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EXTERNAL PREPARATION COMPOSITION FOR SKIN COMPRISING GINSENG FLOWER OR GINSENG SEED EXTRACTS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151212
Kind Code:
A2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uses of ginseng flower extract and ginseng seed extract. The ginseng seed extract comprises ginseng seed oil or ginseng seed skin extract. The uses include skin protection, antiaging, antiwrinkle, improvement of skin elasticity, whitening, skin moisturiz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xeroderma such as atopy, keratin removal, sebum control, anti-inflamm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skin troubles such as acne, improvement of skin tone, prevention of hair loss, anti-dandruff, improvement of hair sheen and softness, enhancement of volume and elasticity of face or body’s skin, and improvement of face or body lines.

Inventors:
YEOM MYEONG HUN (KR)
LEE JIN YOUNG (KR)
HWANG JUNG SUN (KR)
PARK NOK HYUN (KR)
PARK JUN SEONG (KR)
KIM DUCK HEE (KR)
KIM HAN KON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2206
Publication Date:
December 17, 2009
Filing Date:
April 28,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AMOREPACIFIC CORP (KR)
YEOM MYEONG HUN (KR)
LEE JIN YOUNG (KR)
HWANG JUNG SUN (KR)
PARK NOK HYUN (KR)
PARK JUN SEONG (KR)
KIM DUCK HEE (KR)
KIM HAN KON (KR)
International Classes:
A61K8/97; A61K36/258; A61P17/06; A61P17/12; A61P17/14; A61Q5/00; A61Q7/00; A61Q17/04; A61Q19/02; A61Q19/08
Domestic Patent References:
WO2007007255A2
Foreign References:
KR20080044959A
KR840000561B1
Attorney, Agent or Firm:
KIM, SUN-YOUNG (KR)
김순영 (KR)
Download PDF:
Claims:
인삼씨 추출물 및 인삼 꽃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 추출물은 인삼씨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 추출물은 전체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 추출물은 인삼씨박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박 추출물은 전체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손상을 억제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산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억제하는 작용을 통해 피부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는 두피 또는 모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산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콜라겐 생성 촉진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I(MMP-1)의 생합성 저해를 통해 피부의 노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콜라겐 생성 촉진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I(MMP-1)의 생합성 저해를 통해 피부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개선시키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미백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 또는 피부에 침착된 색소의 미백화를 통해 피부 미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보습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또는 트랜스 글루타미네이즈 발현 촉진을 통해 피부 수분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아토피 또는 건선을 포함하는 피부 건조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각질 제거의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의 피지 조절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지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피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 또는 자극 완화의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는 두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여드름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는 두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혈색을 개선하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는 두피 또는 모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탈모 예방의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항비듬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모발의 광택 또는 부드러움 증진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얼굴 또는 바디의 볼륨 및 탄력 증진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세포 분화 촉진을 통해 얼굴 또는 바디의 볼륨 및 탄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얼굴 또는 바디 라인 개선의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escription:
인삼꽃 또는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본 발명은 인삼 꽃 추출물의 용도와 인삼씨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삼씨 추출물은 인삼씨 오일 또는 인삼씨박 추출물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의 피부 보호 용도, 항노화 용도, 항주름 용도, 피부 탄력 개선 용도, 미백 용도, 피부 보습 용도, 아토피 등의 피부 건조 질환의 예방 및 개선 용도, 피지 조절 용도, 항염증 용도,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 예방 또는 개선 용도, 각질 제거, 피부 혈색 개선, 탈모 예방, 항비듬, 모발의 광택 및 부드러움 개선, 얼굴 또는 바디의 볼륨 및 탄력 증진, 얼굴 또는 바디의 라인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피과 인삼 속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2,000여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생약으로, 경험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인삼의 지금까지 알려진 효능 및 효과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항발암 작용과 항암활성, 면역기능 조절작용, 항당뇨 작용, 간기능 항진효능, 심혈관 장해개선 및 항동맥경화 작용, 혈압조절 작용, 갱년기 장애 개선 및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 항스트레스 및 항피로작용, 항산화 활성 및 노화억제 효능 등이 알려져 있다.

인삼의 대표적 생리활성 성분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인삼의 지상 및 지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인삼 근(뿌리), 인삼엽, 인삼열매 등 그 부위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함량과 조성은 큰 차이가 있다. 특히 인삼 꽃은 인삼 근(뿌리)과 다른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과 성분을 바탕으로 다른 부위와는 달리 간보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J. Nat. Prod, 66; 922-927, 2003.). 한편 인삼씨의 경우에는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인삼씨 특히 인삼씨에 함유된 오일에 대한 연구는 인삼씨 오일의 지방산 조성과 피토스테롤 함량분석(J. Agric. Food Chem. 50, 744-750, 2002) 정도이다.

