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FOLDABLE TAPE CUTTER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15/072739
Kind Code:
A1
Abstract:
A foldable tape cut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a first folding means which is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an adhesion surface of an adhesive tape, and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a cutting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a second folding means located on a body side of the adhesive tape; and a folding space in which the adhesive tape is capable of being folded between the first folding means and the second folding means. Thus, after the adhesive tape is cut with the first folding means, the second folding means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using fingers so as to form a tape handle.

Inventors:
PARK JAE-SANG (KR)
PARK SI-MYEONG (KR)
PARK SI-BEOM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0844
Publication Date:
May 21, 2015
Filing Date:
November 12, 2014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PARK JAE-SANG (KR)
International Classes:
B65H35/07; B65H23/12
Foreign References:
JP2004083275A2004-03-18
JPH0733310A1995-02-03
JP2006289599A2006-10-26
JPH06199463A1994-07-19
KR20130109682A2013-10-08
Download PDF: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접착테이프의 접착면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접착테이프 절단면과 위치하는 제 1 접이수단과, 상기 접착테이프 몸체 쪽과 위치하는 제 2 접이수단 및 상기 제 1 접이수단 및 상기 제 2 접이수단사이에서 상기 접착테이프가 접어질 수 있는 공간 인 접이공간으로 구성된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공간 내에서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 기.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 사이에 상기 접이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게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을 일체형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제 1 접이수단의 한 면은 상기 접착테이프를 자르기 위해 상기 제 1 접착 면에 절단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과 사이에 상기 접이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이 분리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 사이에 상기 접이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스프링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은 상기 접착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 는 제 1부착 면과 제 2 부착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은 스프링을 결합할 수 있도록 각각 제 1 결합 함부와 제 2 결합 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 기.

【청구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이수단은 상기 제 1 접이수단을 조립할 수 있도록 체결 홈을 가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10】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면이 형성되는 제 1 접이수단;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상기 접착테이 프를 고정시키는 제 2 접이수단;

상기 제 1 접이수단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접이수단이 상기 제 2 접이수단과 가 까워질수록 윗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테이프가 볼록하게 상승하도록 유도하는 유도수단;

을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111

제 10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유도수단의 타단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접이수단 또는 상기 제 2 접이수단에 체결되어 상기 유도수단이 상하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가이드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단은 상기 제 1 접이수단이 상기 제 2 접이수단에 가까워질수록 상 기 유도수단의 타단을 상승시키고, 상기 제 1 접이수단이 상기 제 2 접이수단과 일정 한 간격을 유지하면, 상기 유도수단의 타단을 하강시켜서 상기 제 1 접이수단에 접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수단의 일단은 상기 제 1. 접이수단에 체결되어 일정한 각도 사이에 서 동작하고, 상기 유도수단의 타단은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접하거나 분리되도록 상하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14]

제 10 항에 있어서 , ― ' 상기 제 1 접이수단의 높이와 상기 제 2 접이수단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15】

제 10 항에 있어서 , ·

상기 제 1 접이수단의 상단에는 상기 제 2 접이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점진적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상승하는 제 1 상승돌출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이수단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접이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점진적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상승하는 제 2 상승돌출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 사이인 상기 접이공간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튜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

【청구항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수단은 탄성력과 반발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접이식 테이프 커티기.

【청구항 18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수단은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는 동안 저장공간에 공기를 흡입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 1 접이수단이 상기 제 2 접이수단을 향해 이동하여 간격을 줄이는 동안에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공 기를 출입공간을 통해 배출시켜 상기 게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 사이에 배 치되는 상기 접착테이프를 볼록하게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상기 제 2 접이수단 사이에 배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제 1 접이수단에 체결되고, 상기 제 2 접이수단에 체결되면서, '형상으로 형성되는 힌 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ᅳ

【청구항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탄성력과 반발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

【청구항 21]

접착테이프를 착탈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을 절단하는 제 1 절단수단과 상기 제 1 절단수단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착테이프의 절단면을 절단하는 제 2 절단수단이 형성되는 게 1 접이수단;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 1 접이수단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 격되어 배치되면서, 상기 접착테이프를 고정시키는 제 2 접이수단;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게 1 접이수단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절단수단에 접하도록 동작하면서 상기 접착테이프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누름수단;

을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22]

제 21 항에 있어세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는 반대 측의 하단에 상기 접착테이프 를 누르면서 상기 제 2 절단수단과 접하도록 아랫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 되는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올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는 반대 측에 상기 접착테이프를 절단 하는 제 3 절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은 하우징과 누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오픈되도록 형성되 고, 내부에는 탄성 물질로 형성되는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누름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 프링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25】

거 124 항에 있어서 ,

상기 누름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절단테이프를 절단하는 상기 제 3 절단수단;

타단의 하단에는 상기 접착테이프를 누르면서 상기 제 2 절단수단과 접하도톡 아랫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완층수단 및

타단의 상단에는 상기 누름부재를 누르는 동안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누름 부재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상 단에는 상기 고정홀에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27】

제 25 항에 있어서 ,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길이조절홀이 형성되 고, 상기 길이조절홀의 측면은 물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재의 길이를 제 어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청구항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길이조절홀에 체결되면서 상기 누름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올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 터기.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테이프 커터기로 접착테이프를 절단했을 때 커터기로 절단면 부분을 접을수 없다.

박스에 부착시킨 접착테이프 끝부분이 박스 면에 밀착되므로 개봉 시 접착 테이프를 뜯어 내기가 어렵고 불편해서 칼이나 기타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불편하지 않고 테이프를 쉽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부착된 테이프 한 부분을 접어서 손잡이가 만들어질 수 있도톡 하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가 요구된다.

