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ROOF CARRIER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145473
Kind Code:
A1
Abstra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roof carrier, and it is an aim of the invention to provide a roof carrier for solving the problem of a cross bar getting stuck in the channel by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ross bar when it moves transversely along the side rails.  In an embodiment, a roof carrier for holding an object on the top of a vehicle comprises: a pair of side rails, which is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surface of the vehicle and has a channel formed along the inner side thereof; a cross bar, which is constituted by a pair of coupled portions coupled to the channel, and a body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upled portions and moves along the channel by an externally applied force; pressing means,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coupled portions and presses the coupled portions tightly against the channel; bearing rolling means, which ar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coupled portions and include a roller bearing that makes rolling contact along the lateral, inner sides of the channel, the roller bearing rotating vertically depending on the flatness of the inner side of the channel; and linear auxiliary rolling means, which minimizes static force acting between the bearing and the lateral, inner sides of the channel.  Therefore, an advantage of the invention is that the location of the cross bar can easily be rearranged by solving the problem of the cross bar getting stuck in the channel by horizontal and vertical external forces acting on the cross bar.

Inventors:
LEE CHUN BOK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1694
Publication Date:
December 03, 2009
Filing Date:
April 02,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MOLDPIA CO LTD (KR)
LEE CHUN BOK (KR)
International Classes:
B60R9/045
Foreign References:
KR20070037602A2007-04-05
KR20050024842A2005-03-11
KR20020010331A2002-02-04
Attorney, Agent or Firm:
PUKYUNG INTERNATIONAL PATENT AND LAW FIRM (KR)
특허법인부경 (KR)
Download PDF:
Claims:
자동차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내측면을 따라 채널이 형성된 한 쌍 사이드 레일과, 상기 채널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양측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져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채널을 따라 이동되는 크로스바로 구성되어, 자동차 상부에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루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의 몸체부와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고, 결합부를 채널 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 수단과;

상기 결합부의 양측단부에 구비되고, 채널의 좌우내측면을 따라 구름접촉되는 롤러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롤러 베어링은 상기 채널 내측면의 평탄도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베어링 구름 수단과;

상기 베어링과 채널의 좌우내측면 사이에 작용되는 정지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는 직진보조 구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름 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채널의 좌우내측면에 외면이 접촉되는 롤러 베어링과;

상기 롤러 베어링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고, 반구형의 돌출부가 상하부로 돌출형성된 내륜과;

상기 롤러 베어링의 내주면과 내륜 사이에 결합되는 전동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하부면에 각각 함몰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 베어링의 상하부면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하부면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베어링은,

채널에 접촉되는 외면이 일정한 곡률은 가진 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과 몸체부 일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를 사이드 레일측으로 밀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에 함몰형성되어 크로스바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결합부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삽입구와 연결되는 체결공과;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크로스바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돌기;로 구성되어,

상기 돌기가 체결공을 따라 크로스바의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보조 구름 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채널의 좌우내측면에 외면이 접촉되는 롤러 베어링과;

상기 롤러 베어링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고, 반구형의 돌출부가 상기 롤러 베어링의 상하부로 돌출형성된 내륜과;

상기 롤러 베어링의 내주면과 내륜 사이에 결합되는 전동체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하부면에 각각 함몰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이동되도록 상기 수용부가 크로스바의 이동방향으로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Description:
루프 캐리어

본 발명은 자동차 상부에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바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채널 내측면의 접촉되는 베어링 구름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이다.

루프 캐리어는 자동차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물품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1은 종래의 루프 캐리어가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캐리어는 자동차(2)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사이드 레일(10)과 상기 사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크로스 바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크로스바는 적재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그 간격을 조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따라서 크로스바는 사이드 레일의 내측면에 형성된 채널을 따라 수평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이동된 크로스 바를 사이드 레일에 고정시키는 록킹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루프 캐리어에 관련하여, 미국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US 6,179,179호, US 5,715,980호 등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러한 선행 기술들은 가이드휠 어셈블리를 크로스 바의 양단에 고정시키고, 가이드 휠 어셈블리가 채널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이동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크로스 바의 고착됨이 없이 수평이동되도록 제안한 바 있다.

