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FOLDABLE BOWL FOR INSTANT NOODLE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096716
Kind Code:
A2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bowl for instant nood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bowl which can be folded together with its contents. Conventional collapsible bowls for instant noodles are made by spreading and forming into a firm bowl shape by pushing a support ring in an upward direction. Such conventional collapsible bowls are inconvenient since they require an upward push of the support ring after spreading the bowl. The foldable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need for a support ring as in conventional collapsible bowls, and has a second sub-outer wall which functions as a support ring. Therefore, the foldable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since its formation requires only a spreading step. Further, the foldable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ease of spreading action and improves stiffness of the bowl.

Inventors:
HWANG, Kapsoon (498-7 Bugang 12-ri,Buyong-myeon, Cheongwon-gun, Chungcheongbuk-do 363-942,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434
Publication Date:
August 06, 2009
Filing Date:
January 29,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HWANG, Kapsoon (498-7 Bugang 12-ri,Buyong-myeon, Cheongwon-gun, Chungcheongbuk-do 363-942, KR)
International Classes:
B65D81/34; B65D3/22; B65D21/08
Foreign References:
KR200248369Y12001-10-31
JPS5553735U1980-04-11
KR200317268Y12003-06-25
Download PDF:
Claims: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어서,

내부 컵의 옆면(30)을 하부(10)로부터 상부(20)로 제1부(1), 제2부(2)로 구분,

상기 제2부(2)를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어서 용기의 부피가 축소된 내부 컵과,

상기 제2하부(21)는 가변부이고,

제1부(1)에 부착된 제1부외벽(11)과,

제2상부(22)에 부착된 제2부외벽(200),

상기 제2부외벽(200)은 하부에 절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컵의 제1부(1)의 벽의 두께가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
제2항에 있어서, 내부 컵의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되어, 제1부(1)의 벽의 두께가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
제1항에 있어서, 제2하부(21)에 가변수단으로 주름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어서,

내부 컵의 옆면(30)을 하부(10)로부터 상부(20)로 제1부(1), 제2부(2)로 구분,

상기 제2부(2)를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어서 용기의 부피가 축소된 내부 컵과,

상기 제2하부(21)는 가변부이고,

제1부(1)에 부착된 제1부외벽(11)과,

2상부(22)에 부착된 제2부외벽(200),

상기 제1부외벽(11)에 신축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

제6항에 있어서, 제1부외벽(11)에 절개선을 구성하여 신축성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
제6항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어서,

내부 컵의 옆면(30)을 하부(10)로부터 상부(20)로 제1부(1), 제2부(2)로 구분,

상기 제2부(2)를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어서 용기의 부피가 축소된 내부 컵과,

상기 제2하부(21)는 가변부이고,

제1부(1)에 부착된 제1부외벽(11)과,

제2상부(22)에 부착된 제2부외벽(200),

상기 내부 컵의 제1부(1)의 벽의 두께가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

제9항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내부 컵의 옆면을, 제1부(1), 제2상부(22), 제2하부(21)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는 단계,

제2하부(21)에 가변수단을 구비하는 단계,

제1부외벽(11)을 제작하는 단계,

절개선이 있는 제2부외벽(200)을 제작하는 단계,

제1부외벽(11)을 제1부(1)에 부착하는 단계,

제2부외벽(200)을 제2상부(22)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제11항에 있어서, 내부 컵의 옆면의 제1부(1)의 벽 두께를,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제12항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제조방법.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접이식 컵라면용기 및 제조방법

본 발명은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담고 있는 용기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는 컵과 그 외벽 및 내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컵라면 용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면(50)이 있으며 상부(20)가 하부(10)보다 넓고 상부(20)와 하부(10) 사이에 옆면(30)(이하 '내벽'(30)이라 함)이 있는 원뿔대 형태의 종이컵이며, 내벽(30) 둘레에 또 다른 옆면(40)(이하 '외벽'(40)이라 함)을 부착하여 용기의 옆면이 이중으로 되어 있고, 내벽(30)과 외벽(4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온수를 부었을 때 단열 및 보온의 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내부에 건조라면(70)과 스프(80)를 내장하고 상부에 뚜껑(60)을 덮어 놓았다.