한편 손잡이를 형성하도록 하는 선행문헌들이 일본 공개실용신안 1995- 000968 {접착 테이프 커터 }, 일본 등톡특허 3858178 {점착 테이프 커터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58418 {테이프 접힘 기능을 갖는 테이프 커터기 }, 대한민국 등록특 허 10-0853867 {단부 접이식 테이프 절단기 } 등이 있으나, 이러한 선행문헌들은 구 성이 복잡하고, 동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공개실용신안 1995-000968 {접착 테이프 커터 }

(특허문헌 2) 일본 등록특허 3858178 {점착 테이프 커터 }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1으 1358418 {테이프 접힘 기능을 갖는 테이 프 커터기}

(특허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53867 {단부 접이식 테이프 절단기 }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접착테이프를 종래의 커터로 테이프를 잘랐을 경우에 커터를 통 해서가 아니라 손으로 절단된 테이프 면을 접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손 쉽게 테이프 절단면에 손잡이를 만들 수 있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술적 해결방법】

접착테이프의 접착면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접착테이프 절단면과 접촉되는 제 1 접촉 수단과, 상기 접착테이프 몸체 쪽과 접촉하는 제 2 접촉 수단 사이에 접이 공간을 형성하고 테이프를 절단하게 된다면 상기 제 1 접촉 수단 및 제 2 접촉 수단 사이에서 상기 접착테이프가 접어질 수 있는 거리가 생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 접 착 수단과 제 2 접착 수단에 부착된 접착테이프를 상기 접이공간만큼 상호 이동 시 킨다면 접착테이프는 상기 접이공간의 1/2 거리에서 서로 접어지게 된다. 이 때 엄 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상기 접어진 테이프를 서로 압착시킨다면 손잡이가 생성되게 된다ᅳ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의 제조 방법과 테이프 손잡이 만드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테이프의 절단면을 커터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을 수 있어 손으로 절단된 테이프 면을 접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절단하는 동시에 절단면의 일부를 용이하게 접음으로써 편리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게 1 접이수단 및 제 2 접이수단 사이에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접이수단과 제 2 접이수단을 일체 형으로 제작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분해도,

亡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테이프 손잡이가 만들어진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의 정면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의 동작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ᄑ 커터기의 동작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 ΧΓ 커터기의 정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 3Χ 커터기의 동작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 2Χ 커터기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 3Χ 커터기의 동작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 5Χ 커터기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의 동작도. 도 17은 본 .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의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의 동작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름수단의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름수단의 정면도.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 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에 대해 상세 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접 이식 테이프 커터기는 제 1 접이수단 ( 100), 제 2 접이수단 (200), 접이공간 (300), 원 형 접착테이프 (500)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 (400)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제 1 접이수단 ( 100)은 접착테이프 (500)가 절단되는 수단이다.

접착테이프 (500)가 원활히 절단될 수 있도록 절단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러한 절단수단은 톱날 형태 ( 120)나 날카로운 칼날의 절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 시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 면을 부착시킴으로써 접착테이 프 (500)의 손잡이를 만들기 위해 접이공간 (300) 내에서 원활히 테이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 1 접촉면 ( 110)을 가진다.

제 2 접이수단 (200)은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 면을 부착시켜 미끄러짐을 방 지하고, 접이공간 (300) 내에서 원활히 접착테이프 (5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접착 테이프 (500)가 접착되는 제 2 접촉면 (210)을 가진다.

제 1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 사이에는 접이공간 (300)이 형성된 다.

접이공간 (300)은 절단 후에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가 만들어지는 공간이 다.

제 1 접이수단 ( 100)으로 접착테이프 (500)를 절단 후, 제 1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을 서로 맞닿았을 때까지 밀착 시켰을 때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 이가 만들어 질 수 있는 공간이다.

제 1 접이수단과 제 2 접이수단 사이에 접이공간 (300)을 형성하기 위해서 거 U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을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제 1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을 밀착 이동 시에 부러지지 않도록 탄성 있는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 사이에 접이공간 (300)을 형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제 1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을 분리해서 제작 후에 제 1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 사이에 스프링 (410)을 장착한다. 제 1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 사이에 접이공간 (300)을 형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제 1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을 판스프링과 같 은 탄성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만드는 방법도 가능하다.

제 1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 사이에 접이공간 (300)을 형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제 1 접이수단 ( 100)을 판스프링과 같은 재질로 분리해서 제작 후에 제 2 접이수단 (200)에 조립함으로써 가능하다.

제 1 접이수단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사이의 접이공간 (300)의 길이는 접착 테이프 (500)의 손잡이의 크기에 따라 비례해서 결정할 수 있다. 즉,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의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제 1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 사이의 거리를 넓게 확보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접착테이프 (500) 손잡이의 접어지는 최대 길이는 접이공간 (300)의 1/2가 됨 을 알 수 있다.

도 2는 제 1 접이수단 ( 100)을 제 2 접이수단 (200)과 분리해서 제작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접이공간 (400) 내에서 제 1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이 층분히 이 동할 수 있고, 이동 후 두 수단이 원래의 자리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스 프링 (410)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스프링 (410)을 사용하지 않고 제작할 경우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제 1 접이수단 (100)을 탄성 있는 판스프링과 같은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도 3은 제 1 접이수단 (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을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경우 의 한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이 있고 부러지지 않는 재질로 제작할 경우에는 별도의 스프링 (410)이 없이도 가능하다.