도 2는 종래의 사이드 레일과 크로스 바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크로스 바(20)의 양단부에는 수평 롤러(22)가 결합되어, 사이드 레일(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채널(1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조작자는 록킹 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핀(24)을 사이드 레일(10)의 고정홈(12)과 분리시키고, 크로스 바(20)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채널 좌우 내측면에 접촉되는 수평 롤러(22)은 크로스 바의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크로스 바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조작자가 크로스 바에 수평력을 작용시키더라도 상기 수평 롤러(22)에는 수평 및 수직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고정축을 통해 수평회전되는 가이드 휠은 채널의 내측면과 원활하게 구름 접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크로스 바를 일정한 위치에 장기간 고정시킨경우 황사 등의 이물질이 채널 내부에 유입되어 가이드 휠과 채널의 접촉부에 달라붙거나, 채널의 제조 과정에서 내측면의 평탄도가 보장되지 못하는 경우 등 채널의 내측면의 조건에 따라서 크로스 바의 수평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크로스 바를 사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크로스 바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서 채널 내부에서 크로스 바가 고착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로스 바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채널의 내면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상기 채널 내측면의 평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조건에서도 크로스 바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는 자동차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내측면을 따라 채널이 형성된 한 쌍 사이드 레일과, 상기 채널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양측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져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채널을 따라 이동되는 크로스바로 구성되어, 자동차 상부에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루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의 몸체부와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고, 결합부를 채널 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 수단과, 상기 결합부의 양측단부에 구비되고, 채널의 좌우내측면을 따라 구름접촉되는 롤러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롤러 베어링은 상기 채널 내측면의 평탄도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베어링 구름 수단, 상기 베어링과 채널의 좌우내측면 사이에 작용되는 정지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는 직진보조 구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 구름 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채널의 좌우내측면에 외면이 접촉되는 롤러 베어링과 상기 롤러 베어링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고, 반구형의 돌출부가 상하부로 돌출형성된 내륜과 상기 롤러 베어링의 내주면과 내륜 사이에 결합되는 전동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하부면에 각각 함몰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 베어링의 상하부면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하부면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 베어링은 채널에 접촉되는 외면이 일정한 곡률은 가진 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과 몸체부 일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를 사이드 레일측으로 밀착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에 함몰형성되어 크로스바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결합부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삽입구와 연결되는 체결공과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크로스바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돌기로 구성되어, 상기 돌기가 체결공을 따라 크로스바의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직진보조 구름 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채널의 좌우내측면에 외면이 접촉되는 롤러 베어링과 상기 롤러 베어링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고, 반구형의 돌출부가 상기 롤러 베어링의 상하부로 돌출형성된 내륜과 상기 롤러 베어링의 내주면과 내륜 사이에 결합되는 전동체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하부면에 각각 함몰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이동되도록 상기 수용부가 크로스바의 이동방향으로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는 채널 내측면의 평탄도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베어링 구름 수단과 베어링과 채널의 내측면 사이에 작용되는 정지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는 직진보조 구름 수단을 통해 크로스 바에 작용되는 수평 외력 및 수직 외력에 의해서 채널 내부에서 크로스 바가 고착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손쉽게 크로스바의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구름 수단과 직진보조 구름 수단을 통해서 채널의 내면에 평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조건에서도 크로스 바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루프 캐리어가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사이드 레일과 크로스 바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름 수단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름 수단을 도시하며, (a)는 개념 단면도이며, (b)는 (a)의 변화도.

도 7은 베어링 구름 수단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8은 직진보조 구름 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수단을 도시하는 개념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루프 캐리어 2: 자동차

10: 사이드 레일 14: 채널

20: 크로스 바 20b: 연결부

20a: 결합부 24: 고정핀

30: 베어링 구름 수단 32: 하우징

32a: 상부 하우징 32b: 하부 하우징

32c: 수용부 36: 롤러 베어링

36a: 결합공 38: 내륜

38a: 돌출부 39: 전동체

42: 압축 코일 스프링 50: 가이드부

52: 삽입구 54: 체결공

56: 돌기 60: 직진보조 구름 수단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는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루프 캐리어와 동일하게 자동차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내측면을 따라 채널이 형성된 한 쌍 사이드 레일(10)과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채널을 따라 이동되는 크로스바(20)로 구성되며, 밀착 수단, 베어링 구름 수단 및 직진보조 구름 수단이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 루프 캐리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바(20)는 채널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20a)와 상기 양측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는 몸체부(20b)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0a)의 양측단부에는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 채널의 좌우내측면을 따라 구름접촉되는 롤러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롤러 베어링은 상기 채널 내측면의 평탄도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베어링 구름 수단(30)이 구비된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b)의 단부는 결합부(20a)에 결합되고, 결합부의 측면에는 록킹 장치에 연동되어 수평이동되는 고정핀(24)이 결합된다.