또한, [문헌3]의 공고된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종이컵의 옆면(30)을 하부(10)로부터 상부(20)로 제1부(1),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어서 용기의 부피가 축소되며, 상기 제1부(1) 및 제2상부(22)에는 제1부외벽(11)과 제2상부외벽(221)이 각각 부착되어 있고, 제2하부(21)는 가로로 주름이 있으며, 제1부외벽(11) 둘레에 제2부지지링(201)이 삽입되어 있고, 제2부지지링(201)에는 세로로 주름이 있으며, 내부에 내용물이 내장되어 있다.

사용 시에는, 상부와 하부를 잡아당겨 접혀진 컵라면용기를 펼치고, 또 다시 제2부지지링(201)을 밀어 올려 제2하부(21)를 지지하여 견고한 용기로 사용한다. 즉, 용기를 펼친 후 지지링을 체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내벽의 두께가 두꺼우면 용기가 잘 펼쳐지지 않고, 얇으면 용기는 잘 펼쳐지나, 사용 시, 내벽이 온수 및 외부 충격에 약한 약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는, 제조 시 제1부외벽 제조단계, 제2상부외벽 제조단계, 내부 종이컵을 접는 단계뿐만 아니라, 제2부지지링(201) 제조 단계 등을 거쳐야 한다. 특히, 제2부지지링(201)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조 장치가 필요하다.

만일, 상기 제2부지지링(201)이 필요 없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설계한다면, 용기제조 단계가 보다 단순해지고, 제조비용 또한 보다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 시, 제2부지지링(201)을 체결해야하는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KR 20-214218 (일회용 접이컵) 2000. 12. 08.

[문헌2] KR 20-248369 (접이식 컵라면 용기) 2001. 09. 17.

[문헌3] KR 10-533774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2005. 11. 30.

[문헌4] KR 10-2007-0031358 (지지링 고정수단이 구비된 외벽과 지지링과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2007. 03. 19.

본 발명에서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구성에서 제2부지지링(201)을 제거하고, 도13, 도14, 도15 등에 도시한 제2부외벽(200)이, 도2 및 도3의 제2상부외벽(221)과 제2부지지링(201)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2부외벽(200)이 , 제2상부(22)의 외벽 뿐만아니라, 제2하부(21)를 지지하는 , 종래의 제2부지지링(201)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시 용기를 한 번만 펼쳐서 사용 가능하게 한다.

이는 종래에, 사용 시, 접혀진 컵라면 용기를 상하로 당겨서 펼친 후, 별도로 제2부지지링(201)을 밀어 올려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내벽의 두께를 제1부(1)와 제2부(2)가 다르게 구성하는 것과, 제2부외벽(200)에 신축성을 구현하는 것과, 제1부외벽(11)에 신축성을 구현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부가함으로써 보다 사용이 편리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실현 한다.

또한, 상기 제조된 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내장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컵라면 용기를 포개 접어서 축소시키고 사용 시에는 펼쳐서 종래의 컵라면 용기와 다름없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어서, 사용 시 잘 펼쳐지고 외부의 힘에 잘 견디는 견고성, 그리고 보온 및 단열 효과가 있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재질의 선택은 종이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하의 설명이 재질 선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종이 이외의 재질을 선택하여도, 예를 들면 플라스틱류 등, 그 구성과 작용이 본 발명과 동등하다면 본 발명의 사상임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어서,

내부 컵의 옆면(30)(이하 내벽이라 함.)을 하부(10)로부터 상부(20)로 제1부(1), 제2부(2)로 구분,

상기 제2부(2)를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어서 용기의 부피가 축소되고,

상기 제2하부(21)는 가변부이고,

상기 제1부(1)에 제1부외벽(11)이 부착되고,

상기 제2상부(22)에 제2부외벽(20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공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에 있어서, 내벽의 두께를 제1부(1)와 제2부(2)가 다르게 구성하는 것과, 제2부외벽(200)에 신축성을 구현하는 것과, 제1부외벽(11)에 신축성을 구현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부가함으로써 보다 사용이 편리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실현 한다.