최근 천연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동시에 한방 소재를 활용하는 많은 화장품들이 출시되면서 인삼도 화장품의 중요한 피부효능을 가진 식물소재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인삼근을 이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삼근의 추출물 또는 인삼근의 진세노사이드 성분과 인삼다당체를 활용한 것일 뿐, 인삼 꽃 또는 인삼씨의 성분에 의한 피부 효능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피부에 유용한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피부를 보호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모발을 보호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피부 탄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아토피 등의 피부 건조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피부 각질을 제거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피부의 피지를 조절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염증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두피의 염증을 예방 또는 완화, 또는 자극을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두피에 발생하는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피부의 혈색을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탈모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항비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모발의 광택 또는 부드러움을 증진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얼굴 또는 바디의 볼륨 및 탄력을 증진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얼굴 또는 바디의 라인을 개선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 추출물은 인삼씨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인삼씨 추출물이 인삼씨 오일인 경우, 그 함량은 전체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 추출물은 인삼씨박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인삼씨박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손상을 억제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피부는 두피 또는 모발을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두피 또는 모발의 손상을 억제하여 모발을 보호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산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억제하는 작용을 통해 피부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피부는 두피 또는 모발을 포함한다. 즉, 산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두피 또는 모발의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두피 또는 모발을 보호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산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콜라겐 생성 촉진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I(MMP-1)의 생합성 저해를 통해 피부의 노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콜라겐 생성 촉진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I(MMP-1)의 생합성 저해를 통해 피부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개선시키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미백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 또는 피부에 침착된 색소의 미백화를 통해 피부 미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보습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또는 트랜스 글루타미네이즈 발현 촉진을 통해 피부 수분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아토피 또는 건선을 포함하는 피부 건조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각질 제거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의 피지 조절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지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피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 또는 자극 완화의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피부는 두피를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두피의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고, 두피에의 자극을 완화하는 용도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여드름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피부는 두피를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두피에 여드름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이미 발생된 피부 트러블을 개선시키는 용도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혈색을 개선하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탈모 예방의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항비듬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모발의 광택 또는 부드러움을 증진시키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얼굴 또는 바디의 볼륨 및 탄력을 증진시키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얼굴 또는 바디의 라인을 개선시키는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삼의 지상부 중에서 인삼근과 차별적 성분과 조성을 갖는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호, 항노화, 항주름, 피부 탄력 개선, 미백, 피부 보습, 아토피 등의 피부 건조 질환의 예방 및 개선, 각질 제거, 피지 조절, 항염증,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 예방 또는 개선, 피부 혈색 개선, 탈모 예방, 항비듬, 모발의 광택 및 부드러움 개선, 얼굴 또는 바디의 볼륨 및 탄력 증진, 얼굴 또는 바디의 라인 개선을 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삼 꽃 추출물의 활성산소 생성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삼 꽃 추출물의 DNA 산화적 손상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삼 꽃 추출물이 I형 프로콜라겐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삼 꽃 추출물이 MMP-1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삼 꽃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씨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라 함은, 천연물로부터 그 안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이라면, 뽑아내는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해 낸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삼씨 오일"이라 함은, 인삼의 씨로부터 얻어진 오일을 의미한다. 예컨대, 헥산, 에테르,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인삼씨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삼씨박"이라 함은, 인삼씨로부터 오일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한다. 예컨대, 헥산, 에테르,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인삼씨로부터 오일을 추출해 내고 남은 나머지 부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 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 C.A. Meyer)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 꽃 추출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삼 꽃 추출물은, 건조된 인삼 꽃에 물, 물을 포함한 유기용매(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등) 또는 유기용매를 인삼 꽃의 1∼10배(wt/v%)를 넣고 상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 공정을 2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추출액으로부터 클로로필을 제거한 후, 그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여 인삼 꽃 추출물의 건고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 추출물은 인삼씨 오일이고, 그 오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0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인삼씨 오일이 0.001 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 오일은 건조된 인삼씨를 분쇄한 후 유기용매(헥산, 에테르,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를 그 분쇄물의 1 내지 10배(wt/v%)를 넣고 상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위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얻으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여 인삼씨 오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박 추출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인삼씨박 추출물이 0.001 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인삼씨박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건조된 인삼씨를 분쇄한 후 헥산 등의 유기용매를 1∼10배(wt/v%)를 넣고 상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하여 추출한다. 위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인삼씨로부터 오일을 제거하고, 오일이 제거되고 남은 인삼씨박에 물, 물을 포함한 유기용매(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등) 또는 유기용매를 1∼10배(wt/v%)를 넣고 상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하여 추출할 수 있다. 위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얻으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여 인삼씨박 추출물의 건고물을 얻을 수 있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고,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혈색도 칙칙하게 안 좋게 되고, 피부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노화가 진행되거나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에서는, 염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cyclooxyge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이들 염증성 인자에 의해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한 NO(nitric oxide)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내인성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 및 미세염증에 의해 기질물질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 및 변성이 가속화되어 피부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지면서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고 활성산소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활성산소 또는 자외선 등에 의한 세포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활성산소 또는 자외선에 의한 노화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삼 꽃 추출물 및 인삼 씨 추출물은 COX-2의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피부 트러블을 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피부는 두피를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 씨 추출물은, 두피 또는 모발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 또는 자외선 등에 의한 세포의 손상을 예방하고, 두피의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며, 퍼머나 염색 등에 의한 두피의 자극을 완화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 씨 추출물은, 피부의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데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관여하는데, 그 중에서도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 등의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 등의 요인들이 중요하다.

