.001 내지 0.003중량%포함될수있다. 2019/132363 1»(:1^1{2018/016041

0.0001내지 0.003중량%

황(¾는강중( 나 과결합하여 미세하게 형성하고, 미세하게 형성된석출물은 2차재결정을돕기 때문에 그첨가량을 0.0001내지 0.003 중량%로할수 있다. 과량으로첨가시에는 의 편석에 의하여 표면 결함및 2차재결정 시의 집합조직의 제어가 되지 않기 때문에 0.003중량%로 제한한다.

: 0.02내지 1.0중량%

망간( )은 불가피하게 용강에 존재하는 것이지만, 소량 들어가면 석출물로사용될 수 있고, 형성 이후에 ¾1 로 변화하는 원소로강중 첨가할 수 있다. 단, 1.0% 초과하여 첨가시에는 고온 소둔 중 에 의한 표면결함이 문제가되기 때문에 그한계를 1.0%로한다. 0.02중량%미만으로 포함되면, 자성이 열위해 지므로, 그 하한을 0.02 중량%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은 0.05내지 0.5중량%포함될수있다.

중량비 : 60이상

는 열간 압연시의 열연 취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수치로, 방향성 전기강판에서는 10 내지 20이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 의한 0 033 성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충분히 높은 凡 중량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량비를 제어함으로써 ¾과 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되는 석출물의 형성온도와 크기, 분포를 제어할 수 있으며 조절하여 2차재결정 시에 0 6 집합조직의 강화 및 압연방향과압연수직방향의 자속밀도향상을유도할수있다. 따라서, 11/3 중량비를 60이상으로제어할수 있다. 더욱구체적으로 중량비를 130 내지 1000으로제어할수있다.

0.003중량%이하

질소( 는 쇼 을 형성하는 원소로 요내을 인히비터로 사용하므로, 적절한함량을확보할필요가있다. 을너무적게포함할시, 냉간압연시에 조직 불균일 변형도를 충분히 증가시켜서 1차재결정 시에 (:油 6 의 성장을 촉진하고 성장을 억제할 수 없게 된다. 을 과량으로 포함시, 열연이후의 공정에서 질소확산에 의한 블리스터(1)11^ 61· )와 같은 표면결함을 유발하게 될 뿐만 아니라, 슬라브 상태에서 과잉의 질화물이 2019/132363 1»(:1^1{2018/016041

형성되기 때문에 압연이 용이하지 못해, 제조단가가상승하는원인이 된다. 더욱구체적으로 은 0.001내지 0.003중량%포함할수있다.

슬라브내에서 은 0.001내지 0.1중량%포함될수 있다.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1차재결정 소둔시, 질화하는과정이 포함되고, 2차재결정 소둔시 일부 이 제거되므로, 슬라브와최종 제조된 전기강판의 함량은 다를수있다.

0 : 0.01중량% 이하

탄소( 는, 2차 재결정 소둔 후에도 다량 포함되면, 자기 시효를 일으키켜 철손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상한은 0.01중량%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0.005중량% 이하로 조절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를 0.0001 내지 0.005중량%포함할수있다.

슬라브내에서(:는 0.02내지 0.06중량%포함될수있다.이를통하여 , 열연판내의 응력 집중과 0 033 형성을억제할수 있고석출물을미세화할수 있다. 또한(:는냉간압연시에 조직 불균일 변형도를증가시켜서 1차재결정 시에 止근의 성장을촉진하고 성장을 억제할수 있다. 단과량으로 첨가되면열연판내의 응력 집중은해소할수았으나 0 053 형성을억제할수 없고 석출물의 미세화도 어렵다. 넁간압연시에도 넁간압연성을 크게 열위하게 만들기 때문에, 그 첨가량은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1차 재결정 소둔 시, 탈탄하는 과정이 포함되므로, 슬라브와 최종제조된전기강판의 0함량은다를수있다.

:0.01중량%이하

티타늄( )는 등의 복합 석줄물을 형성하거나 산화물을 형성하는 원소로서 0.01 중량%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에서 안정한 석줄물과 산화물은 2차재결정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그 첨가량을 0.01 중량%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단,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통상의 제강공정에서는 극히 어렵다. 더욱 구체적으로 를 0.005 중량% 이하로포함할수있다.