또한, 제2부외벽(200)은, 용기를 펼칠 시, 그 하부가 상기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걸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는, 온수를 수용해야함으로 내벽에 내수성을 부여하는 것은 당연한 사항이다. 내수성의 부여는, 재질이 종이인 경우, 일반적으로 PE(Polyethylene) 코팅을 함으로써 달성되고 있다. 내벽의 재질을 종이로 하면, 고온에서 변형되지 않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견고성은, 내벽 보다 외벽이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용기는 접혀진 상태에서 펼칠 때, 잘 펼쳐지게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내벽은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기능이 잘 수행 될 수 있도록 재질 및 기술적 사항을 부과해야 한다. 물론 재질이 종이인 경우, 그 두께가 얇을수록 잘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으나, 너무 얇으면 사용 시 온수 및 외부 충격에 찢어지는 등 훼손될 수 있고, 도1에 도시한, 종래의 컵라면용기의 내벽의 두께(0.3~0.6mm)정도로 내벽을 구성한 경우, 가로로 주름을 넣어 가변수단을 구성하여도, 사용 시, 접혀진 용기가 잘 펼쳐지지 않는다.

따라서, 내벽의 두께는 상기 종래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외부영향(온수 및 외부충격 등)에 보다 견고한 내벽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벽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내벽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구성할 경우, 내부 컵의 제1부(1)의 내벽의 두께를, 제2부(2)보다 두껍게 하고, 가변수단이 있는 제2부(2)의 내벽의 두께는 제1부(1)보다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사용 시, 용기가 잘 펼쳐지면서 외부영향에는 강한 내부 컵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도28과 같이 제1부(1)의 벽의 일부분을 제2부(2)보다 두껍게 하여도 외부영향에 강한 내부 컵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내벽(30)의 벽 두께를 제1부(1)가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외부영향에 강한 내부 컵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내벽(30)의 벽 두께를 제1부(1)가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하는 기술적 사항은, 도7에 도시한 제1부(1)에 부착할 옆면(111)(이하 '보조내벽'(111)이라함)의 전개도면의 외형선을 절취하여 제1부(1)에 부착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도17에, 상기 보조내벽(111)이 부착되고 옆면이 포개어 접혀진 내벽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제1부(1)의 내벽 둘레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되어 그 두께가 제2부(2) 보다 두껍다. 이는 사용 시, 온수 및 외부 충격에 강한 내벽을 구현하게 한다. 또한, 가변수단이 있는 제2부(2)는 제1부(1)보다 그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쉽게 가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벽(30)의 벽 두께를 제1부(1)가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꺼운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2 및 도3에 도시한,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용기는 제2상부(22)에 제2상부외벽(221)을 부착하고, 제2부지지링(201)을 별도로 구성하여, 사용 시 용기를 펼친 후, 또 다시 제2부지지링(201)을 위로 밀어 올려서 제2하부(21)에 체결함으로써, 제2하부(21)를 지지 및 보호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부외벽(200)은, 종래의 제2상부외벽(221)과 제2부지지링(201)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던 것을 일체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부외벽(200)은 종래의 제2상부외벽(221)과 제2부지지링(201)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며, 용기를 펼치면, 제2부외벽(200)에 의하여 제2하부(21)가 지지 및 보호된다. 즉,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는, 사용 시, 접혀진 상태에서 한 번 상하로 당겨 펼침으로써 용기가 완성되는 것이다.

도13 및 도14에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사용 시 상부와 하부를 잡아당기면,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하부(21)의 가변부에 의해 용기가 쉽게 펼쳐지고, 제2부외벽(200)의 하부가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걸쳐져서 컵라면 용기로 사용가능하다.

