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SCREENING METHOD FOR THERAPEUTIC AGENTS FOR NEUROLOGICAL DISORDERS USING GABA B RECEPTOR AND PROTEIN KINASE A-α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131422
Kind Code:
A3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oncerns a screening method for therapeutic agents for fetal neurological disorders caused by exposure to alcohol or nicotine during pregnancy, and more particularly concerns a screening method for therapeutic agents for fetal neurological disorders caused by exposure to alcohol during pregnancy using a candidate material, by confirming any increase in expression of GABAB receptors and protein kinase A-α, in early-development brain cells, as caused by exposure to alcohol or nicotine during pregnancy in the initial development stage, and by confirm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 protein is reduced by treatment of the cells with the candidate material.

Inventors:
KIM MYEONG OK (KR)
LEE HAE YOUNG (KR)
M L NASEER (KR)
PARK TAE JU (US)
PARK MOON SEOK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2172
Publication Date:
January 14, 2010
Filing Date:
April 24,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IND ACADEMIC COOP (KR)
KIM MYEONG OK (KR)
LEE HAE YOUNG (KR)
M L NASEER (KR)
PARK TAE JU (US)
PARK MOON SEOK (KR)
International Classes:
G01N33/48
Other References:
SHU PENG LI ET AL.: "Ethanol modulates GABAB receptor expression in cortex and hippocampus of the adult rat brain", BRAIN RESEARCH, vol. 1061, 2005, pages 27 - 35
SHU P. LI ET AL.: "Chronic nicotine and smoking exposure decreases GABAB1 receptor expression in the rat hippocampus", NEUROSCIENCE LETTERS, vol. 334, 2002, pages 135 - 139
PARK, HAN-SOL ET AL.: "Study of GABA secretion abnormalities caused by ethanol in the development of a white rat's brain", R&E FINAL REPORT, 2004, pages 53 - 65
Attorney, Agent or Firm:
SON, Min (City Air Tower159-9, Samseong-dong, Gangnam-gu, Seoul 135-973, KR)
Download PDF:
Claims:
(a) 에탄올을 포함하는 배양액 내에 발달 초기의 뇌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b) 대조군에 비해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이 증가된 세포를 선별하는 단계;

(c) 선별된 세포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d)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후보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스크리닝 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ABA B 수용체는 GABA B1 수용체 또는 GABA B2 수용체인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스크리닝 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달 초기의 뇌세포는 랫트의 임신 17.5 주로부터 수득한 태아의 뇌세포인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스크리닝 하는 방법.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질환은 태아 알코올 증후군 (fetal alcohol syndrome), 알코올 관련 신경발달 장애 (alcohol related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간질 (epliepsy),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공황장애 (panic disorder), 우울증 (depression), 정신지체 (mental retardation), 헌팅턴 무도병 (huntington's disease), 경직 (spasticity), 약물 중독 (drug addiction) 및 신경 퇴행성 질환 (mental degeneratio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
(a) 니코틴을 포함하는 배양액 내에 발달 초기의 뇌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b) 대조군에 비해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이 증가된 세포를 선별하는 단계;

(c) 선별된 세포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d)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후보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스크리닝 하는 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GABA B 수용체는 GABA B1 수용체 또는 GABA B2 수용체인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스크리닝 하는 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달 초기의 뇌세포는 랫트의 임신 17.5 주로부터 수득한 태아의 뇌세포인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스크리닝 하는 방법.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간질 (epliepsy),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공황장애 (panic disorder), 우울증 (depression), 정신지체 (mental retardation), 헌팅턴 무도병 (huntington's disease), 경직 (spasticity), 약물 중독 (drug addiction) 및 신경 퇴행성 질환 (mental degeneratio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임신 중 니코틴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치료용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임신 중 니코틴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치료용 조성물.