I 3 : 0.0 .05 내지 0.10중량%

인(미는 강의 비저항을 향상시키고 2차 재결정 시에 (:此 6 의 분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냉간압연시에 불균일 변형량도 증가시키기 때문에 2019/132363 1»(:1^1{2018/016041

적어도 0.005 중량% 이상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0.10 중량% 초과하여 첨가시에 냉간압연성이 극히 취약해 지기 때문에 그 첨가량을 제한한다. 더욱구체적으로 ?를 0.01내지 0.08중량%포함될수있다.

¾ : 0.001내지 0.1중량% 및 ¾ 1 : 0.001내지 0.1중량% 중 1종 이상을더 포함할수있다.

주석(¾)과 안티몬(況)는 1차 재결정 집합조직 제어를 위하여 첨가하는것이 가능한원소이다. 또한 0.001중량%이상첨가하면산화층의 형성 두께를 변화하여 압연 수직방향과 압연 방향의 자성 차이를 줄이는 원소이나 0.1 중량% 초과하여 첨가시에는 넁간압연시에 롤에서의 슬립이 크게증가하므로이를제한한다.

¾1 0 : 0.01 중량%이하,미: 0.01 0.01중량%이하, ! : 0.01중량%이하,쇼 0.01중량%이하, 0.01중량%이하및 : 0.01중량% 이하중 1종이상을더 포함할수있다.

몰리브덴(¾1 0 )는 입계에 편석원소로 추가 첨가시에 전기강판에서의

^에 의한 입계 취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에 (:와 결합하여 탄화물 등의 석줄물을 형성하여 자성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0.01 중량% 이하로체한할필요가있다.

비스무스(미), 납(1¾), 마그네슘(]\¾), 비소(쇼), 베릴륨犯 및 스트론튬( )은강중에산화물, 질화물, 탄화물이 미세하게 형성되는원소로 2차재결정에 도움을주는원소이며, 추가첨가할수 있다. 다만 0.01중량% 초과하여 첨가 시에는 2차 재결정 형성이 불안정해지는 문제를 야기 하기 때문에 그첨가량을제한할필요가있다.

또한,본발명의 이방향성 전기강판은,전술한성분이외의 잔부는,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단,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이면, 다른원소의 함유를배제하는것은아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방향성 전기강판은 합금 조성을 정밀히 제어하여, 큐브 집합 조직을 다수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100} <001>로부터 15° 이내의 방위를갖는결정립의 면적 분율이 60내지 99 %일 수 있다. 이때 99%를 초과하는 것은 2차 재결정중 불가피하게 0 2019/132363 1»(:1^1{2018/016041

형성되는 형성을억제하고, 또한석출물을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를 위하여서는 고온에서의 소둔시간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이를 60내지 9%로한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강판 상에 포스테라이트 층이 형성되고, 포스테라이트층은강판표면으로부터 2_이내의 두께인 면적의 분율이 75% 이상일 수 있다. 방향성 전기강판은 압연방향으로 장력을부여하기 위하여 포스테라이트 « & 0 4 )를포함하는산화층을표면에서부터 2내지 3_두께로 형성하고 이것과 모재의 열팽창계수 차이를 이용하여 장력을 부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압연 방향으로의 장력은 곧 압연수직방향으로의 압축을의미하므로 이를극히 줄이는것이 바람직하다. 2.0 |M 이내의 얇은 산화층은 장력 부여 효과가 극히 떨어지므로 이러한 얇은 산화층을 표면적의 75 면적% 이상 분포함으로써 판 전체에 걸리는 장력을제거할수있다.

포스테라이트 층 상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면 절연층의 두께 및 하면 절연층의 두께가각각 0.2내지 상면 절연층의 두께 및 하면 절연층의 두께 차이가 상기 하면 절연층의 두께의 50% 이하일 수 있다. 포스테라이트층은강판의 양면(상면 및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그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포스테라이트층상에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면에 형성된 절연층을 상면 절연층, 하면에 형성된 절연층을 하면 절연층이라 한다. 상면 및 하면의 절연층에 의해 적절한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발전기등에 활용하기 위한타발성을 확보할수 있다. 특히, 상면 절연층과 하면절연층의 두께차를제어하여, 타발시에 억제할수있다.