한편, 사용 시, 용기를 펼쳤을 때 상부의 누르는 힘에 잘 견디는 용기의 구현이 요구될 경우에는, 도31 및 도34의 점선부분 상세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부외벽(200)의 하단과 제1부외벽(11)의 상단이 일치하여, 제2부외벽(200)과 제1부외벽(11)이 일직선을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펼쳐진 용기의 제2부외벽(200)과 제1부외벽(11)이 일직선을 이루기 위해서는, 도31 및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의 하단의 내부직경이, 제1부외벽(11) 상단의 외부직경 보다, 상기 상단의 접혀진 두께(d)의 2배 만큼 작게 설계되어야 하고, 이 경우 제2부외벽(200)을 상향시켜 용기를 펼치기 위해서는, 제1부외벽(11)의 상부둘레를 상기 두께(d) 만큼 내부로 변형시켜야 한다. 이는 용기를 펼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하고, 용기를 펼칠 시, 용기가 변형 및 파손될 수 있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제2부외벽(200)을 그 하부가, 수평방향으로 다소 신축성을 갖도록 하면 된다. 그러면 용기를 펼칠 시, 상기 신축성으로 인하여 제2부외벽(200)의 하부가, 제1부외벽(11)의 상부를 통과 할 때, 상부로 당기는 약한 외력에도, 상기 두께(d) 만큼 벌어짐으로, 제1부외벽(11)의 상단으로 쉽게 빠져 올라올 수 있고, 재질이 가진 탄성에 따른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제2부외벽(200)과 제1부외벽(11)이 일직선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신축성에 대한 기술적 사항은, 제2부외벽(200)의 하부에 부분적인 절개선(100)을 구성하는 것이다. 용기를 펼칠 시, 도32 및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의 하부가, 제1부외벽(11)의 상부를 통과할 때, 상기 절개선(100)이 있음으로 외향으로 용이하게 변형이 되고(즉, 절개선(100)으로 인하여 제2부외벽(200)의 하단 둘레의 장력이 제거되므로.), 따라서 제1부외벽(11)의 상단으로 쉽게 빠져 올라온 후 본 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절개선(100)은 도29의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에서 외형선 절취 시 함께 절개하면 되므로 그 실현이 간편하다.

한편, 상기 절개선(100)은, 도29의 점선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를 만곡부(또는 원형)(100)으로 구성하면, 사용 시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에 신축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외벽(200)에 신축성이 있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제1부외벽(11)이 신축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내벽의 제2상부(22)에는 신축성이 없는 제2부외벽(200)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부외벽(11)을 그 상부가, 수평방향으로 다소 신축성을 갖도록 하면 된다. 상기 신축성은,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부분적인 절개선(101)을 구성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그러면 용기를 펼칠 시, 상기 신축성으로 인하여 제2부외벽(200)의 하부가, 제1부외벽(11)의 상부를 통과 할 때, 약한 외력에도, 도33,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외벽(11)의 상부의 반경이 상기 두께(d) 만큼 수축됨(내향으로 약간 변형이 됨.)으로, 제2부외벽(200)의 하단이 제1부외벽(11)의 상단으로 쉽게 빠져 올라올 수 있고, 제1부외벽(11)의 상단은 재질이 가진 탄성에 따른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제2부외벽(200)과 제1부외벽(11)이 일직선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개선(101)은, 도41의 제1부외벽(11)의 전개도에서 외형선 절취 시 함께 절개하면 되므로 그 실현이 간편하며, 점선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를 만곡부(101')로 구성하면, 사용 시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부외벽(11)에 신축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외벽(11)에 신축성이 있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된, 각각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 내부에 내용물(건조라면, 누릉지, 떡국용 떡 등)을 내장하고 뚜껑을 덮으면 내용물이 내장된 접이식 컵라면용기가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제조는,

내부 컵의 옆면을, 제1부(1), 제2상부(22), 제2하부(21)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는 단계,

제2하부(21)에 가변수단을 구비하는 단계,

제1부외벽(11)을 제작하는 단계,

제2부외벽(200)을 제작하는 단계,

제1부외벽(11)을 제1부(1)에 부착하는 단계,

제2부외벽(200)을 제2상부(22)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이다.

상기 제조방법에, 내부 컵의 옆면의 제1부(1)의 벽 두께를,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면, 용기가 잘 펼쳐지면서 외부영향에는 강한 내부 컵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2부외벽(200)의 제작 단계에서, 상기외벽(200)에 신축성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신축성은 제2부외벽(200)의 하부에 부분적인 절개선(100)을 구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가능하다.