이중 특히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인체 내의 멜라노사이트에서 타이로시나제 등의 여러 효소가 작용하여 생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이다. 이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분비, 스트레스 등과 관련된 생리적 요인 및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다.

신체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 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등 피부 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피부 내, 외부의 스트레스적 자극에 의해 생겨난 멜라닌은, 스트레스가 사라져도 피부 각질화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는 없어지지 않는 안정한 물질이다. 그러나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나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 씨 추출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를 미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미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피부(skin) 중에서 최외각에 위치한 표피(epidermis)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의 물리, 화학적 자극인자)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 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각화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여러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인간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보유능력이 있는 여러 종류의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어 주로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활환경 중에 인간에 대한 위해요인이 점점 증가하고, 노령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각질층의 생성-탈락속도(turnover rate)가 늦어지고, 각질형성세포의 지질합성능력이 저하되거나, 표피에서 정상적인 세포의 분열, 성숙 및 분화가 원활하지 않음으로써,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정상적인 각질층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 즉 피부장벽기능이 와해된 상태의 피부를 갖고 있는 인간들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표피세포의 분열, 분화로 인해 피부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건선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제 질환들은 자체로 수분보유기능만을 갖는 통상적인 보습제 만으로는 그 증상을 약간 완화시킬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치유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 씨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오래된 각질세포의 탈락과 새로운 각질세포의 생성 과정인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과정을 돕고, 따라서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능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우수한 각질 제거 효능을 갖는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각질 제거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 씨 추출물은, 각질층의 생성-탈락속도(turn over rate)를 정상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트랜스 글루타미네이즈 발현을 촉진한다. 이를 통해, 피부의 보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 씨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피부 수분을 유지함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아토피나 건선과 같은 피부 건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피 및 얼굴을 포함한 피부에서 피지는 피부의 보습 유지나 미생물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담당하지만, 피지가 과잉으로 분비되면 탈모가 촉진되고 여드름이 악화되며 여드름에 의한 모공 확대가 촉진되고 지루성 피부염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질환이 유발된다.

이러한 피지의 과분비는 여러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피지선의 활성에 있어 피지 분비를 촉진하는데 관여하는 호르몬 가운데 하나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 DHT)의 양에 의해서 피지선 세포가 활성화 되어 피지가 과분비되는 것이다. 즉, 탈모에 있어서는 세포내에서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 T)이 5-알파-리덕타제 타입 2(5-α-reductase type 2)에 의해서 남성 호르몬 중에 하나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세포질 내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receptor)과 결합하여 액내로 들어가 탈모를 유발하지만 피부나 피지선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이 5-알파-리덕타제 타입 1(5-α-reductase type 1)에 의해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어 피지선 세포가 활성화하여 분화가 촉진됨으로써 피비선내의 피지(sebum)를 과분비하여 여드름을 유발하는 것이다.

단순한 피지의 과분비 외에 발생되는 피부 트러블인 여드름, 탈모 등은 피부의 미세한 염증 반응에 의해서 더욱 악화되게 된다. 여드름의 발생 원인을 보면 과도한 피지가 모낭에 축적되게 되어서 여드름균의 활동이 활성화되고 염증이 유발되는 단계를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 씨 추출물은 피지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지의 과다 분비에 의한 여드름, 모공 확대, 지루성 피부염 등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얼굴과 바디의 볼륨 및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얼굴과 바디 중 볼륨과 탄력의 증진이 요구되는 부위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도포하면, 볼륨과 탄력이 증진된다. 볼륨과 탄력의 증진이 요구되는 부위는 노화로 인해 함몰된 부위일 수 있다. 예컨대, 노화로 인해 함몰된 볼살 등을 들 수 있다. 함몰된 볼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도포하면, 지방세포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볼륨이 증진될 수 있다. 또한, 볼륨과 탄력의 증진이 요구되는 부위의 다른 예로서, 가슴과 엉덩이 부위를 들 수 있다. 가슴과 둔부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도포하면 가슴과 둔부가 탄력있고 풍만해 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얼굴과 바디의 라인을 개선할 수 있다.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 씨 추출물이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얼굴과 바디의 볼륨 및 탄력을 증진시키고,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노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손상된 얼굴과 바디의 라인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는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연고 또는 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피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001 mg/kg/일 내지 대략 2000 g/kg/일 범위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삼 꽃 추출물 제조

건조된 인삼 꽃 1㎏에 70%(v/v) 에탄올 10L를 넣고 상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공정을 2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얻고,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2L로 농축하였다. 그런 다음 동량의 에테르(ether)를 첨가하여 여액으로부터 에테르층을 제거함으로써 클로로필을 제거하였다. 상기 공정을 3회 반복한 후 남은 추출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여 건고물 150g을 얻었다.