또한, 베어링 구름 수단(30)의 하우징(32)은 체결 볼트(b) 등을 통해서 결합부(20a)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 구름 수단(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름 수단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베어링 구름 수단(30)은 하우징(32), 롤러 베어링(36), 내륜(38), 전동체(39)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32)은 상,하부 하우징(32a,32b)로 구성되어 상기 구성 요소가 내부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좌우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롤러 베어링(36)이 채널의 좌우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2) 내부의 상하부면(구체적으로는 상부 하우징의 하부면과 하부 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수용부(32c)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수용부(32c)는 반구형 단면을 가지고 크로스 바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 베어링(36)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채널의 좌우내측면에 외면이 접촉되는 역할을 하며,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36a)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롤러 베어링(36)의 외면(36b)은 일정한 곡률은 가진 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내륜(38)은 롤러 베어링(36)의 결합공(36a)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 베어링(36)의 중심축 역할을 하며, 반구형의 돌출부(38a) 상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용부(32c)에 각각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체(39)는 상기 롤러 베어링(36)의 내주면과 내륜(38) 사이에 다량으로 결합되어 상기 롤러 베어링(36)이 원할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륜, 롤러 베어링 및 전동체의 구성은 종래의 구름 베어링을 이용한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름 수단을 도시하며, (a)는 개념 단면도이며, (b)는 (a)의 변화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베어링(36)의 외주면은 사이드 레일(10)의 체널(14) 내측면(14c)에 접촉되면서 구름 회전되고, 상기 롤러 베어링의 상하부면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하부면은 일정 간격(d)으로 이격배치된다.

따라서, 크로스 바의 이동과정에서 베어링 구름 수단에 수평 및 수직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롤러 베어링(36)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각도(α) 이내에서 회동되면서 원활하게 구름운동이 진행될 수 있다.

도 7은 베어링 구름 수단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돌출된 돌출부(38a)는 롤러 베어링의 중심으로부터 전체적으로 구면으로 제작되며, 상기 돌출부(38a)가 수용되는 수용부(32c)는 상기 돌출부(38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된다.

따라서, 크로스 바를 이동을 위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롤러 베어링(36)에는 수직 및 수평 외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경우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서 돌출부(38a)는 수용부(32c)를 따라 상하 회동이 가능해 진다.

다음으로 직진보조 구름 수단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직진보조 구름 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베어링 구름 수단(30)과 동일하게 하우징(32), 롤러 베어링(36), 내륜(38), 전동체(39)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부(32c)로 구성되지만, 상기 내륜(38)의 돌출부(38a)가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서 수평이동되도록 상기 수용부(32c)가 크로스 바의 이동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8은 직진보조 구름 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베어링(36)에 결합된 돌출부(38a)는 크로스바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수용부(32c)를 따라 수평이동된다.

따라서, 정지된 상태의 크로스 바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롤러 베어링과 채널의 좌우내측면 사이에는 정지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고, 장기간 크로스바를 정지한 상태에서는 이물질 등이 고착되어 정지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직진보조 구름 수단을 통해 롤러 베어링이 수평이동되면서 구름 회전되므로 이러한 정지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채널 내주면이 제조 과정에서 평탄도가 유지되지 못하더라도 상기 베어링 구름 수단과 직진보조 구름 수단을 통해 롤러 베어링이 최적의 접촉점을 유지하면서 채널 내주면을 따라 구름 접촉된다.

다음으로, 밀착 수단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밀착 수단은 크로스바의 몸체부와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고, 결합부를 채널 측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과 몸체부 일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를 사이드 레일측으로 밀착시키면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롤러 베어링이 채널의 내측면에 밀착하게 되어 크로스 바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밀착 수단에는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수단을 도시하는 개념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42)은 결합부(20a)의 일측면과 몸체부(20b))의 일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20a)를 사이드 레일측으로 밀착시키고,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이드부(50)는 삽입구(52), 체결공(54) 및 돌기(56)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구(52)는 상기 결합부(20a)의 일측면에 함몰형성되어 크로스바(20)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20a)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체결공(54)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54)에는 상기 삽입구(52)에 삽입된 크로스바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56)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54)이 결합부(20a)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돌기(56)가 체결공(54)을 따라 크로스바의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42)의 탄성력을 통해 결합부(20a)가 사이드 레일측으로 밀려지더라도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일정 거리 이상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크로스 바가 고착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상부에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루프 캐리어에 이용가능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바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채널 내측면의 접촉되는 베어링 구름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에 이용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