또한, 제2부외벽(200)에 신축성을 구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부외벽(11)의 제작 단계에서, 상기외벽(11)에 신축성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신축성은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부분적인 절개선(101)을 구성하여 그 실현이 가능하다.

상기 제조된 컵라면 용기의 내부에 내용물(건조라면(70), 스프(80)등과 유사한 식품, 예를 들면, 떡국용 떡, 누릉지 등 )을 내장하고 뚜껑(60)을 덮으면, 내용물이 내장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제2부지지링(201) 제조단계 및 상기 지지링(201) 삽입단계를 제거하였으며, 따라서 제2부지지링(201) 제조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내부 컵의 제1부(1)의 벽 두께를 제2부(2)보다 두껍게 하는 단계를 추가할 경우에도, 이는 공정이 단순함으로, 전체 제조공정은 종래보다 단순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은,

첫째,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 (이하 '용기'라함.) 보다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즉, 종래에는 사용 시, 용기를 한 번 펼친 후, 또다시 제2부지지링(201)을 밀어 올려서 용기를 견고하게 한 후 사용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를 한 번 펼치면 사용가능한 견고한 용기가 되는 것이다.

둘째, 내부 컵의 옆면의 제1부(1)의 벽 두께를,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한 경우에는, 용기를 펼치기가 종래의 용기보다 용이하고, 외부 영향(온수 및 젓가락 사용 등에 따른 외부 충격)에 강한 내벽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첫째와 둘째에 따르면, 종래의 용기보다 소비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용기를 구현할 수 있다.

세째, 제조공정상 단순성의 이득이 있다. 즉, 종래의 제2부지지링(201)을 제작할 필요가 없고, 보조내벽(111)의 제작이 추가되나 이는 제2부지지링(201) 제작 보다 단순함으로, 제조공정이 종래보다 단순해진다.

네째, 제조 시 경제성의 이득이 있다. 즉, 별도의 지지링제조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종래의 용기보다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다섯째, 상술한 세째와 네째의 효과에 따라, 종래의 용기보다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1는 종래의 컵라면 용기의 단면도.

도2는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접혀진 단면도.

도3는 종래의 접이식 컵라면용기를 펼친 단면도.

도4는 제1점선(51)이 있는 내벽의 전개도.

도5는 제1점선(51)과 제2점선(52)이 있는 내벽의 전개도.

도6는 밑면의 전개도.

도7는 보조내벽(111)의 전개도.

도8는 보조내벽(111)의 단면도.

도9는 보조내벽(111)의 사시도.

도10는 제1점선(51)이 있는 내벽의 단면도

도11는 제1점선(51)과 제2점선(52)이 있는 내벽의 단면도

도12는 제1부(1),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포개 접어 부피를 축소한 내벽의 단면도.

도13는 부피가 축소된 내벽에 제1부외벽(11)과 제2부외벽(200)을 부착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14는 상부에 컬링부(190)를 구성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15는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16는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하고 뚜껑을 덮은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17는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 제1부(1), 제2하부(21), 제2상부(22)로 포개 접어 부피를 축소한 내벽의 단면도.

도18는 도17의 내벽에, 제1부외벽(11)과 제2부외벽(200)을 부착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19는 도18에서 상부에 컬링부(190)를 구성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20는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 내부에 내용물을 내장하고 뚜껑을 덮은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21은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단면도.

도22는 제1부외벽(11)의 전개도.

도23는 도22에 따라 제작된, 제1부외벽(11)의 단면도.

도24는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

도25는 도24에 따라 제작된, 제2부외벽(200)의 단면도.

도26는 가로주름틀의 사시도.

도27는 제2하부(21)에 가로주름을 넣는 내부 컵의 단면도.

도28는 제2하부(21)에 가로주름이 구성된 내부 컵의 단면도.

도29는 하부에 절개선(100)이 구성된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

도30는 도29에 따라 제작된 제2부외벽(200)의 부분단면도.

도31는 펼쳐진 용기의 제2부외벽(200)과 제1부외벽(11)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계된 경우, 용기를 펼칠 시, 제2부외벽(200)의 하부가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걸려진 단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32는 하부에 절개선(100)이 구성된 제2부외벽(200)이, 제1부외벽(11)의 상부를 지나면서 외향으로 변형되는, 도 31의 점선부분 상세도.