상면 절연층의 평균조도(1切)와상기 하면 절연층의 평균조도(1¾)가 각각 1 / 패 이하이고, 상면 절연층의 평균 조도(1¾)와 상기 하면 절연층의 평균 조도(1切)의 차이가 0.3 이하일 수 있다. 조도가 높은 재료는 타발시에 加!·를억제할수 없으며 특히 상면과하면의 조도차이가너무큰 경우, 1x 11· 를억제할수가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방향성 전기강판은 압연 방향과 압연 수직 방향의 자성이 모두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압연 방향과 압연 수직방향의 이 모두 1.651 이상이고, 원주방향의 이 1.55 I이상이고, 은하기 식 2로계산된다.

[식 2]

Br= 7.87/(7.87-0.0.065 x [Si]-0.1105 x [Al] ) x B8

(식 2에서, [Si] 및 [A1]은각각 Si 및시의 함량 (중량%)을나타낸다. B8은 800A/m로유기하였을때유도되는자기장의 강도 (Tesla)를나타낸다. ) 대형 발전기의 경우 환형 프레임의 지름이 수 미터이고, T자형의 치 (Teeth)로 전기강판을 절단하여 환형 프레임을 형성한다. 이때 T자형의 Teeth부위를압연수직방향으로하고,환형의 프레임에 압연방향을두거나, 반대로 T자형의 Teeth부위를압연방향으로두고,환형의 프레임에 압연수직 방향을 둘 수 있다. 이러한설계의 변경은 Teeth의 길이와 환형 프레임의 지름의 길이, 또한 환형 프레임의 폭에 의하여 결정이 된다. 통상 Teeth 부위는 발전기 가동시에 큰 자속이 흐르는 부위이며, 이러한 자속이 환형 부위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의 발생하는 에너지를 고려하여, 압연방향과 압연수직방향을 Teeth부로할지 환형부위로할지를결정하게 되는데, 이 모두 1.65T이상으로매우높은자속밀도를갖는재료의 경우, 이러한압연 방향과압연 수직방향이 어느부위에 사용되는지의 구분이 필요없이, 어느 쪽으로하더라도매우높은에너지 효율을갖게 된다. 또한원주방향의 Br 자속밀도가 1.55T 이상으로 높게 되면 자의 Teeth부위와 환형 프레임의 연결 부위에서의 자속에 의한에너지 손실이 크게 감소한다. 이를통하여, 발전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환형 프레임의 폭과 Teeth 부위의 크기를 감소시켜 작은사이즈의 코어로도높은효율의 발전기를만들수있다.

압연방향의 가 1.8T이상으로 높고 압연수직방향도 1.기이상으로 매우 우수한 특성의 전기강판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설계자속 높은 전기기기, 예를 들어 발전기 혹은 모터에 분할된 코어의 형태 혹은 보다 작은 코어에서 분할하지 않고 사용되는 코어로 가공하는 경우에, 이를 통하여 여자전류의 양을감소시킴으로서, 전기기기의 효율을크게 향상시킬 수있다.

1.51^ 자기장이 걸릴 때, 측정 주파수가 0.01Hz 이하에서의 투자율 U DC 가 50Hz에서의 투자율 U 5 ᄋ의 1.2배 이상일수있다.

발전기 중 기어가 없는 풍력발전기의 경우, 회전자계가 매우 느리기 0 2019/132363 1»(:1^1{2018/016041

때문에 통상의 50¾ 투자율보다 0.01¾ 이하의 투자율에 의하여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크게 영향을 받게 되어 0.01¾이하의 투자율이 5예 å 의 투자율보다 1.2배 이상 높은 경우 전류에 의한 발열이 크게 줄어들어 발전기의 효율이 향상될수있다.

전기강판을 750 내지 880 의 온도에서 1 내지 2시간 소둔 후 측정된 값이 1.651이상일수있다.

[식 2]

아= 7.87/(7.87-0.0.065 ñ<[ ]-0. 1105 ñ<[시]) 父 38

(식 2에서, [ ] 및 [시]은각각 ^ 및시의 함량(중량%)을나타낸다. 요8은 800/1/ 111 로유기하였을때유도되는자기장의 강도作^^ 를나타낸다.) 압연방향의 81 1 가 1.81이상이고,압연수직방향의 ¾가 1.기이상이고, 원주방향의 Bh7} 1.6 이상이고, ¾은하기 식 3으로계산된다.

