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INTEGRATED COMPOSITE-MATERIAL VEHICLE BODY FOR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096676
Kind Code:
A2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dy formed by a simultaneous curing method using a composite material, and to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composite-material vehicle body for a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btained by integral forming in the shape of the vehicle body, using a sandwich panel comprising: a core material; an inner skin material which is made using a prepreg of reinforcing fibres impregnated with a synthetic resin and semi-cured, and which is adhered to the insid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an outer skin material which is made using a prepreg of reinforcing fibres impregnated with synthetic resin and semi-cured, and which is adhered to the outsid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and a sheet metal material which is inserted between the core material and the outer skin material.

Inventors:
CHO, Yong Jun (Yongji-ri Bubuk-myeon, Miryang-si, Gyeongsangnamdo 627-852, KR)
조용준 (627-852 Gyeongsangnamdo, KR)
AN, Chee Woon (Hyundai Apt.Naei-dong, Miryang-si, Gyeongsangnamdo 627-759,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289
Publication Date:
August 06, 2009
Filing Date:
January 20,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HANKUK FIBER GLASS CO., LTD. (Yongji-ri Bubuk-myeon, Miryang-si, Gyeongsangnamdo 627-852, KR)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627-852 Gyeongsangnamdo, KR)
CHO, Yong Jun (Yongji-ri Bubuk-myeon, Miryang-si, Gyeongsangnamdo 627-852, KR)
조용준 (627-852 Gyeongsangnamdo, KR)
International Classes:
B62D31/00
Domestic Patent References:
WO2008002838A12008-01-03
Foreign References:
KR20040065533A2004-07-22
JPH08156712A1996-06-18
Other References:
See references of EP 2143622A4
Attorney, Agent or Firm:
JEONG, Nam Jin (637-20Yeoksam-dong, Gangnam-gu, Seoul 135-080, KR)
Download PDF:
Claims:
심재(11)와,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11)의 일면에 접착되는 내피재(12)와,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11)의 타면에 접착되는 외피재(13)와, 상기 심재(11)와 외피재(13) 사이에 삽입되는 금속판재(14)로 구성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여 차체의 형상으로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14)에는 다수개의 구멍(14a)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

심재(11)와,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11)의 일면에 접착되는 내피재(12)와,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복수의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11)의 타면에 접착되는 외피재(13)와, 상기 외피재(13)를 이루는 복수의 프리프레그 사이에 삽입되는 금속판재(14)로 구성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여 차체의 형상으로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14)는 다수개의 구멍(14a)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

차체를 구성하는 전두부, 후두부, 지붕, 측면부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도록 차체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 내면에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외피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외피재 내면에 금속판재 또는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금속판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판재 내면에 심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심재 내면에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내피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들을 통해 적층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의 제조방법.

차체를 구성하는 전두부, 후두부, 지붕, 측면부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도록 차체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 내면에 보강섬유에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제1외피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1외피재 내면에 금속판재 또는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금속판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판재 내면에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제2외피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2외피재 내면에 심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심재 내면에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내피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들을 통해 적층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의 제조방법.

Description: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복합소재를 이용하고 동시경화방식으로 제조하여 표면상태가 양호한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버스나 철도차량 등의 운송차량용 차체는 프레임에 측면, 앞뒤, 천정 셸을 기계적으로 체결하거나 용접으로 접합하여 차체 형태를 구성하였다. 기계적인 체결 및 용접기술들은 노동집약적이며 제작기간이 길다. 기계적인 체결을 이용한 결합부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결기구들이 느슨해져 보수가 불가피하고 소음과 단열에 노출되기 쉽다. 용접부위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해지고 깨지기 쉽다.

또 다른 기술로는 각 부위의 셸을 프레임에 접착하는 방식이 있으나 기계적인 체결이나 용접방식에 비해 단점과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방식은 접착시간이 많이 필요하고 각 부위의 셸들은 접작강도에 대한 신뢰성 검토가 요구되며 경량화에 대한 효과가 크지 못하다.

종래의 기술로써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는 외피층, 프레임 및 심재 삽입, 내피층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동시경화방식으로 제조시 복합소재로 구성된 외피층과 내피층은 성형초기에 플렉시블한 프리프레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토클레이브 진공성형 시 심재로 하니콤 코아를 사용할 경우 하니콤 모양의 공간으로 외피층과 내피층이 빨려들기 때문에 좋지 못한 표면을 갖는다.