Description: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를 이용한 신경 질환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본 발명은 임신 중 알코올 또는 니코틴 노출에 의한 신경 질환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신중 알코올 또는 니코틴 노출에 의한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 양상을 발생 초기 뇌 세포에서 관찰하는 한편, 후보 물질 처리에 의한 상기 발현량의 감소를 확인함으로써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스크리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 중독은 많은 국가에서 의학 및 사회 경제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뇌 성장기 동안 알코올 노출은 여러 가지 유해 효과, 뉴런 이동시 결함을 포함, 여러 뇌 영역에서 세포 손실 및 뉴런 및 시냅스 연결 수의 감소를 유도한다. 과거 20년 동안 지지된 가설은 알코올이 중추뉴런계에서 시냅스 커뮤니케이션의 흥분 및 억제를 조절하는 뉴런 단백질의 서브세트와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에탄올은 뉴런전달물질 및 뉴런조절자의 합성, 분비, 수용체 결합 및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감마-아미노부티르산 (Gamma-amino butryric acid, GABA) 수용체는 중추뉴런계의 성장기 동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GABA B 수용체와 연결된 백일해 독성-민감성 G-단백질 (G i )은 아데닐산사이클라제를 저해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cAMP 농도 및 단백질 키나제 A (protein kinase A, PKA)-α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단백질 키나제 A-α 활성 감소는 GABA B 수용체 활성화에 반응하여, GABA 분비 억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GABA 분비 억제에 관련된 GABA B 수용체는 단백질 키나제 A-α, 단백질 키나제 C 또는 두 가지 모두를 통해 조절된다. 더욱이 단백질 키나제 A는 급성 및 만성 에탄올 섭취에 따른 뇌에서의 몇 가지 반응을 매개한다. 따라서 GABA B 수용체가 세포 수준에서 투여된 약물의 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 뇌에서 GABA B 수용체 발현 및 뇌 영역에서 변이시에 있어서, 에탄올 및 다른 약물 처리에 관련된 연구는 에탄올 약리학 및 정신흥분제 남용을 설명하는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에탄올은 뉴런 성숙의 성장기 동안 뇌에서 뉴런 취약성을 포함한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이상에 대해 광범위한 영향을 끼치며, 태아 알코올 증후군 (fetal alcohol syndrome, FAS)을 야기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인 기작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약물 남용에 대한 노출, 학습력 및 기억력은 시냅스의 구조적인 변화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알코올 등의 중독성 약물에 의해서 신경세포의 활성도의 감소와 GABA 및 글루타메이트 (glutamate)의 분비의 활성도를 높인다고 알려져 왔다. 태아의 신경계 분화 발달에 GABA는 시냅스 형성의 세포에 직접, 간접으로 억제성 인자로 작용한다. 특히 20%가 임신 중 알코올 노출이 되는 데 1000명 중 1명은 태아 알코올 증후군과 뇌 세포가 죽는 현상을 유발시킨다. 특히 임신 초기에 2주 간격으로 단 한번 알코올에 노출되거나 임신 말기에 단 한번에 노출되어도 태아 알코올 증후군 외에 글루타메이트와 GABA 수용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수용체를 억제시키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는데, NMDA (N-methyl-D-aspartate) 수용체가 차단이 되면, 소뇌를 비롯한 다른 뇌 부위의 신경세포가 죽거나 아폽토시스 (apoptosis)를 일으켜 신경세포간의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이에 항경련제를 처리하면 신경세포에 아폽토시스를 일으키며 GABA 수용체가 활성화된다. 에탄올이 GABA 수용체를 활성화하거나 NMDA 수용체를 차단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알코올 노출 후 24시간 내에 대부분의 신경세포는 죽게되는데 알코올이 수용체를 자극하여 비정상적인 분비를 찾게되는데 이 수용체를 차단할 수 있는 약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GABAergic 부족 및 과잉으로 인하여 초래되는 질병은, 전 세계적으로 오래 전부터 문제가 되고 있는 태아 알코올 증후군 (fetal alcohol syndrome), 알코올 관련 신경발달 장애 (alcohol related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간질 (epliepsy),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공황장애 (panic disorder), 우울증 (depression), 정신지체 (mental retardation), 헌팅턴 무도병 (huntington's disease), 경직 (spasticity), 약물 중독 (drug addiction) 및 신경 퇴행성 질환 (mental degeneration), 파킨스씨병을 포함하여 많은 질환이 있다. 이러한 질환의 치료방법은 현재 뚜렷한 것이 없으며, 일부 치료방법은 증상치유에 국한되고 있다. 따라서, 중독 유발 물질에 의해 유발된 상기 질환의 예방, 조기발견, 치료 방법 및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신경질환 치료제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노력한 결과, 태아의 신경 발달 초기 (래트 임신 17.5일)의 피질 및 해마 영역에서 에탄올, 니코틴을 처리한 결과 GABA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두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된 세포에 후보 물질을 처리한 후, 두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후보 물질을 선별함으로써,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스크리닝 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a) 에탄올을 포함하는 배양액 내에 발달 초기의 뇌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이 증가된 세포를 선별하는 단계; (c) 선별된 