도 4는 제 1 접이수단 (100)을 제 2 접이수단 (200)을 분리해서 제작하는 경우의 한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도이다.

제 2 접이수단 (200)은 스프링 (410)을 조립할 수 있는 제 2 조립함부 (220)와 제 1 접이수단 ( 100)을 체결할 수 있는 체결 홈 (230)을 가진다. 또한 제 1 접이수단 (100)은 스프링 (410)을 조립할 수 있는 제 1 조립 함부 (130)와 체결 홈 (230)과 체결되는 체결 면 (140)으로 구성됨을 나타낸다.

도 5는 제 1 접이수단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에 화살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테이프 손잡이 (500)를 만드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상 각 도면을 통하여 상세한 설명을 토대로 테이프 손잡이 만드는 순서와 과정을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고리 (400)를 테이프 (500) 몸체에 끼운다.

둘째, 테이프를 제 2 접이수단 (200)의 제 2 접착면 (210)에 먼저 닿게 하고 제 1 접이수단 (100)의 제 1 접착 면 (110)에 나증에 닿도록 한다.

셋째, 제 1 접이수단 (100)의 절단수단인 톱날 (120)이나 칼날 또는 외부의 수 단을 사용해서 테이프를 절단한다. 이 때 접착테이프 (500)는 제 1 접착 면 (110)과 제 2 접착 면 (210)에 붙어 있게 된다.

다섯째, 제 1 접이수단 (100)과 제 2 접이수단 (200) 사이를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해 접이공간 (300) 내에서 이동시킨다.

여섯째, 이 때 접착테이프 (500)가 서로 접어짐으로써 접착테이프의 손잡이가 생긴다.

일곱째, 접착테이프의 손잡이를 잡아 당겨 박스를 부착 후에 다시 접착테이 프 (500)를 절단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는 게 1 접이수단 (1101), 제 2 접이수단 (1201) 및 유도수단 (1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접이수단 (1101)은 접착테이프 (500)가 부착되는 제 1 접착면 (1111)과 접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제 1 절단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접이수단 ( 1101)의 제 1 절 단수단은 접착테이프 (500)가 원활하게 절단되도록 롭날 형태나 날카로운 칼날의 절 단면을 가진다.

여기서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이 제 1 접착면 (1111)에 부착됨으로써, 접착 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만들기 위해 접이공간 (1301) 내에서 원활히 접착테이 프 (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접이수단 (1101)은 후술할 제 2 접이수단을 향해 전후로 움직이도록 탄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접이수단 (1201)은 제 1 접이수단 (1101)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 된다. 이러한 제 2 접이수단 (1201)은 고정될 수도 있고 제 1 접이수단 ( 1101)과 같이 제 2 접이수단 (1201)을 향하여 움직이듯이 제 1 접이수단 (1101)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 2 접이수단 (1201)이 제 1 접이수단 (1101)을 향해 움직이거나 제 1 접이수단 (1101)이 게 2 접이수단 (1201)을 향해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제 1 접이수단 (1101)과 제 2 접이수단 (1201)은 접하거나 겹치도록 동작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접이공간 (1301) 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 2 접이수단 (1201)은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과 ^시적 으로 부착될 수 있다. 즉,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은 제 2 접이수단 (1201)에 형성 되는 제 2 접착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이 제 2 접착면에 부착됨으로써, 제 1 접이수단 (1101)이 제 2 접이수단 (1201)을 향해 동작하 는 동안 제 2 접착면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 (500)가 뒤로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 2 접착면 (1211)이 제 2 접이수단 (1201)에 형성됨으로써, 접착테 이프 (500)가 임의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이공 간 (1301) 내에 위치하는 접착테이프 (500)를 제 1 접이수단 (1101)을 향해 이동시키면 서 굴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접착면 (1211)의 접착강도는 제 1 접착면 ( 1111)의 접착강도보다 더 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착테이프 (500)가 절단된 후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가 형성되는 동안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이 제 2 접착면 (1211)에 계속해서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1 접착면 ( 1111)에서는 분리되어야 하기 째문이다.

이에 따라, 거 11 접착면 (1111)은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과 접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해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이공간 (1301)은 게 1 접이수단 (1101)과 제 2 접이수단 (1201)이 소정 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접이공간 ( 1301)에서 제 1 접이수 단 (1101)이 제 2 접이수단 ( 1201)과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층분히 이동할 수 있고, 이 동 후 원래 상태 즉, 원래의 자리로 복원될 수 있다.

상술한 제 1 접이수단 (1101)과 제 2 접이수단 (1201)은 외력에 의해 접이공간의 이격거리가 즐어지도록 서로 상대방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 성될 수 있다.

또는 제 1 접이수단 (1101)과 제 2 접이수단 ( 1201)을 지지하도록 접이공간 (1301) 사이에 탄성체가 구비됨으로써 제 1 접이수단 (1101)과 제 2 접이수단 (1201)이 용이하게 원래의 상태 또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유도수단 (1400)은 제 1 접이수단 (1101)과 접이공간 (1301)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수단 ( 1400)은 제 1 접이수단 (1101)에 형성되는 거 U 절단수단과는 반대 측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유도수단 ( 1400)의 일단은 제 1 절단수단에 가깝게 배치되면서 제 1 접 이수단 ( 1101)에 체결되고, 유도수단 (1400)의 타단은 접이공간 (1301)과 접하는 제 1 접이수단 ( 1101)의 타단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유도수단 (1400)의 일단 은 제 1 접착면 (1111)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면서 힌지를 통해 제 1 접이수단 (1101)에 체결되고, 유도수단 (1400)의 타단은 제 1 절단수단이 형성되는 반대면인 제 1 접착면 (1111)의 타단에 배치되고, 제 1 접착면 ( 1111)의 타단을 감싸면서 형성된다.