종래의 기술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체 제조시 외피층을 적층하여 경화시킨 다음 접착시트를 이용해 프레임 및 심재를 삽입하고 내피층을 적층하여 2차 경화방식으로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복합소재를 이용한 성형제품은 높은 제작비용 때문에 그 특성이 우수하여도 상용화가 어렵고 비싸다. 또한 동시경화방식에 대한 기술이 없기 때문에 제품표면이 불량하여 다음 공정인 도장 공정에서도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시경화방식으로 차체를 형성하여 제조기간를 단축하고 제조비를 절감하면서 표면상태가 양호한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피층을 복합소재에 금속판을 부착 또는 삽입한 것을 사용하고 심재와 내피층을 적층한 다음 동시경화방식으로 제조하여 표면상태가 양호한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를 제조한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심재와,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내피재와,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의 외측면에 접착되는 외피재와, 상기 심재와 외피재 사이에 삽입되는 금속판재로 구성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여 차체의 형상으로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금속판재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심재와,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내피재와,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복수의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의 외측면에 접착되는 외피재와, 상기 외피재를 이루는 복수의 프리프레그 사이에 삽입되는 금속판재로 구성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여 차체의 형상으로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금속판재는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체를 구성하는 전두부, 후두부, 지붕, 측면부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도록 차체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 내면에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외피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외피재 내면에 금속판재 또는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금속판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판재 내면에 심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심재 내면에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내피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들을 통해 적층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체를 구성하는 전두부, 후두부, 지붕, 측면부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도록 차체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 내면에 보강섬유에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제1외피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1외피재 내면에 금속판재 또는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금속판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판재 내면에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제2외피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2외피재 내면에 심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심재 내면에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내피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들을 통해 적층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소재 차체의 제작시 문제되었던 공정의 복잡함과 동시경화방식에 대한 기술적인 면이 부족하여 표면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합소재가 가지는 취성과 피로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동시경화된 차체의 전체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차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시경화된 차체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의 적층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기초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동시경화된 차체의 전체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는 전두부(1), 후두부(2), 지붕(3) 및 측면부(4)가 이음매 없이 동시경화(Co-Cure)방식에 의해 일체형 구조를 가지므로 강성, 단열, 소음에 효과적인 구조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차체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10)는 하니콤이나 폼을 심재(11)로 한 샌드위치 구조이며 세부적으로는 외피재(13), 금속판재(14), 심재(11) 및 내피재(12)가 밖에서 안으로 차례로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B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피재(13), 내피재(12)는 복합소재로써 합성수지를 보강섬유에 함침시켜 경화를 반정도 진행시킨 프리프레그를 사용하며, 요구되는 강도와 두께를 고려하여 1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프리프레그에 함침되는 합성수지는 에폭시 수지, 페놀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에스터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등이 사용되고, 보강섬유로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케블라 섬유, 보론 섬유 등으로 직조된 일방향 또는 양방향 직물이 사용된다.

샌드위치 구조체인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에 적용된 심재(11)는 경량, 단열, 방음 및 구조체의 강성을 위하여 우레탄 폼, PE 폼, PVC 폼과 같은 폼류와, 알루미늄 하니콤, 노멕스 하니콤과 같은 하니콤류, 발포알루미늄 등이 사용된다.

종래의 기술은 동시성형을 하게 되면 심재를 이루는 폼에 형성된 구멍 또는 하니콤 구조의 구멍의 영향으로 외피재가 심재의 구멍으로 함몰되어 불균일한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음 공정인 도장 공정에서 시간과 인건비가 많이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고안된 금속판재(14)는 외피재(13)과 심재(11) 사이 또는 도 4와 같이 외피재(13)을 구성하는 제1,2외피재(13a)(13b) 사이에 포함되어 심재(11)와 가까이 존재하게 된다. 견고한 표면을 가지는 금속판재(14)는 프리프레그가 경량성을 위해 사용된 구멍을 가지는 심재(11)에 함몰되는 것을 막아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를 해결한다.

금속판재(14)는 10㎛ ~ 10㎜ 두께를 가지며 재질로서는 스틸,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구리, 함석판 등을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시경화된 차체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에서 금속판재(14)가 제1,2외피재(13a)(13b) 사이에 포함되어 사용된 실시 예를 나타내며, 이때 금속판재(14)는 심재(11)에 가깝게 적층하는 구조로 외피재(13)를 구성하는 제1외피재(13a)보다 제2외피재(13b)가 작은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소재로 구성된 외피재(13)와 금속판재(14)는 하이브리드 구조로 사용된다. 내피재(11)는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경량성을 위해 금속판재(14)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의 적층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금속판재(14)로 다수개의 구멍(14a)이 천공된 금속판재(14)를 사용한다. 금속판재(14)의 구멍(14a)의 역할은 경화 반응시 온도 상승에 따라 발생되는 수지의 흐름성을 자유롭게 해서 기포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의 제조방법은 일정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온도와 압력의 변화가 조절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를 사용한다.

먼저 차제 모양의 몰드에 금속판재를 포함하는 외피재를 적층하고 진공상태에서 압력을 걸어서 압착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을 해제하고 그 외피재 내면에 심재와 내피재를 차례로 적층한 후 백으로 싸서 다시 압착을 걸어서 오토클레이브로 동시경화방식으로 성형하게 되면 표면상태가 양호한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먼저 차체를 구성하는 전두부, 후두부, 지붕, 측면부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도록 차체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몰드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상기 몰드 내면에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외피재를 적층한다.

다음으로 상기 외피재 내면에 금속판재 또는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금속판재를 적층한다.

다음으로 상기 금속판재 내면에 심재를 적층한다.

다음으로 상기 심재 내면에 보강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내피재를 적층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단계들을 통해 적층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성형하면 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몰드의 내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외피재, 금속판재, 심재, 내피재를 적층한 후 성형하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한 실시 예에서 금속판재를 외피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적층하고 차례로 심재와 내피재를 적층한 후 성형하면 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제시된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고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은 복합소재를 이용하고 동시경화방식으로 제조하여 표면상태가 양호한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철도차량, 버스 등 운송차량의 제조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