[실시예 2] 인삼씨 오일의 제조

건조된 인삼씨 1kg을 분쇄한 후 헥산 10L를 넣고 상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하여 추출하였다. 위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얻으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여 인삼씨 오일 120g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추출물 오일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유리지방산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3회 수세한 후 카본을 사용하여 탈색시키고 나서 100℃의 진공상태에서 불활성가스로 이취성분을 제거하여 인삼씨 오일 100g을 얻었다.

[실시예 3] 인삼씨박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인삼씨 1kg을 분쇄한 후 헥산 10L를 넣고 상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하여 추출하였다. 위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인삼씨로부터 오일을 제거하고, 오일이 제거되고 남은 인삼씨박에 물 10L를 넣고 상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하여 추출하였다. 위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얻었으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여 건고물 100g을 얻었다.

[시험예 1] 활성산소 생성 억제 실험

자외선(UV) 조사에 의하여 세포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를 제거하는 능력을 비교하는 실험을 통하여 인삼 꽃 추출물과 인삼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인삼 꽃 추출물의 양성대조군으로서 일반적으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는데 사용하는 비타민 C(Sigma. Co.)를 사용하였다. 또한 시험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인간 HaCaT 각질형성세포 단층 배양 시스템(human HaCaT keratinocytes monolayer culture system :P Boukamp, German Cancer Research Center, Heidelberg. German)에 자외선(UVB 30mJ/cm 2 )을 처리한 후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10ppm, 50ppm, 100ppm으로 각각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DCFH-DA(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Molecular Probes, Inc)를 형광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하였다. 자외선을 처리하지 아니한 대조군을 100으로 하고 이에 대한 비율로 ROS 생성 비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시험물질 ROS 생성율(%) Non-UVB 100 UVB 161 UVB + 실시예 1(10 ppm) 78 UVB + 실시예 1(50 ppm) 72 UVB + 실시예 1(100 ppm) 70 UVB + 비타민 C 100 uM 72

인삼씨 추출물의 양성대조군으로서 일반적으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는데 사용하는 트롤록스(trolox)(Aldrich Co.)를 사용하였다. 또한 시험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인간 HaCaT 각질형성세포 단층 배양 시스템(human HaCaT keratinocytes monolayer culture system:P Boukamp, German Cancer Research Center, Heidelberg. German)에 자외선(UVB 30mJ/cm 2 )을 처리한 후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인삼씨 오일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을 하기 표 2와 같이 각각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DCFH-DA(2', 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Molecular Probes, Inc)를 형광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하였다. 자외선을 처리한 대조군에 대한 비율로 ROS 생성 억제 비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시험물질 ROS 생성 억제 비율(%) 대조군 0 트롤록스 0.1 mM 42.7 실시예 2(10 ppm) 52.9 실시예 2(1 ppm) 38.3 실시예 3(10 ppm) 58.1 실시예 3(1 ppm) 45.9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인삼씨 오일 및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은 인간 HaCaT 각질형성세포 단층 배양 시스템(human HaCaT keratinocytes monolayer culture system)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UV에 의해 생성된 활성 산소를 유의적으로 소거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항산화 물질의 활성지표로 사용되는 비타민 C 또는 트롤록스와 유사한 정도의 우수한 활성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인삼씨 오일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은 피부 손상의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를 유의적으로 소거함으로써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피부를 보호하고 더 나아가 주름 생성, 탄력 저하 및 색소 침착 등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단 세포 겔 전기영동(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 SCGE, Comet assay)에 의한 DNA 산화적 손상에 대한 억제 활성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자체 일차 배양)를 24시간 배양한 후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인삼씨 오일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과 비타민 E를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고, 12시간 후에 양성대조군인 H 2 O 2 (최종농도 10-3M)를 처리한 다음 전기영동법으로 염색한 결과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때 이미지 아날라이저(image analyzer)인 KOMET 3.1(Kinetic Imaging, England)를 사용하여 25개의 각 세포에서 DNA 절단의 결과로 나타난 테일(tail)의 길이(um)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3

시험물질 처리 농도 테일 길이(㎛) 저해율(%) 대조군 처리없음 112.4 - 비타민 E 10 ppm 68.9 38.7 실시예 1 10 ppm 104.6 6.9 50 ppm 70.2 37.5 100 ppm 65.4 41.8 실시예 2 1 ppm 70.7 37.1 10 ppm 39.1 43.2 실시예 3 1 ppm 76.5 26.9 10 ppm 42.3 39.8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세포 겔 전기영동에 의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인삼 꽃 추출물과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은 유의성 있는 산화적 DNA 손상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이 히드록실 라디칼(.OH)에 의한 DNA 싱글 스트랜드 브레이크(single strand break)를 억제하는 DNA 산화적 손상억제제로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두피 또는 모발을 포함하는 피부의 세포의 유전자를 보호하는 중요한 방어 효과이다.