즉, 유도수단 (1400)의 일단은 힌지를 통해 제 1 접착면 (1111)에 체결되어 일 정한 각도 내에서 동작하고, 유도수단 (1400)의 타단은 제 1 접착면 (1111) 또는 제 1 접이수단 (1101)과 접하거나 분리되도록 상하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도수단 (1400)의 타단에는 유도수단 (1400)이 상하방향으로 동작하도 록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단 (1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단 ( 1410)은 일 단이 유도수단 (1400)의 타단에 체결되어 일정한 각도 내에서 동작하고, 타단이 겨 U 접이수단 (1101) 또는 제 2 접이수단 (1201)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 이에 따라, 가이드단 (1410)은 제 1 접이수단 (1101)이 제 2 접이수단 (1201)으로 가까워질수록 유도수단 (1400)의 타단을 상승시키도록 동작하고, 제 1 접이수단 (1101)이 제 2 접이수단 (1201)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 유도수단 ( 1400)의 타단을 제 1 접이수단 (1101)에 접하도톡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가이드단 (1410)이 유도수단 (1400)의 타단에 체결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도수단 (14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유도수단 (1400)이 제 1 접이수단 ( 1101)에 접하도록 " ~ ι "자 형상으 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접이수단 ( 1101)과 제 2 접이수단 (1201)이 가까워질수록 접이공간 (1301)에 배치되는 접착테이프 (500)를 윗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이 없다.

또한, 가이드단 ( 1410)의 형상은 유도수단 ( 1400)의 타단에서 가늘고 길게 형 성될 수 있으며, 특히 곡선의 꼬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선의 꼬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접이수단 (1101)과 제 2 접이수단 ( 1201)이 가까워 졌을 때 제 1 접이수단 ( 1101)과 제 2 접이수단 (1201)이 원상태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밀어내는 탄성이 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형성한 후 제 1 접이수단 ( 1101) 또는 제 2 접이수단 (1201)이 빠른 시간 내에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단 (1410)이 체결되는 제 1 접이수단 (1101) 또는 제 2 접이수단 (1201)에는 제 1 접이수단 (1101)과 게 2 접이수단 ( 1201)이 가까워지는 동안 가이드단 (1410)이 하측의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버팀수단 (미도시)을 더 포 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버팀수단 (미도시)이 제 1 접이수단 (1101) 또는 제 2 접이수단 (1201)에 배치됨으로써, 가이드단 (1410)이 제 1 접이수단 ( 1101)과 제 2 접이수단 (1201)이 가까 워지는 동안 가해지는 압력을 견고하게 버티면서 견딜 수 있다.

또한, 게 1 접이수단 ( 1101)과 제 2 접이수단 ( 1201)이 가까워지는 동안 가해지 는 압력이 없어질 경우 더 큰 반발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형성한 후 제 1 접이수단 (1101) 또는 게 2 접이수단 (1201)이 더욱 빠른 시간 내에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단 (1410)은 판스프링과 같은 형상 또는 판스프링과 같이 탄성력 과 반발력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에 대 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8의 (a)는 접착테이프가 제 1 접착면과 제 2 접착면에 부착되어 있는 도면 이다. 즉, 사용자가 접착테이프 (500)를 사용하기 전으로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만들기 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b)는 사용자가 제 1 접이수단 ( 1101) 또는 제 2 접이수단 ( 1201)에 외부 에 압력을 가하여 제 1 접이수단 ( 1101)과 게 2 접이수단 (1201)이 서로 가까워지는 것 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유도수단 (1400)의 타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단 (1410)은 제 1 접이수단 (1101)과 제 2 접이수단 ( 1201)으로 가까워질수톡 유도수단 (1400)의 타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제 1 접이수단 (1101)과 제 2 접이수단 (1201)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동 안 유도수단 ( 1400)의 타단이 상승됨으로써, 접착테이프 (500)를 윗방향으로 용이하 게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이공간 ( 1301)에 떠 있는 접착테이프 (500)가 접이 공간 (1301)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접착테이프 (500)의 손 잡이 (501)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단 (1410)은 탄성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 이 , 가이드단 ( 1410)이 탄성물질을 포함함으로써 , 제 1 접이수단 (1101)과 제 2 접이수 단 (1201)의 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이 되더라도 제 1 접이수단 (1101)과 제 2 접이수 단 (1201)의 압력이 없어지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빠르게 복원될 수 있다. . 도 8의 (c)는 사용자가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형성한 이후 제 1 접이수단 (1101) 또는 제 2 접이수단 ( 1201)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 것을 나타낸 것 이다.