세포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d)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후보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스크리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니코틴을 포함하는 배양액 내에 발달 초기의 뇌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b) 대조군에 비해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이 증가된 세포를 선별하는 단계; (c) 선별된 세포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d)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후보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스크리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임신 중 니코틴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임신 중 에탄올 또는 니코틴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정상적인 GABA B 수용체 발현의 비정상적인 증가로 인하여 야기되는 태아 알코올 증후군, 알코올 관련 신경발달 장애, 간질, 정신 분열증, 공황장애, 우울증, 정신지체, 헌팅턴 무도병, 경직 및 약물 중독 및 신경 퇴행성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 신경 퇴행성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에게 유용한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에탄올에 노출된 시험관 내의 피질을 에탄올, 니코틴, 바클로펜, 파클로펜 및 비타민 C로 처리시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 단백질의 변화를 측정한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전체 단백질을 임신 17.5에 준비하였다. 30 ㎍ 전체 단백질을 포함한 시험관 내의 뉴런 세포. 도 1B는 A에서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 밴드의 밀도 값 (densitometric evaluation)을 나타낸다. 상대적 함량을 Sigma-gel 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계산하였다. 래인 1, 대조군 (N); 래인 2, 에탄올 (E) 100mM 을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3, 니코틴 (Nic) 50 μM을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4, 바클로펜 (B) 50 μM을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5, 파클로펜 (P) 100 μM를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6, 에탄올 (E) 100 m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7, 니코틴 (Nic) 50 μ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8, 바클로펜 (B) 50 μ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9, 파클로펜(P) 100 μ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10, 에탄올 100 mM + 비타민 C 0.5 mM (E+vitC)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11, 니코틴 50 μM + 비타민 C 0.5 mM (Nic+vitC)을 1시간 처리한 군. 대조군과 비교시 (n-5) P <0.01. 모든 실험군을 시험관 내의 배양액에서 20분 및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도 2A는 에탄올에 노출된 시험관 내의 해마를 에탄올, 니코틴, 바클로펜, 파클로펜 및 비타민 C로 처리시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 단백질의 변화를 측정한 웨스턴 블롯은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전체 단백질을 임신 17.5일에 준비하였다. 30 ㎍ 전체 단백질을 포함한 시험관 내의 뉴런 세포. 도 2B는 A에서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 밴드의 밀도 값을 나타낸다. 상대적 함량을 Sigma-gel 분석 프로그램으로 계산하였다. 래인 1, 대조군(N); 래인 2, 에탄올 (E) 100mM 을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3, 니코틴 (Nic) 50 μM을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4, 바클로펜 (B) 50 μM을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5, 파클로펜 (P) 100 μM를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6, 에탄올 (E) 100 m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7, 니코틴 (Nic) 50 μ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8, 바클로펜 (B) 50 μ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9, 파클로펜(P) 100 μ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10, 에탄올 100 mM + 비타민 C 0.5 mM (E+vitC)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11, 니코틴 50 μM + 비타민 C 0.5 mM (Nic+vitC)을 1시간 처리한 군. 대조군과 비교시 (n-5) P <0.01. 모든 실험군을 시험관 내의 배양액에서 20분 및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도 3A는 에탄올에 노출된 시험관 내의 피질을 에탄올, 니코틴, 바클로펜, 파클로펜 및 비타민 C로 처리시 단백질 키나제 A-α 단백질의 변화를 측정한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전체 단백질은 임신 17.5일로부터 준비되었다. 30 ㎍ 전체 단백질을 포함한 시험관 내의 뉴런 세포. 도 3B는 A에서 단백질 키나제 A-α 밴드의 밀도 값 나타낸다. 상대적 함량을 Sigma-gel 분석 프로그램으로 계산하였다. 