[실험예 3] I형 프로콜라겐 생성 분석(Type I Procollagen assay)

인체 섬유아세포를 10 5 개의 농도로 12공 평판배양기에서 배양한 다음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1ppm, 10ppm, 50ppm을 포함한 배지,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 또는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 1ppm, 10ppm을 포함한 배지로 표 4와 같이 교체하였다. 배양 3일째 세포를 수확해서(harvest) ELISA 방법으로 생성된 I형 프로콜라겐(type I procollagen)의 양을 정량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TGF-β(Human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Roche Co.)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인삼 꽃 추출물과 인삼씨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군을 0으로 하고 양성대조군을 100으로 하여서 측정한 값과의 비교치로 산출하였다. 이를 표 4와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4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 단층 배양 시스템(Normal human fibroblast monolayer culture system)에서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I형 프로콜라겐 생성을 뚜렷하게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여 인체 피부의 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콜라겐 감소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실험예 4] MMP-1 발현 억제 분석

인체 섬유아세포를 10 5 개의 농도로 12공 평판배양기에서 배양한 다음 자외선 B를 40mJ/cm 2 로 조사한 후,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1ppm, 10ppm 및 50ppm을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2일째 세포를 수확해서(harvest) ELISA 방법으로 생성된 MMP-1(matrix metalloproteinase I)의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시험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측정한 값과의 비교치로 산출하였고, 양성대조군은 RA(Retinoic acid , Sigma. Co.)를 사용하였다. 이를 표 5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5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 단층 배양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은 UVB 40 mJ/cm 2 에 의해서 유도되는 MMP-1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은 내적 노화 또는 외적 환경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피부조직 분해효소인 MMP-1의 생합성을 저해하여 피부내 콜라겐 감소를 억제하고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실험예 5] 인체피부를 대상으로 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

30-50세의 안면주름이 있는 시험대상자 120명에 대하여,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실시예 4) 및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실시예 5), 인삼 꽃 추출물과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 5와 동일한 조성물(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제조한 후 이들의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비교평가 하였다(단위 : 중량%).

표 6

성 분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인삼 꽃 추출물 0.1 - - 인삼 씨 오일 - 0.1 - 인삼씨박 추출물 - 0.1 - 밀납 10 10 10 폴리솔베이트60 1.5 1.5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 2 2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0.5 유동파라핀 10 10 10 스쿠알란 5 5 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 (Estasan: Uniqema(제조사)) 5 5 5 글리세린 5 5 5 부틸렌글리콜 3 3 3 프로필렌글리콜 3 3 3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피검자들은 각각 안면 좌부에는 실시예 4 또는 5를, 우부에는 비교예 1을 3개월간 사용하였다. 크림사용 이전의 안면 양쪽부의 피부상태를 측정해 놓은 다음 크림사용 3개월 후 동일 부위를 재측정하여 피부주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24℃, 상대습도 40%의 항온항습실에서 눈꼬리 부위의 주름을 레플리카(replica)로 떠서 비시오메타 시스템(Visiometer system; C+K사)으로 피부주름을 측정하였다. 피부주름의 변화량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 1에서, "Tdi"는 D90에서의 측정부위값이며, "Tdo"는 D0에서의 측정부위 값이다.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결과를 계산한 결과, 비교예 1를 사용한 부위의 피부주름은 6.1±7%(평균±표준편차)의 감소치를 나타낸 반면, 실시예 4를 사용한 부위의 피부주름은 35±8%, 실시예 5를 사용한 부위의 피부주름은 32±5%의 감소치를 보여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6] 인체에서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실험

상기 표 6의 조성으로 제조한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30세 이상의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3개조로 나누어, 각 조에 상기 실시예 4 또는 5 및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12주간 안면에 도포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계산한 결과, 비교예 1을 사용한 부위의 탄력 효과는 0.21±0.14(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 반면, 실시예 4를 사용한 부위의 탄력 효과는 0.30±0.10, 실시예 5를 사용한 부위의 탄력 효과는 0.29±0.08을 보여를 보여 우수한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 값은 피부탄력측정기의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4의 영양크림을 사용한 경우 140% 가량 피부탄력 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7] 쥐의 색소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쥐의 색소세포를 이용하였다.

먼저,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 색소세포(Mel-Ab cell)(Dooley, T.P. et al, Skin pharmacol, 7, pp 188-200)를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tetradecanoyphorbol)-13- 세테이트 및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를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 2 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Mel-Ab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10 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한 다음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각각 10ppm, 50 ppm 및 100 ppm의 인삼 꽃 추출물(실시예 1), 인삼씨 오일(실시예 2)과 인삼씨박 추출물(실시예 3)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이 때, 알부틴(arbutin, Sigma Co.)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Dooley의 방법).