여기서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형성하는 동안 제 1 접착면에 부착 된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은 떨어지고, 제 2 접착면에 부착된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은 계속해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 하게 접착테이프 (500)를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가이드단 (1410)은 접이공간 (1301) 내에 위치하면서 유도수 단 (1400)의 타단에 체결되거나 배치되면서 꼬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 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접이수단 (1101)과 제 2 접이수단 (1201)의 간격 에 따라 유도수단 (1400)의 타단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형상 또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도수단 (1400)은 제 1 접이수단 (1101)의 너비 또는 접착테이프 (500)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를 가지거나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착테이 프 (500)의 너비보다 유도수단 (1400)의 너비가 좁을 경우 제 1 접착면 (1111)에 접착 테이프 (500)의 접착면이 부착되어 접착테이프 (500)가 윗방향으로 유도하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유도수단 (1400)의 너비는 접 착테이프 (500)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를 가지거나 더 넓게 형성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 도 9 및 도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 터기는 제 1 접이수단 (1102)와 제 2 접이수단 (12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접이수단 (1102)은 접착테이프 (500)를 절단하는 수단이다. 이에 대한 자 세한 설명은 앞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접이수단 (1202)은 제 1 접이수단 (1102)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 된다. 여기서 앞에서 이미 설명한 제 2 접이수단 (1202)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 2 접이수단 (1202)은 제 1 접이수단 (1102)과 실질적으로 높이가 다르 도록 형성된다. 즉,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이 접착되는 제 1 접이수단 (1102)의 높이와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이 접착되는 제 2 접이수단 (1202)의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 1 접이수단 U102)이 제 2 접이수단 (1202)으로 이동하는 동안 접착테이 프 (500)가 아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과 닿는 제 1 접이수단 (1102)의 제 1 접 착면과 제 2 접이수단 ( 1202)의 제 2 접착면 간에 높이에 대한 단차 (L)가 발생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높이의 단차 (L)에 의해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가 아랫방향 이 아닌 윗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접착면의 접착강도는 게 1 접착면의 접착강도 보다 더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착테이프 (500)가 절단된 후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가 형성되는 동안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이 제 2 접착면에 계속해서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1 접착면에서는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 1 접착면은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과 접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해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은 제 1 접이수단 ( 1102)의 제 1 접착면과 제 2 접이수단 (1202)의 제 2 접착면 간에 높이에 대한 단차 (L)에 의해 접이공간 (1302) 내 에 형성되는 제 2 접이수단 (1202)의 외부면 일부와 닿을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접이 수단 (1202)의 외부면 일부는 제 1 접착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과 접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해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접이수단 ( 1202)의 외부면 일부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됨으 로써,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과의 접착강도를 낮출 수 있어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에 대 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0의 (a)는 접착테이프 (500)가 제 1 접착면과 제 2 접착면에 부착되어 있는 도면이다. 즉, 사용자가 접착테이프 (500)를 사용하기 전으로 접착테이프 (500)의 손 잡이 (501)를 만들기 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b)는 사용자가 제 1 접이수단 (1102) 또는 제 2 접이수단 (1202)에 외 부에 압력을 가하여 제 1 접이수단 (1102)과 제 2 접이수단 ( 1202)이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을 부착하는 제 1 접이수단 (1102)의 게 1 접착면이 제 2 접이수단 ( 1202)의 제 2 접착면보다 낮게 구성됨 으로써, 접이공간에 형성되던 접착테이프 (500)가 1시〜 3시 방향의 대각형 방향으로 밀리면서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의 (c)는 사용자가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형성한 이후 제 1 접이수단 (1102) 또는 제 2 접이수단 (1202)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 것을 나타낸 것 이다.

여기서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형성하는 동안 제 1 접착면에 부착 된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은 떨어지고, 계 2 접착면에 부착된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은 계속해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 하게 접착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제 2 접이수단 (1202)이 제 1 접이수단 (1102)보다 높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로 제 1 접이수단 ( 1102)이 제 2 접이수단 ( 1202)보다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