[식 3]

0.0.065><[ ]-0.1105><[사]) X 625

(식 3에서, [ ] 및 [시]은각각 및시의 함량(중량%)을나타낸다.

825은 2500쇼細로 유기하였을 때 유도되는 자기장의 강도 ^ 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 방법은 중량%로, : 2.0내지 6.0%,시 : 0.0005내지 0.04%, 0.0001내지 0.003%, 此: 0.02내지 1.0%, 0.001내지 0.01%, 0: 0.02내지 0.06%, II: 0.01% 이하(◦%를포함하지 않는다), I 3 : 0.005내지 0.10%을포함하고,잔부는 6 및 기타불가피한불순물을포함하고,하기 식 1을만족하는슬라브를제조하는 단계; 슬라브를가열하는단계; 슬라브를 열간압연하여 열연판을제조하는 단계; 열연판을 넁간 압연하여 냉연판을 제조하는 단계; 냉연판을 1차 재결정 소둔하는단계 및 1차재결정 소둔된 냉연판을 2차재결정 소둔하는 단계를포함한다.

[식 1]

[ /[到 > 60

(식 1에서, [ ] 및 [到은각각 및 의 함량(중량%)을나타낸다.) 이하각단계별로구체적으로설명한다. 2019/132363 1»(:1^1{2018/016041

먼저 슬라브를제조한다. 슬라브내의 각조성의 첨가비율을한정한 이유는전술한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조성 한정 이유와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을생략한다.후술할열간압연,열연판소둔, 냉간압연, 1차재결정소둔 2차재결정 소둔등의 제조과정에서 0, 외의 슬라브의 조성은실질적으로 변동되지 아니하므로, 슬라브의 조성과 이방향성 전기강판의 조성이 실질적으로동일하다.

슬라브는하기 식 4를만족할수있다.

[식 4]

比]/[ ] > 0.0067

(식 4에서, -比] 및 [ ]는각각슬라브내의(:및 의 함량(중량%)을 나타낸다.)

(:가 너무 적게 포함되거나, 가 너무 과량 포함될 경우, 0止 6 의 성장을 촉진하고 33 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 어려워 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식 4의 좌변은 0.0083이상일수있다.

슬라브는박물슬라브법 또는스트립 캐스팅법을이용하여 제조할수 있다. 슬라브의 두께는 200내지 300 _가될수있다.

다음으로슬라브를가열한다.

슬라브를가열하는단계에서 11001: 이상의 시간이 25내지 50분일수 있다.

1100 이상의 시간을적절히 확보하지 못하면, 열연판의 결정립경을 적절히 확보할수없거나, 0.5_이상의 조대석출물이 다량생성되어, 압연 수직 방향에서의 자성을적절히 확보할수없다.

다음으로, 슬라브를열간압연하여 열연판을제조한다.

열연판을제조하는단계에서, 2이상의 패스를포함하고,최종패스및 최종패스이전의 패스에서의 압하율이 각각 15내지 40%이고, 최종패스및 최종패스이전의 패스에서의 압하율의 합이 55%이하일수있다.

열간압연의 마지막 패스는 열간압연 온도가 가장 낮은 온도로서 압연성이 극히 열위하다. 이러한온도영역에서 많은 압하율로 압연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마지막 두 패스에서 압하율이 커짐에 의하여 열연판의 표면에서 방위의 결정립의 분율이 크게증기하는경향이 있기 0 2019/132363 1»(:1^1{2018/016041

때문에 이를억제하기 위하여, 각패스에서의 압하율을 10내지 40%이하로 하고두패스에서의 압하율의 합을 55%이하로하는것이 필요하다.

열간 압연 종료 온도는 950 이하가 될 수 있다. 열간 압연 종료온도가 낮은 것에 의하여 열연판 내부의 연신된 ^ 6 방위를 갖는 결정립이 보다많은에너지를축적하고, 이에 따라열연판소둔시에 (:此 6 의 분율이증가될수있다.

열연판의 두께는 1내지 2™가될수있다.

열연판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 열연판을 소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있다.

열연판을소둔하는단계에서 11001: 이상의 시간이 5내지 50초일 수 있다. 열연판소둔후에 미세 석출물을만들기 위함으로슬라브에서 형성된 석출물을 보다 조대화 하지 않고, 보다 바림직하게는 보다 미세화하기 위하여 시간을제한할필요가있다.