[수학식 2]

표 7

멜라닌 생성 억제율(%)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처리군 0 0 0 10 ppm 처리군 4 3 23 50 ppm 처리군 25 19 32 100 ppm 처리군 49 43 51 알부틴 100 ppm 51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 및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은 알부틴과 유사한 정도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 및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이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의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건강한 12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상박 부위에 직경 1.5㎝의 구멍이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1.5~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였다.

상기 자외선 조사 후 시험물질인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과 하이드로퀴논을 각각 바르고, 한 곳은 아무 것도 바르지 않고 10주 동안 상태변화를 관찰하였다. 1주 단위로 피부의 색깔을 색차계 CR2002(일본, 미놀타 사)로 측정하였다.

그 다음 상기 각 시험물질의 도포 개시시점과 도포 완료시점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한편, 미백효과는 시료 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의 △L*의 비교로 판정하는데, △L* 값이 2정도일 경우는 침착된 색소의 미백화가 뚜렷한 경우이고, 1.5정도 이상이면 미백효과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수학식 3]

△L* = 도포 완료시점에서의 L*값 - 도포 개시시점에서의 L*값

표 8

시험물질 피부색 밝기 정도(△L*) 실시예 1 1.91 ±0.17 실시예 2 1.94 ±0.11 실시예 3 1.91 ±0.14 하이드로 퀴논(양성 대조군) 1.89 ±0.15 용매(Vehicle)(음성 대조군) 0.51 ±0.13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 및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은 하이드로 퀴논과 유사한 정도의 피부색 밝기 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기 인삼 꽃 추출물, 인삼씨 오일 및 인삼씨박 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색소 침착을 개선하여 피부색을 밝게 해주기 때문이다.

[실험예 9]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유도

각질형성세포 및 인간피부세포주(HaCaT)의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의 양을 측정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 및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의 세포분화 촉진 효과를 알아보았다.

일차 배양한 인간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후, 하기 표 9에 기재된 시험물질들을 농도별로 배양액에 첨가하고,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 세포를 수확(cell harvest)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ml를 가하여 소니케이션(sonication), 보일링(boiling), 원심분리한 침전물을 다시 PBS 1ml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 일부를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여, 세포 분화 정도의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 mM) 처리군을 각각 음성/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저칼슘농도에 시험물질을 첨가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시험 물질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대조군 저칼슘처리군(Ca 2+ 0.03 mM) 100 고칼슘처리군(Ca 2+ 1.2 mM) 215 실시예 1 1 ppm 117 10 ppm 122 100 ppm 125 실시예 2 1 ppm 111 10 ppm 119 100 ppm 137 실시예 3 1 ppm 97 10 ppm 109 100 ppm 121

상기 표 9의 결과를 통하여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 및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에서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오래된 각질세포의 탈락과 새로운 각질세포의 생성 주기인 턴오버 주기를 정상화시켜서 피부 보습을 강화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인삼 꽃 추출물, 인삼씨 오일 및 인삼씨박 추출물이 피부 각질 제거를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실험예 10]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 (transglutaminase)의 발현 효과

인간 각질형성세포를 96웰형 세포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5x10 4 개를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부착시킨 피부세포주에 시험물질을 처리한 후, 2일이 지난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20℃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동결-해동(Freeze-thawing)을 2회 반복하여 물질 처리한 세포를 파괴시킨 후, -20℃ 에 보관한 아세톤:에탄올(1:1, v/v)을 처리하여 4℃ 에서 30분간 방치하여 세포를 고정시켰다. 그 후, 실온에 방치하여 유기용매가 증발되게 하고, 블록킹(1% 소혈청알부민),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 항체(primary antibody), HRP 안티-마우스 항체(secondary)를 처리하였으며, 발색은 OPD(o-phennyldiamine)를 첨가하여 수행하였다. 발현량은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보정은 630nm에서 백그라운드(background)를 측정하여 수행하였다.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 mM) 처리군을 각각 음성/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저칼슘농도에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1 ppm, 10 ppm, 100 ppm을 첨가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10

시험물질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 발현량(%) 대조군 저칼슘처리군(Ca 2+ 0.03 mM) 100 고칼슘처리군(Ca 2+ 1.2 mM) 138 실시예 1 1 ppm 98 10 ppm 119 100 ppm 141

상기 표 10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발현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이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의 발현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1] 인체에서의 피부 보습력 증가

피부건조증을 나타내는 50-60대의 성인 남녀 75명을 3개조로 나누어, 각 조에 실시예 4, 실시예 5와 비교예 1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및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시험결과는 시험개시 직전에 측정한 코니오미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표 11

코니오미터는 표피의 전기전도도 값을 측정하여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피부수분측정기이다. 상기 표 1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4,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5의 물질을 도포한 군에서 비교예 1을 도포한 대조군에 비해서 피부수분량이 더 증가되었다. 또한,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영양크림의 도포를 중지한 2주 후(총 6주 경과)에 피부수분을 측정한 수치가 1~2주 경과 후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나,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를 도포하지 않아도 일정 기간 동안 본 발명에 의한 인삼 꽃 추출물, 인삼씨 오일 또는 인삼씨박 추출물의 도포에 의한 피부수분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2] 피지분비 억제 효과