또한, 제 3 실시 예에서도 제 2 실시 예에서 언급한 유도수단 등을 구비하여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윗방향으로 용이하게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는 제 1 접이수단 (1103)와 제 2 접이수단 (12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접이수단 (1103)은 접착테이프 (500)를 절단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앞에서 이미 설명한 제 1 접이수단 (1103)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 1 접이수단 ( 1103)은 접착테이프 (500)가 원활하게 절단하는 제 1 절 단수단이 형성되는 반대면에 점진적으로 상승하면서 돌출되는 제 1 상승돌출단 (11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상승돌출단 (1130)은 제 1 절단수단에서 제 2 접이 수단 (1203)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상승돌출단 ( 1130)은 제 1 접이수단 (1103)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접이수단 ( 1103)의 제 1 접착면에 제 1 상승돌출단 ( 1130 )이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게 1 상승돌출단 (1130)이 게 1 접이수단 (1103)과 일체형 또는 체결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 1 접이수단 (1103)이 제 2 접이수단 ( 1203)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접착테이프 (500)를 윗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테이프 (500)가 아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2 접이수단 ( 1203)은 제 1 접이수단 ( 1103)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 된다. 여기서 앞에서 이미 설명한 제 2 접이수단 (1203)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 2 접이수단 ( 1203)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상 승하면서 돌출되는 제 2 상승돌출단 ( 12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상승돌출단 ( 1230)은 제 1 접이수단 ( 1103)을 향해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상승돌출단 ( 1230)이 형성됨으로써, 제 1 접이수단 ( 1103)이 제 2 접이수단 ( 1203)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접착테이프 (500)를 윗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테이프 (500)가 아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상승돌출단 ( 1230)은 제 2 접이수단 ( 1203)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접이수단 ( 1203)의 제 2 접착면에 제 2 상승돌출단 ( 1230)이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에 대 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2의 (a)는 접착테이프 (500)가 제 1 접착면과 제 2 접착면에 부착되어 있는 도면이다. 즉, 사용자가 접착테이프 (500)를 사용하기 전으로 접착테이프 (500)의 손 잡이 (501)를 만들기 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의 (b)는 사용자가 제 1 접이수단 ( 1102) 또는 제 2 접이수단 ( 1202)에 외 부에 압력을 가하여. 제 1 접이수단 ( 1102)과 제 2 접이수단 ( 1202)이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이수단 ( 1103)에 제 1 상승돌출단 ( 1130)이 형성되어 게 2 접이수단 ( 1203)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접착테이프 (500)를 윗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 2 접이수단 ( 1203)에 제 2 상승돌출단 ( 1230)이 형성되어 제 1 접이수단 ( 1103)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접착테이프 (500)를 윗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접이공간 ( 1303)에 형성되던 접착테이프 (500)가 윗방향으 로 밀리면서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의 (c)는 사용자가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를 형성한 이후 제 1 접이 수단 ( 1103) 또는 제 2 접이수단 ( 1203)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형성하는 동안 제 1 접착면에 부착 된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은 떨어지고, 제 2 접착면에 부착된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은 계속해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 하게 접착테이프 (500)를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제 1 접이수단 (1103)에 제 1 상승돌출단 ( 1130)이 형성되고, 제 2 접이 수단 (1203)에 제 2 상승돌출단 ( 1230)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상승돌출단 (1130)와 제 2 상승돌출단 ( 1230) 중 하나만 형성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상승돌출단 (1130)와 제 2 상승돌출단 (1230) 중 하나만 형성만 형성될 경우 제 1 상승돌출단 (1130) 또는 게 2 상승돌출단 (1230)에 의해 게 1 접이수 단 (1103)과 제 2 접이수단 (1203) 간에 높이단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단차 에 의해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가 아랫방향이 아닌 윗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 예에서도 제 2 실시 예에서 언급한 유도수단 등을 구비하여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윗방향으로 용이하게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상승돌출단 ( 1130)은 제 1 접이수단 ( 1103)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도수단 (미도시)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 다. 이와 같이, 유도수단 (미도시)에 게 1 상승돌출단 ( 1130)이 형성되면, 윗방향으로 상승하는 유도수단 (미도시)에 제 1 상승돌출단 (1130)이 형성되어 발생되는 높이단차 까지 더해져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더욱 용이하면서도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는 제 1 접이수단 (1104), 제 2 접이수단 (1204) 및 튜브수단 (1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접이수단 (1104)과 제 2 접이수단 ( 1204)은 앞에서 층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튜브수단 (1500)은 제 1 접이수단 (1104)과 제 2 접이수단 (1204) 사이인 접이공 간 (1304)에 배치된다. 이러한 튜브수단 (1500)은 탄성력과 반발력이 있는 물질로 형 성되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즉, 튜브수 단 (1500)은 풍선형상과 같이, 흡입되는 공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과 저장공 간으로 공기를 흡입하거나 저장공간에 있는 흡입한 공기를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출입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튜브수단 (1500)은 탄성력과 반발력이 있는 물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접이수단 ( 1104)과 제 2 접이수단 (1204)이 동작한 이후에 빠르게 원래의 위치로 복 원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수단 ( 1500)의 내부에는 스프링을 더 포함시켜 탄성력과 반발력을 더욱 강하게 하여 제 1 접이수단 ( 1104)과 제 2 접이수단 ( 1204)이 동작한 이후에 더욱 빠르게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도 14의 (a)는 접착테이프 (500)가 제 1 접착면과 제 2 접착면에 부착되어 있는 도면이다. 즉 사용자가 접착테이프 (500)를 사용하기 전으로 접착테이프 (500)의 손 잡이 (501)를 만들기 전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튜브수단 ( 1500)은 제 1 접이수단 (1104)과 제 2 접이수단 ( 1204)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는 동안 저장공간을 통해 흡입한 공기를 저장한다.

도 14의 (b)는 사용자가 제 1 접이수단 ( 1102) 또는 제 2 접이수단 ( 1202)에 외 부에 압력을 가하여 제 1 접이수단 ( 1102)과 제 2 접이수단 ( 1202)이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이수단 ( 1104)이 제 2 접이수단 ( 1204) 을 향해 이동할 때 튜브수단 ( 1500)의 저장되는 공기가 출입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 출될 수 있다. 여기서 출입공간은 제 1 접이수단 ( 1104)의 하단에서 게 1 접이수단 ( 1104)의 상단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브수단 ( 1500)이 형성되어 동작함으로써, 제 1 접이수단 ( 1104)과 제 2 접이수단 ( 1204)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테이프 (500)가 출입공간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윗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용이 하게 만들 수 있다.

도 14의 (c)는 사용자가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형성한 이후 제 1 접이수단 ( 1104) 또는 제 2 접이수단 ( 1204)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 것을 나타낸 것 이다.

여기서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형성하는 동안 제 1 접착면에 부착 된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은 떨어지고, 제 2 접착면에 부착된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은 계속해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 하게 접착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출입공간이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를 흡입하는 공간과 공기를 배출하는 공간을 다르게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흡입하는 공간과 배출하는 공간이 다를 경우, 흡입하는 공간의 입구는 배출하는 공간의 밉구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즉, 흡입하는 공간의 입구를 넓게 형성하여 공기를 한꺼번에 많이 흡입하여 저장할 수 있고, 배출하는 공간의 입구를 좁게 형성하여 공기를 강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접착테이프 (500)가 윗방향으로 용이하게 볼록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5 실시 예에서도 제 3 실시 예 또는 제 4 실시 예에서 언급한 제 1 접 이수단과 제 2 접이수단 간의 높이차 또는 제 1 상승돌출단, 제 2 상승돌출단 등을 구 비하여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윗방향으로 용이하게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는 제 1 접이수단 (1105) , 제 2 접이수단 (1205) 및 힌지수단 (1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접이수단 (1105)과 제 2 접이수단 (1205)은 앞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힌지수단 ( 1600)은 제 1 접이수단 (1105)과 제 2 접이수단 (1205) 사이인 접이공 간 ( 1305)에 배치된다. 이러한 힌지수단 (1600)은 탄력이 있는 물질로 형성되면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힌지수단 (1600)은 접이공간 (1305) 내에 배치되되, 일단 이 제 1 접이수단 (1105)과 체결되고, 타단이 제 2 접이수단 (1205)에 체결된다.