또한, 슬라브의 두께를 하고 상기 열연판의 두께를 1¾아-(: 1로 할 때 슬라브를 가열 하는 단계에서 슬라브의 소둔 시간 중

1100 X: 이상에서의 소둔 시간이 열연판 소둔하는 단계에서 11001: 이상에서의 열연판 소둔 시간보다 배 이상,

4><1 3 】油/¾야-«); 1 배 이하로 짧게 실시할 수 있다. 이는 슬라브에서 형성되는 석출물의 크기를 보다 미세화 하기 위함으로 슬라브는 열연판 보다 판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미세한 석출물을 두께방향으로 보다 균일하게 얻기 어렵다. 따라서 시간 제한을 통하여서 슬라브에서 형성되는 석출물이조대화되는것을억제할수있다.

열연판을소둔하는단계 이후, 열연판의 평균결정립 입경이 100내지 200 ]일수있다. 결정립경이조대화되면, 압연시에 형성되는 ¾ ½3 311 (1에 의하여 0 038 방위의 결정립핵이 형성될 가능성이 많아지므로 그 크기를 20◦쌔!이하로제한할필요가있다. 결정립경은표준의 결정립경 측정법으로 동일한체적의 구를가정하여,그구의 직경을측정하는방식으로측정할수 있다.

열연판을 소둔하는 단계 이후, 열연판 1™ 2 면적에서, 입경이 0.1 /패 이상인석출물의 수가 100내지 4000개 이고, 입경인 0.5 / 패초과인석출물의 2019/132363 1»(:1^1{2018/016041

수( 에 대한, 입경이 0.1 내지 0.5_인 석출물의 수(/0 비율 / 이 1 이상일수있다.

석출물의 개수를 적절히 확보하여야, 0^ 6 집합조직을 얻을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조대 석출물및 미세 석출물의 비율이 적절히 형성되어야, 2차재결정이 원활히 이루어져, 압연 방향및 압연수직 방향에서의 자성이 모두우수해 질수있다.

열연판을소둔하는단계의 소둔온도는 1000내지 12001:일수있다. 열연판을 소둔하는 단계의 온도奸2) 및 슬라브를 가열하는 단계의 온도 01)가하기 식 5를만족할수있다.

[식 5]

-200 <11-12 <30

상기 식 5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열연판에서 조대 석출물이 다량 발생하여, 압연수직 방향에서의 자성이 열화될수있다.

슬라브를가열하는단계 이후, 열연판을제조하는단계까지의 시간이 3내지 20분이고, 슬라브가열하는단계부터 열연판을제조하는단계까지의 최대온도가열연판소둔하는단계의 소둔온도의 이하일수있다. 슬라브를가열하는단계 이후, 열연판을제조하는단계까지의 시간을 적절히 유지하고, 아울러, 슬라브 가열하는 단계부터 열연판을 제조하는 단계까지의 최대 온도가 열연판 소둔하는 단계의 소둔 온도의 관계를 제어함으로써, 출물의 크기는 극히 미세화 되어 2차재결정이 유리해 질 수 있다.

냉연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압하율이 50 내지 70%일 수 있다. 압하율이 너무높을시, 0035결정이 다수형성되는문제가있다. 압하율이 너무낮을시 , 최종제조되는강판의 두께가두꺼워지는문제가있다.

1차재결정 소둔하는단계에서 질화량이 0.01내지 0.023중량%일 수 있다. 질화량이 적절히 확보되지 않는경우, 2차재결정이 원활히 형성되지 않아, 자성이 열화되는문제가발생할수있다.

1차 재결정 소둔하는 단계 이후, 1차 재결정 소둔된 강판의 평균 결정립 입경이 32 내지 50 / 페일 수 있다. 1차 재결정 소둔된 강판의 평균 결정립 입경을적절히 확보하지 못하는경우, 2차재결정이 원활히 형성되지 2019/132363 1»(:1^1{2018/016041

않아, 자성이 열화되는문제가발생할수있다.

1차 재결정 소둔하는 단계 이후, ¾¾0를 포함하는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는단계를더 포함할수있다.

소둔 분리제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포스테리아트 층에 대해서는 전술한것과동일하므로, 중복되는설명은생략한다.

이하본발명의 바람직한실시예 및 비교예를기재한다. 그러나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것은아니다.