지성피부 완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20-45세의 여성층으로 지성피부를 가진 30명에게 이마 부분에 10명은 실시예 4(인삼 꽃 추출물 함유)를, 다른 10명에서는 실시예 5(인삼씨 오일과 인삼씨박 추출물 함유)를, 또 다른 10명에게는 비교예 1을 아침, 저녁으로 1일2회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에 1주, 2주, 3주 및 4주 후에 피부 유분 측정기(Sebumeter SM810)를 이용하여 피부의 피지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20℃, 상대습도 20%에서 이루어졌으며 측정결과는 표 12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피검자 10명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지성 피부인 경우 측정값이 220 이상이고, 정상피부의 경우 100 내지 220사이이다.

표 12

시험물질 적용전 1주 2주 3주 4주 비교예 1 246 240 239 235 230 실시예 4 248 237 232 216 211 실시예 5 244 235 231 217 211

상기 표 12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4 및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5의 영양크림이 과다한 피지분비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피지조절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두피를 포함하는 피부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피지로 인한 여드름과 트러블도 방지할 수 있다.

[실험예 13] LPS(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사이클로옥시게나제-2 (COX-2)의 생합성 억제 효과

인체 섬유아세포를 10 5 개의 농도로 12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한 다음 LPS처리를 한 후,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을 1ppm, 10ppm 및 100ppm을 포함한 배지,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을 1 ppm, 50 ppm을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2일째 세포를 수확해서(harvest) 웨스턴블랏(Westren blot)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 COX-2)의 양을 정량하였다.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농도계(densitometer)로 측정한 값과의 비교치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은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 및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배양한 미처리군이다.

표 13

시험물질(농도:ppm) COX-2 생합성(%) 실시예 1 100 56 10 64 1 89 실시예 2 50 42 1 78 실시예 3 50 62 1 89 대조군 100

상기 표 1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 및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은 염증반응 유발인자인 LPS로 유도된 사이클로옥시게나제-2의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로써 피부트러블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14] 여드름 및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

실험에 참여한 인원은 평소 여드름을 비롯한 피부트러블이 심한 여성 15명으로, 항온항습실에서 얼굴을 비누로 수세한 후 30분간 적응시키고, 여드름 개수 및 염증이 동반된 개수를 비교하여 피부트러블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피시험자들에게 실시예 4, 실시예 5 및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각각 4주일 동안 사용하게 한 다음 여드름 및 피부트러블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표 14

상기 표 14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을 포함한 실시예 4,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을 포함한 실시예 5를 4주간 도포한 결과 기존 여드름개수의 감소 및 염증 동반 트러블의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실험예 15] 인체 피부(얼굴)의 혈색 개선 효과

본 발명의 인삼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에서의 혈액순환 촉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LDPI(Laser Doppler Perfusion Imager)를 이용하여 피부에서의 혈액순환 정도를 측정하였다. LDPI는 피부에서의 혈액순환을 측정하는 기기로 널리 알려져 있고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기기로서, 피부의 모세혈관에서 혈액의 속도 및 양 뿐만 아니라 소동맥과 소정맥에서의 흐름까지 측정해 낼 수 있는 매우 민감한 기기이다.

항온항습실에서 얼굴을 비누로 수세한 후 30분간 적응시키고, LDPI와 피부온도 측정기구인 IR(Infrad) 카메라를 이용하여 초기값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인원은 평소 손발이 차가운 여성 40명으로, LDPI로 이마 아래 부분의 초기 혈류량을 측정하였고, IR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마, 눈밑 및 뺨의 피부 온도 초기값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4와 5를 1주일 동안 피시험자들에게 사용하게 한 후 혈류량과 피부온도(℃)를 초기 측정값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표 15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삼 꽃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4 및 인삼씨오일과 인삼씨박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5를 사용한 결과, 피시험자들의 얼굴에서 말초혈액순환 개선 효과로 인하여 혈색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 피부의 영양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피부노화를 억제하며 지연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6, 7, 및 8,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와 3에서 제조된 인삼 씨 오일 및 인삼씨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하기 표 16의 조성대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표 16

성분 (중량%)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2 인삼 꽃 추출물(실시예 1) 10 - - - 인삼씨 오일 (실시예 2) - 10 - - 인삼씨박 추출물 (실시예 3) - - 0.1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70 70 70 80 에탄올 10 10 10 10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16] 탈모 방지 효과 시험

초기 탈모 현상이 있는 피검자 30명을 대상으로 탈모 방지 효과에 관한 실험을 16주 동안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6, 7, 8,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을 1일 1회씩 16주 동안 사용한 후, 16주가 경과한 다음 머리를 감을 때 다시 탈락모를 수집하여 개수를 세었으며, 그 결과를 표 17에 나타내었다.