여기서 힌지수단 ( 1600)은 접착테이프 (500)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수단 (1600)의 너비가 접착테이프 (500)의 너비 보다 넓게 형성되면, 접착강도가 증가하여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유도 하는 과정에서 힌지수단 (1600)에 접착테이프 (500)가 접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 고 계속해서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힌지수단 (1600)은 판스프링과 같은 형상 또는 판스프링과 같이 탄성력 과 반발력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압력 이 없어지면, 게 1 접이수단 ( 1105)과 제 2 접이수단 (1205)을 원래의 위치로 빠르게 복원시킬 수 있다.

도 16의 (a)는 접착테이프 (500)가 제 1 접착면과 게 2 접착면에 부착되어 있는 도면이다. 즉, 사용자가 접착테이프 (500)를 사용하기 전으로 접착테이프 (500)의 손 잡이 (501)를 만들기 전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힌지수단 (1600)은 일단이 제 1 접 이수단 (1105)에 체결되고, 타단이 제 2 접이수단 (1205)에 체결되어 형성되며, 이때 힌지수단 ( 1600)은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의 (b)는 사용자가 제 1 접이수단 (1105) 또는 제 2 접이수단 (1205)에 외 부에 압력을 가하여 제 1 접이수단 (1105)과 제 2 접이수단 (1205)이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이수단 ( 1105)이 제 2 접이수단 ( 1205) 을 향해 이동하면 힌지수단 ( 1600)의 양쪽에 압력이 발생된다. 여기서 힌지수단 ( 1600)은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영역이 양쪽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윗방향으로 상승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제 1 접이수단 (1105)과 제 2 접이수단 (1205)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테이프 (500)가 윗방향으로 상승하는 힌지수단 (1600)에 의해 윗방향으 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테이프 (500)가 윗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여기서 힌지수단 (1600)의 가운데 영역은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과의 접착 강도를 낮추기 위해 복수 개의 돌기 (미도시 )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돌기 (미도시)가 형성됨으로써, 힌지수단 (1600)이 접착테이프 (500)를 윗방향으 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한 후 빠르게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으로부터 분리 될 수 있다.

도 16의 (c)는 사용자가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형성한 이후 제 1 접이수단 (1105) 또는 제 2 접이수단 (1205)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 것을 나타낸 것 이다.

여기서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형성하는 동안 제 1 접착면에 부착 된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과 힌지수단 (1600)의 가운데 영역에 부착된 접착테이 프 (500)의 접착면이 동시에 떨어지거나 순차적으로 떨어지고, 게 2 접착면에 부착된 접착테이프 (1600)의 접착면은 계속해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 하게 접착테이프 (5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6 실시 예에서도 제 3 실시 예 또는 제 4 실시 예에서 언급한 제 1 접 이수단과 제 2 접이수단 간의 높이차 또는 제 1 상승돌출단, 제 2 상승돌출단 등을 구 비하여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 (501)를 윗방향으로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프 커터기는 제 1 접이수단 ( 1106) , 제 2 접이수단 (1206) , 본체부 (1700) 및 누름수단 (17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접이수단 (1106)은 접착테이프 (500)가 부착되는 제 1 접착면 (1116)과 접착 테이프 (500)를 절단하는 제 1 절단수단 (1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접착면 (1116) 의 상부에는 제 1 절단수단 (112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절단수단 (1121)이 형성될 수 있다.

거 U 접이수단 ( 1106)의 제 1 절단수단 (1120)과 제 2 절단수단 ( 1121)은 접착테이 프 (500)가 원활하게 절단되도록 톱날 형태나 날카로운 칼날의 절단면을 가진다. 여 기서 제 1 절단수단 (1120)과 제 2 절단수단 (1121)은 후술할 본체부 (17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접이수단 (1206)은 제 1 접이수단 (1106)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 된다. 이러한 제 2 접이수단 (1206)은 고정될 수도 있고 제 1 접이수단 (1106)과 같이 제 2 접이수단 (1206)을 향하여 움직이듯이 제 1 접이수단 ( 1106)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본체부 (1700)는 접착테이프 (500)와 체결되거나 분리되면서, 접착테이프 (500) 가 체결되는 동안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 1 접이수단 (1106) 과 제 2 접이수단 (1206)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 (1700)의 상단에는 게 1 접이수단 (1106)에 배치되는 제 2 절단수 단 (1121)에 접하도록 동작하면서 접착테이프 (500)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누름수 단 (171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누름수단 (1710)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제 2 절단수단 (1121)에 접 하도록 동작한 후 접착테이프 (500)를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누름수단 (1710)은 본체부 (1700)와 체결되는 반대 측의 하단에 접착테 이프 (500)를 누르면서 제 2 절단수단 (1121)과 접하도록 아랫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되어 형성되는 완층수단 (171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층수단 (1711)은 접착테이프 (500)를 위에서 눌러 제 2 절단수단 ( 1121)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제 1 접착면의 면적보다 크고, 제 1 접착 면과 제 2 접착면을 합한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게 1 접착면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면, 접착테이프 (500)를 누 르는 범위가 작아 접착테이프 (500)를 절단하기가 힘들어지고, 제 1 접착면과 제 2 접 착면을 합한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면, 접착테이프 (500)를 절단하기 용이하나 접착 테이프 (500)를 절단하는 동안 접착테이프 (500)의 접착면이 제 1 접착면과 제 2 접착 면에 접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접착테이프 (500)의 손잡이를 형성하는데 문제점 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수단 ( 1711)은 제 1 접착면의 면적보다 크고, 제 1 접착면과 제 2 접착면을 합한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절단수단 ( 1121)과 누름수단 ( 1710)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접착테 이프 (500)를 더욱 쉽게 절단시킬 수 있다.