도33는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절개선(101)이 구성된 경우, 제2부외벽(200)의 하부가 제1부외벽(11)의 상부를 지날 시, 상기 상부가 내향으로 변형되는, 도 31의 점선부분 상세도.

도34는 도31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도면.

도35는 도32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도면.

도36는 도33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도면.

도37는 절개선(100)이 있는 제2부외벽(200)을 부착하고, 내용물을 내장하여 뚜껑(60)을 덮은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도38는 상기 도37에서 뚜껑(60)을 열고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도39는 도37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도면.

도40는 도38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도면.

도41는 상부에 절개선(101)이 있는 제1부외벽(11)의 전개도.

도42는 도41에 따라 제작된, 제1부외벽(11)의 단면도.

도43는 절개선(101)이 있는 제1부외벽(11)을 부착하고, 내용물을 내장하여 뚜껑(60)을 덮은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도44는 상기 도43에서 뚜껑(60)을 열고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45는 도43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부분단도.

도46는 도44에서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의 용기를 펼친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부분단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부(도2a에서 옆면의 하부) 2. 제2부(도2a에서 옆면의 상부)

5,5'. 공기층 10. 하부

20. 상부 11. 제1부외벽.

12, 13, 17 접착면 16.돌출부

14, 15 세로접착면 21. 제2하부.

22. 제2상부. 30.옆면

32. 걸림턱 수용부. 34. 걸림턱.

50. 밑면. 60. 뚜껑.

70. 건조라면 80. 스프

100. 101. 절개선 111. 보조내벽

200. 제2부외벽. 221. 제2상부외벽.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그 재질이 종이를 주요 대상으로 하지만, 본 발명이 그 재질을 종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이하의 설명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내부 컵의 옆면을, 제1부(1), 제2상부(22), 제2하부(21)로 구분하여 제2하부(21)가 하향이 되도록 접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즉, 도4는, 내부 컵의 옆면을, 제1부(1), 제2부(2)로 구분한 전개도이고, 도5는, 상기 제2부(2)를 제2하부(21)와 제2상부(22)로 구분한 전개도이다. 도 5의 옆면의 전개도에서 제1점선(51)과 제2점선(52)을 따라서 제2하부(21)가 하향부가 되도록 옆면을 접고 제1접착부(56)를 제2접착부(57)와 접착한 후, 도6의 밑면(50)의 접착부(53)를 일측으로 구부려서 도 5의 밑면접착부(58)에 부착하면, 도12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옆면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종래의 컵라면 용기 보다 부피가 1/2정도 축소된다.

상기 도4의 전개도의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위의 과정을 거치면, 제1부(1)의 벽의 두께가 제2부(2)보다 두껍게 구성되어 있게 된다.

한편, 도4 및 도5의 전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의 상부에 컬링부를 구성할 부분(17')을 마련해 두고, 필요 시 컬링부(190)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불필요 시 제2부외벽(200)을 부착할 접착부로 이용해도 된다.

제2하부(21)에 가변수단을 구비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상기 가변수단은 주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구성없이, 상부와 하부를 잡아당겨 접혀진 컵이 펼쳐질 정도로 내벽의 두께 또는 재질(비닐, 플라스틱류 등 용이하게 접히거나 굽혀지는 물질)을 선택하여 구성한다면, 내벽의 두께 또는 재질 자체가 가변수단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가변수단으로 주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름은 용기가 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되는데, 가로로 주름을 구성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재질이 종이인 경우에는, 주름과 종이의 두께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수단으로 가로로 주름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가로로 주름을 넣을 수 있는 틀(이하 가로주름틀이라 함)을 이용한다. 도26은 가로주름틀의 사시도이다.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로주름틀(24)과 하부가로주름틀(25) 사이에 제2하부(21)를 끼우고 압착하면, 도28과 같이 제2하부(21)에 가로로 다수의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재질이 종이인 경우에는, 정착제(묽은 풀 같은 물질)를 분무기로 뿜어서 제2하부(21)의 종이에 정착제가 스며들게 한 후 압착하면, 제2하부(21)가 건조된 후 가로주름이 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변수단으로 가로로 주름을 구성하고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를, 도28의 점선부분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제1부외벽(11)을 제작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제1예는, 도22에 도시한 제1부외벽(11)의 전개도에서 외형선을 제거하고 상부와 하부를 점선을 따라 일측으로 접어서, 접혀진 부분을 제1부(11)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면(12)(13)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접착면(12)(13)은 외벽(11)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1부(1)의 벽과 제1부외벽(11) 사이에, 공기층(5)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보온 및 단열 효과를 유발한다. 세로 접착면(14)(15)을 서로 접착하면 도23과 같은 원뿔대 형태의 제1부에 부착할 제1부외벽(11)이 된다.