표 17

처리군 탈락모개수평균(개)/표준편차 비교예 2 82.80 / 10.32 실시예 6 (인삼 꽃 추출물) 75.07 / 8.70 실시예 7 (인삼씨 오일) 76.27 / 9.10 실시예 8 (인삼씨박 추출물) 79.21 / 6.10

상기 표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삼 꽃 추출물, 인삼씨 오일, 또는 인삼씨박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비교예에 비해 탈락모의 개수가 유의차 있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7] 비듬균 억제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인삼씨 오일) 및 실시예 3(인삼씨박 추출물)이 비듬균( P. ovale ATCC 12087)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액체 배지 희석법(broth dilution method)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이중희석(double dilution)을 행한 다음, 32℃에서 24시간 및 48시간 정치 배양한 후, 현탁된 정도로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여 균의 증식이 없는 최소농도를 MIC(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최소억제농도)로 결정하였다. 만약 혼합액이 불투명하여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우면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8에 나타내었다.

표 18

처리군 MIC(최소 억제 농도) 실시예 1 (인삼 꽃 추출물) 0.05% 실시예 2 (인삼씨 오일) 0.04% 실시예 3 (인삼씨박 추출물) 0.07%

상기 표 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삼 꽃 추출물, 인삼씨 오일 및 인삼씨박 추출물의 MIC의 감소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삼 꽃 추출물, 인삼씨 오일 및 인삼씨박 추출물은 비듬치료 및 방지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18] 모발 광택 증진 효과

모발시료 0.1g을 샴푸 0.1g으로 세척한 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다음, 모발시료를 25℃, 50% 습도 조건에서 6시간 건조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표 16의 실시예 6, 7, 8,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을 각각 0.1g씩 도포하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고니어포토미터를 사용하여 광택을 측정하였다.

모발시료를 할로겐 램프가 장착되어 있는 코니어포토미터에서 광택을 측정하였다. 상기 코니어포토미터는 빛의 입사각은 30도이며, 0부터 90도까지의 반사된 값을 얻을 수 있다. 광택도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4]

광택도(G) = Sf / d

Sf: 정반사 값으로 반사값 중 가장 높은 수치

d : 난반사 값으로 0도 일 때 수치

광택은 난반사가 적고 정반사가 많이 일어날수록 좋은 결과를 보이는 것이며, 측정결과를 하기 표 19에 나타내었다.

표 19

처리군 d Sf G 비교예 2 6.49 68.41 10.54 실시예 6 (인삼 꽃 추출물) 3.58 83.20 23.24 실시예 7 (인삼씨 오일) 2.81 87.45 31.12 실시예 8 (인삼씨박 추출물) 3.91 64.23 16.43

상기 표 19의 결과로부터,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비교예에 비해 모발 광택이 유의성 있게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9] 지방세포 분화 촉진 효과 확인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hBM-MSCs)를 론자사(Lonza, Inc. Walkersbille, MD, USA)에서 구입하여 론자사의 지침서에 따라 배양하였다. 지방세포 분화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대신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TRO)을 사용하여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점을 제외하고는 론자사에서 권장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간엽줄기세포의 배양액에 인슐린 1g/ml,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A) 1M, 이소부틸메틸잔틴(isobutylmethylxanthine, IBX) 0.5mM 및 TRO 2M을 넣고 배양하여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켰다. 실험군의 경우, 지방세포 분화 유도시에 실시예 1의 인삼 꽃 추출물, 실시예 2의 인삼씨 오일, 실시예 3의 인삼씨박 추출물,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및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Sigma-aldrich, U.S.A로부터 구입)를 각각 10M 처리 후(10일 동안 이틀 간격으로 처리), 각 10M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유도 10일 후,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인산염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세척한 뒤, 10% 포르말린/PBS 용액 0.2ml/cm 2 을 사용하여 세포를 10분간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60% 이소프로판올 용액 0.5ml/cm 2 로 1회 세척하고, 오일레드오(Oil Red O)를 60% 이소프로판올에 녹인 염색액을 0.2ml/cm 2 로 10분간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를 염색하였다. 염색된 오일레드오를 100% 이소프로판올 용액으로 용출시킨 후, 50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0에 나타내었다. 각 데이터 값은 IDX (-) 음성 대조군으로 보정하였다.

표 20

처리군 Oil Red 상대적 염색 비율 비교예 1.00 실시예 1 (인삼 꽃 추출물) 2.18 실시예 2 (인삼씨 오일) 2.74 실시예 3 (인삼씨박 추출물) 1.75

상기 표 2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삼 꽃 추출물 및 인삼씨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P value < 0.01).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고자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표 21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 0.1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표 22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Montana 202 (제조사:Seppic)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3] 마사지크림

표 23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Montana 202 (제조사:Seppic)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4] 팩

표 24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인삼 꽃 추출물 또는 인삼씨 추출물 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