또한, 누름수단 ( 171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 ( 1700)와 체결되 는 반대 측에 접착테이프 (500)를 절단할 수 있는 제 3 절단수단 ( 171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절단수단 ( 1712)은 제 1 접착면에 접할 때 제 1 접착면에 위치하는 제 2 절단수단 ( 1121)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절단수단 (1712)이 배치됨으로써, 접착테이프 (500)를 위로 절 단하거나 아래로 절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3 절단수단 ( 1712)을 이용하여 접 착테이프 (500)를 위로 향하게 하여 절단할 수도 있고, 제 2 절단수단 ( 1121)을 이용 하여 접착테이프 ( 500 )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절단할 수도 있다ᅳ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포장하려는 상자 또는 포장지에 접착테이프 (500)를 붙 이고, 상황에 맞게 제 3 절단수단 ( 1712), 제 1 절단수단 ( 1120) 또는 제 2 절단수단 ( 1121)을 이용하여 빠르고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도 19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름수단 ( 1710)은 하우징 (2710a)과 누름부재 (27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 (2710a)은 일단이 본체부 (미도시 )에 체결되고, 타단이 오픈되어 형성 된다. 하우징 (2710a)의 내부에는 스프링 ( 1716)과 같은 탄성 물질이 배치되어 후술 할 누름부재 (2710b)를 전후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하우징 (2710a)의 상단에는 복수 개의 고정홀 ( 1715)이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재 (2710b)는 일단이 하우징 (2710a)의 타단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하우 징 (2710a)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 ( 1716)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누름부재 (2710b)의 타단에는 제 3 절단수단 ( 1712)이 배치되고, 타단의 하단에 는 완층수단 ( 1711)이 배치되고, 타단의 상단에는 누름부재 (2710b)를 누르는 동안 사용자의 손가락이 누름부재 (2710b)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미끄럼방지수단 ( 17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누름부재 (2710b)의 상단에는 복수 개의 고정홀 ( 1715)에 체결되면서 누 름부재 (2710b)의 길이를 조절하는 고정돌기 ( 17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돌기 ( 1714)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홀 ( 1715)에 체결됨으로써 누름부재 (2710b)의 길이를 용이하게 제어하면서 누름부재 (2710b)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부재 (2710b)의 길이를 포장하려는 상자 또는 포장지에 따라 제어하여 제 3 절단수단 ( 1712), 제 1 절단수단 ( 1120) 또는 게 2 절단수단 ( 1121)을 이용하여 빠르 고 용이하게 절단테이프 (500)를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2710a)의 내부에는 스프링 ( 1720)이 삽입되는 것을 도시하였 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 ( 1720)과 같이, 탄성력과 반발력이 있는 물질로 형성되어 누름부재 (2710b)의 길이를 제어할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2710a)과 누름부재 (2710b)가 수평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윗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 다.

도 2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름수단은 하우징 (2710a)와 누름부재 (27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 (2710a)은 일단이 본체부 (미도시)에 체결되고, 타단이 오픈되어 형성 된다. 이러한 하우징 (2710a)의 상단에는 길이조절홀 (2715)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 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조절홀 (2715)의 측면은 물결형상으로 형성되어 누름부재 (2710b)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누름부재 (2710b)는 일단이 하우징 (2710a)의 타단에 삽입되어 형성된다. 누름부재 (2710b)의 타단에는 제 3 절단수단 ( 1712)이 배치되고, 타단의 하단에 는 완충수단 (미도시)이 배치되고, 타단의 상단에는 누름부재 (2710b)를 누르는 동안 사용자의 손가락이 누름부재 (2710b)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미끄럼방지수단 ( 17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누름부재 (2710b)의 상단에는 길이조절홀 (2715)에 형성되는 물결형상의 측면에 체결되면서 누름부재 (2710b)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손잡이 (2714)가 형 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손잡이 (2714)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조절홀 (2715)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누름부재 (2710b)의 길이를 용이하게 제어하면서 누름 부재 (2710b)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부재 (2710b)의 길이를 포장하려는 상자 또는 포장지에 따라 제어하여 제 3 절단수단 ( 1712), 제 1 절단수단 ( 1120) 또는 제 2 절단수단 ( 1121)을 이 용하여 빠르고 용이하게 절단테이프 (500)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2710a)과 누름부재 (2710b)가 수평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윗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 다. 지금까지 설명한 누름수단은 제 1 실시 예 내지 제 7 실시 예에서 언급한 접이 식 테이프 커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 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의 변형과 웅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웅 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 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산업상 이용가능성】

【서열목특 프리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