실험예 1

표 1 및 표 2에서 나타내는 성분 및 잔부 6 및 불가피한불순물로 이루어진 슬라브를 제조하고, 11501:에서 가열 후 열간압연하여 1.6™의 두께의 열연코일을 제조하여 1100 내지 1140°(:에서 30초간 소둔하고 900°(:에서 90초간 소둔 후에 급냉한 열연소둔판을 압하율 63%까지 냉간 압연하였다.

냉간압연한 판은 0.02 %로 질화하여 이슬점 수소 75% 분위기에서 탈탄하는 1차 재결정 소둔공정을 거쳐서 결정립경을 36 !가 되도록하였다.이후, 的성분을포함하는소둔분리제를도포한후에 시간당 20°(:의 승온속도로 1200 까지 승온 한후 20시간동안 2차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였다. 냉각된 판은 於 소둔분리제를 제거한 후에 절연코팅을 실시하고 자성을 측정하여 표 3에 정리하였다. 자성 측정 후에 800 에서 2시간소둔후에 자성을재측정한결과를표 3에 나타내었다.

【표 11

2019/132363 1»(:1/10公018/016041

【표 2]

2019/132363 1»(:1/10公018/016041

【표 3]

2019/132363 1»(:1^1{2018/016041

표 1내지 표 3에 나타난것과같이 ,본발명의 합금조성을만족하는 발명예는 자성이 우수함을 확인할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합금 조성을 만족하지 못하는비교예는자성이 열악함을확인할수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의 사시편을소둔분리제를 제거하지 아니하고, 하기 표 4와 같이,두께분율을제어하고,상면절연코팅 및하면절연코팅을형성하여, 자성을측정하여 하기 표 5에 정리하였다.

【표 4]

2019/132363 1»(:1^1{2018/016041

【표 5】

표 4및 표 5에 나타나듯이, 포스테라이트층의 두께 분율, 상면 및 하면 절연층의 두께 및 조면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는 자성이 우수함을 확인할수있다.반면,포스테라이트층의 두께분율,상면및하면절연층의 두께 및 조면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는 압연 수직 방향의 자성이 특히 열화됨을확인할수있다.

실험예 3

0:0.025%, : 0.002%, 0.05%를 포함하고, 잔부 근 및 불가피한불순물로 2019/132363 1»(:1^1{2018/016041

이루어진슬라브를제조하였다. 슬라브를 1150 X:에서 가열후 열간압연하여 1.6_의 두께의 열연코일을 제조하여 11001: 내지 1140°(:에서 30초간 소둔하고 9001:에서 90초간 소둔 후에 급냉한 열연소둔판을 하기 표 6에 기재된압하율로냉간압연하였다.

냉간압연한판은하기 표 6에 기재된것과같이, 질화하거나질화하지 않는 채로 이슬점 60도 수소 75% 분위기에서 탈탄하는 소둔공정을 거쳐서 하기 표 1에 기재된 평균 결정립경이 되도록 하였다. 질화하지 않은 1차 재결정 시편은 질소 100% 분위기에서 승온속도 101:八로 온도를 상향하여 1150°(:에서 30분간소둔을 실시하였고 질화한 시편은 的성분을주로하는 소둔분리제를 도포한 후에 시간당 201:의 승온속도로 12001:까지 승온 한 후 20시간 동안 2차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였다. 두 소둔 공정에서 나온 소재는모두절연코팅을부착하여 자성과 止근의 분율을측정하였다.

【표 6】

2019/132363 1»(:1^1{2018/016041

표 6에서 나타나듯이, 냉간압하율 및 질화량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는큐브조직을 적절히 확보하고, 자성이 우수함을 확인할수 있다. 반면, 냉간압하율을적절히 제어하지 못하거나, 질화하지 않은경우, 압연 수직 방향의 자성이 열화되거나,원주방향에서의 자성이 열화됨을확인할수 있다.

실험예 4

0:0.025%, : 0.002%, I 3 : 0.05%를 포함하고, 잔부 근 및 불가피한불순물로 이루어진 슬라브를 제조하였다. 슬라브를 하기 표 7의 온도로 가열 후 열간압연하여 1.6111111의 두께의 열연코일을 제조하엿다. 이 때, 열간 압연 종료온도를표 7에 정리하였다.