제2예는 도41에 도시한 제1부외벽(11)의 전개도에서 외형선의 외부와 절개선(101)을 구성하기 위한 외형선의 내부를 제거한 다음, 상부와 하부를 점선을 따라 일측으로 접어서, 접혀진 부분을 제1부(11)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면(12)(13)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접착면(12)(13)은 외벽(11)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1부(1)의 벽과 제1부외벽(11) 사이에, 공기층(5)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보온 및 단열 효과를 유발한다. 세로 접착면(14)(15)을 서로 접착하면 도41과 같은 원뿔대 형태의 제1부에 부착할 제1부외벽(11)이 되고, 상부에는 절개선(101)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다소 신축성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예에서, 절개선(101)은, 도41의 점선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를 만곡부(101')로 구성하면, 사용 시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부외벽(200)을 제작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제1예는, 도24에 도시한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에서 외형선을 제거하고 상부 접착면(17)(17')은 제2상부(22)에 부착하기위한 접착면으로 이용하고, 접착면(17)의 상부(17')는 제2상부(22)에 접착한 후 외측으로 말아서, 필요 시 컬링부(190)를 구성할 부분이다.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의 하부는 점선을 따라 일측으로 접어서 돌출부(16)를 구성함으로써, 도15, 도38, 도4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를 펼쳤을 때, 공기층(5')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보온 및 단열 효과를 유발하도록 한다. 세로 접착면(14)(15)을 서로 접착하면 도25와 같은 원뿔대 형태의 제2상부에 부착할 제2부외벽(200)이 된다.

한편, 제2부외벽(200)에 신축성을 주어, 용기를 펼칠 시 펼침을 용이하게 하고, 제1부외벽(11)의 상단과 제2부외벽(200)의 하단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여, 상부의 누르는 힘에 대한 제2부외벽(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성의 구현하는 수단은, 제2부외벽(200)의 하부에 부분적인 절개선(100)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예의 제2부외벽(200)의 전개도인 도24를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선(100)을 추가하고 상기 제1예와 동일한 과정을 실현하면,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절개선(100)이 있는 제2부외벽(200)이 된다. 상기 하부는, 용기를 펼칠 시, 다소의 신축성을 갖게 된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제작 장치가 필요치 않으므로 제작의 간편성을 더할 수 있다. 상기 절개선(100)은 세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벽면을 따라 비스듬히 구성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 절개선(100)은, 도29의 점선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를 만곡부(또는 원형)(100)으로 구성하면, 사용 시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부외벽(11)을 제1부(1)에 부착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즉, 도23, 도42와 같이 제작된 제1부외벽(11)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면(12)(13)을 이용하여 제1부(1)에 부착하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1)의 벽과 제1부외벽(11)사이에 공기층(5)이 형성되며 제1부외벽(11)이 부착된다.(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에는, 도18과 같이 보조내벽(111)의 벽과 제1부외벽(11)사이에 공기층(5)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층은 사용 시 보온 및 단열효과를 있게 한다.

제2부외벽(200)을 제2상부(22)에 부착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25와 같이, 신축성이 구현되지 않은 제2부외벽(200)을 선택하여, 접착면(17)(17')을 이용하여 제2상부(22)에 부착시키면, 도13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이 부착된다.

제2부외벽(200)으로 도25를 선택하여 부착하는 경우는, 제1부외벽(11)으로 도23 또는 도42의 것 중 어느 하나가 제1부(1)에 부착되도록 하되, 도42의 것을 부착하는 것이, 도44, 도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선(101)이 있어 용기를 펼치기가 용이하므로 더 바람직하다.

둘째, 도30과 같이 제작된 제2부외벽(200)을 선택하여, 접착면(17)(17')을 이용하여 제2상부(22)에 부착시키면, 도13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외벽(200)이 부착되고, 도37및 도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벽(200)의 하부에는 절개선(100)이 있으므로 다소 신축성이 있게 된다.

사용 시 용기를 펼치면, 제2부외벽(200)하부의 돌출부(16)는 내부 컵의 벽과 제2부외벽(200) 사이에, 공기층(5')이 형성되도록 하여 보온 단열의 효과가 있게 한다.

상술한 단계를 거쳐서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 용기가 제조된다.

한편, 상기 제조방법에, 내부 컵의 옆면의 제1부(1)의 벽 두께를,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면, 가변수단이 있는 제2부(2)를 제1부(1)보다 그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용기가 잘 펼쳐지면서, 온수가 주로 수용되는 제1부(1)는 그 두께가 제2부(2)보다 두껍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외부영향에 강한 내부 컵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컵의 옆면의 제1부(1)의 벽 두께를,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도7에 도시한 보조내벽(111)의 전개도의 외형선을 절취한 후, 도4에 도시한 내부 컵의 옆면의 전개도의 제1부(1)에 부착시키면 된다. 그러면, 제1부(1)의 벽 두께가 적어도 일부분 제2부(2)보다 두껍게 되어 있는 옆면의 전개도가 되고, 다음으로 옆면을 포개어 접으면, 당연히 제1부(1)의 벽 두께가 제2부(2)보다 두꺼운 내부 컵이 된다.

또 다른 방법은, 도7에 도시한 보조내벽(111)의 전개도의 외형선을 절취한 후, 접착부(58)(59)를 접착하여 도8 및 도9와 같이 원뿔대 형태의 보조내벽(111)을 완성한 다음, 도12의 접혀진 옆면(30)의 제1부(1)에 부착하여도 된다. 도17은 옆면(30)이 포개어 접혀진 내벽의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을 부착한 단면도이다.

상기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도17과 같은 내부 컵에, 본 발명에 따른 단계를 거쳐서 외벽(11)(200)을 부착하면, 도18, 도19, 도39, 도45 등과 같은,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가 된다.

한편, 재질이 종이인 경우, 도13, 도18과 같이 제2부외벽(200)을 제2상부(22)에 부착한 후, 제2부외벽(200)의 상부(17')를 외측으로 말아서, 도14, 도19에 도시한 컬링부(190)를 구성함으로써 용기를 견고하게 하고, 사용 시 용기의 상단이 액체에 젖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내부 종이컵의 상부(17')와 제2부외벽(200)의 상부(17')를 접착한 후 외측으로 말아서 컬링부(190)를 구성하면, 내벽과 외벽이 일체가 되어 컬링부가 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용기가 된다.

상기 제조된 컵라면 용기의 내부에 내용물(건조라면(70), 스프(80)등과 유사한 식품, 예를 들면, 떡국용 떡, 누릉지 등 )을 내장하고 뚜껑(60)을 덮으면, 내용물이 내장된 접이식 컵라면 용기가 되는 것이다. 도37은, 제2부외벽(200)의 하부에 신축성을 구현한 경우, 도43 및 도45는,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신축성을 구현한 경우, 또한 도39와 도45는 제1부(1)에 보조내벽(111)이 부착된 경우, 내용물을 내장한 접이식 컵라면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내용물이 내장된 용기의 경우, 사용 시에는 상부(20)의 뚜껑(60)을 개봉하고 상부(20)와 하부(10)를 잡아당기면, 가변부(21)의 가변수단으로 인하여 용기가 펼쳐지며, 제2부외벽(200)이 제1부외벽(11)의 상부에 걸쳐져서, 견고한 컵라면 용기가 완성이 된다. 특히, 제2부(2)가 제1부(1)보다 두께가 얇게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 시, 용기가 잘 펼쳐진다.

내부에는 건조라면(70)과 수프(80)가 들어 있는 경우 온수를 부어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