이후, 하기 표 7의 온도로소둔하고,소둔한열연판의 평균결정립경, 석줄물을 하기 표 7에 정리하였다. 석줄물은 직경 0.1 이상인 석줄물을 기준으로 개수를 측정하였으며, 임의의 >< 1 면적내의 석출물 개수를 측정하였다.

이후, 열연소둔판을압하율 63%까지 냉간압연하였다.

냉간압연한 판은 0.02 %로 질화하여 이슬점 수소 75% 분위기에서 탈탄하는 1차 재결정 소둔공정을 거쳐서 결정립경을 하기 표 7과 같이 되도록하였다. 이후, ¾1的성분을포함하는소둔분리제를도포한 후에 시간당 20°(:의 승온속도로 12001:까지 승온 한 후 20시간 동안 2차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였다. 절연코팅을 실시하고 자성을 측정하여 표 8에 정리하였다.

【표 7] 2019/132363 1»(:1/10公018/016041

【표 8]

2019/132363 1»(:1^1{2018/016041

표 7 내지 표 8에 개시된 것과 같이, 1차 재결정 지름을 적절히 확보하지 못한 01-04, 06, 07은 압연 수직 방향의 자성이 열화되고, 원주방향의 자성도좋지 않음을확인할수있다.

특히 ½는 가열 온도가 열연판 소둔 온도에 비해 크게 높아 열연판 결정립경이 작고,조대석출물이 다량생성되어,자성이 열화됨을확인할수 있다. 또한, 05, 는 슬라브 가열하는 단계에서, 1100 이상의 시간을 확보하지 못하여, 석줄물이 적절히 석줄되지 않거나, 조대 석줄물이 다량 생성됨어,자성이 열화됨을확인할수있다. 07및 은열연판소둔시간이 너무 길거나짧아, 석출물이 너무 적게 생기거나, 너무다량 생겨, 자성이 열화되는것을확인할수있다.

실험예 5

중량%로 : 2.8%, 시: 0.029%, 0.001%, : 0.15%, 0.003%, 0:0.025%, XI: 0.002%, 0.05%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한불순물로 이루어진슬라브를제조하였다. 슬라브를 11501:에서 가열후열간압연하여 1.6™의 두께의 열연코일을 제조하였다. 슬라브 제조 후, 열간 압연 종료 시간을 하기 표 9에 정리하였다. 슬라브 가열하는 단계부터 열연판을 제조하는단계까지의 최대 온도를표 9에 정리하였다. 열간 압연 시, 최종 패스의 압하율및 최종패스전패스의 압하율을표 9에 정리하였으며, 최종 패스및 그전패스의 압하율의 합을하기 표 9에 정리하였다. 11001: 내지 114010에서 30초간 소둔하고 900°(:에서 90초간 소둔 후에 급냉한 열연소둔판을압하율 63%까지 냉간압연하였다.

냉간압연한 판은 0.02 방 «로 질화하여 이슬점 60 수소 75% 분위기에서 탈탄하는 1차 재결정 소둔공정을 거쳐서 결정립경을 하기 표 7과 같이 되도록 하였다. 이후, ¾¾0성분을포함하는소둔분리제를도포한 후에 시간당 201:의 승온속도로 1200 까지 승온 한 후 20시간 동안 2차 재결정 소둔을실시하였다. 절연코팅을 실시하고 자성을측정하여 표 10에 정리하였다.

【표 9] 2019/132363 1»(:1^1{2018/016041

【표 10]

표 9및 표 10에 나타나듯이, 모든조건을만족하는발명예는자성이 우수함을 확인할수 있다. 반면, 묘3는 열간 압연에서의 최종 패스 및 최종 패스 전 패스의 압하율이 높아, 자성이 열위한 것을 확인할수 있다. 표4는 열간 압연에서의 최종 패스 및 최종 패스 전 패스의 압하율 합이 높아 자성이 열위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5는 슬라브 제조 후 열간 압연까지의 시간이 길어 자성이 열위함을 확인할 수 있다. 묘6는 슬라브 제조 후 열간압연의 최대온도가열연판소둔온도에 비해높고,최종패스압하율이 낮아, 자성이 열위함을확인할수있다.

본 발명은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서로 다른 다양한 2019/132363 1»(:1^1{2018/016041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5 한정적이 아닌것으로이해해야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