래인 1, 대조군(N); 래인 2, 에탄올 (E) 100mM 을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3, 니코틴 (Nic) 50 μM을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4, 바클로펜 (B) 50 μM을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5, 파클로펜 (P) 100 μM를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6, 에탄올 (E) 100 m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7, 니코틴 (Nic) 50 μ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8, 바클로펜 (B) 50 μ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9, 파클로펜(P) 100 μ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10, 에탄올 100 mM + 비타민 C 0.5 mM (E+vitC)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11, 니코틴 50 μM + 비타민 C 0.5 mM (Nic+vitC)을 1시간 처리한 군. 대조군과 비교시 (n-5) P <0.01. 모든 실험군을 시험관 내의 배양액에서 20분 및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도 4A는 에탄올에 노출된 시험관내의 해마를 에탄올, 니코틴, 바클로펜, 파클로펜 및 비타민 C로 처리시 단백질 키나제 A-α 단백질의 변화를 측정한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전체 단백질은 임신 17.5일로부터 준비되었다. 30 ㎍ 전체 단백질을 포함한 시험관 내의 뉴런 세포. 도 4B는 A에서 단백질 키나제 A-α 밴드의 밀도 값을 나타낸다. 상대적 함량을 Sigma-gel 분석 프로그램으로 계산하였다. 래인 1, 대조군(N); 래인 2, 에탄올 (E) 100mM 을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3, 니코틴 (Nic) 50 μM을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4, 바클로펜 (B) 50 μM을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5, 파클로펜 (P) 100 μM를 20분간 처리한 군; 래인 6, 에탄올 (E) 100 m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7, 니코틴 (Nic) 50 μ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8, 바클로펜 (B) 50 μ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9, 파클로펜(P) 100 μM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10, 에탄올 100 mM + 비타민 C 0.5 mM (E+vitC)을 1시간 처리한 군; 래인 11, 니코틴 50 μM + 비타민 C 0.5 mM (Nic+vitC)을 1시간 처리한 군. 대조군과 비교시 (n-5) P <0.01. 모든 실험군을 시험관 내의 배양액에서 20분 및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도 5는 초대 배양된 임신 17.5일의 피질 뉴런 세포의 GABA B1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동시-국소화를 나타내는 면역조직화학 결과이다. GABA B1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면역형광 공초점 이미지는 동일한 뉴런에서 동시-국소화되었다. 작은 화살표는 핵의 위치를 나타내고 큰 화살표는 뉴런세포의 세포질 및 수상돌기를 나타낸다. 축척 막대 = 30 ㎛.

도 6은 일차 배양된 임신 17.5일의 해마 뉴런 세포의 GABA B1 , GABA B2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동시-국소화를 나타내는 면역조직화학 결과이다. GABA B1 , GABA B2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면역형광 공초점 이미지는 동일한 뉴런에서 동시-국소화되었다. 작은 화살표는 핵의 위치를 나타내고 큰 화살표는 뉴런세포의 세포질 및 수상돌기를 나타낸다. A는 축척 막대 = 30 ㎛, B는 축척 막대 = 20 ㎛ 및 C는 축척 막대 = 10 ㎛.

도 7은 일차 배양된 임신 17.5일의 피질 뉴런 세포의 GABA B2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동시-국소화를 나타내는 면역조직화학 결과이다. GABA B2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면역형광 공초점 이미지는 동일한 뉴런에서 동시-국소화되었다. 작은 화살표는 핵의 위치를 나타내고 큰 화살표는 뉴런세포의 세포질 및 수상돌기를 나타낸다. 축척 막대 = 30 ㎛.

하나의 양태로서, (a) 에탄올 또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배양액 내에 발달 초기의 뇌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이 증가된 세포를 선별하는 단계; (c) 선별된 세포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d)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후보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스크리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이란, 임신 중 태아의 알코올 노출에 의해 야기되는, 태아의 뇌 발달 과정에 이상이 발생하여 시각계 또는 청각계의 형성된 기형을 유발하거나 신경전달계의 기증장애 등을 일으켜 발생된 신경 질환을 의미하며, 신경 세포 분화에 치명적인 장애를 초래하여 사춘기, 성인까지 계속되는 장애를 의미한다. 태아 성장기 동안 에탄올 노출은 세포구축학적 이상을 포함한 태아알코올증후군 (fetal alcohol syndrome, FAS) 및 태아알코올효과 (fetal alcohol effect, FAE) 및 알코올 관련 신경발달 장애 (alcohol related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ARANDS)의 결과로서 광범위한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뇌 이상을 유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코올 노출에 의한 신경 질환이란, 태아 알코올 증후군, 알코올 관련 신경발달 장애, 간질 (epliepsy),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공황장애 (panic disorder), 우울증 (depression), 정신지체 (mental retardation), 헌팅턴 무도병 (huntington's disease), 경직 (spasticity), 약물 중독 (drug addiction) 및 신경 퇴행성 질환 (mental degeneration)등을 포함하나, 상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에탄올"이란, 탄소 2개의 에탄 (ethane)에서 수소 원자 하나가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알코올의 한 종류로서, 에틸알코올 (ethyl alcohol)이라고도 한다. 무색의 가연성 화합물로서 용매, 소독제, 연료 등으로 많이 사용되며, 신경계와 관련하여서 에탄올을 섭취할 경우 대뇌의 기능 억제로 인해 흥분 상태가 되고, 이후 중추신경 억제의 효과가 나타난다. 에탄올이 함유된 알코올성 음료를 지나치게 자주 마시면 습관성이 생기고 중독에 이르게 되며, 에탄올을 섭취한 모체는 태아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에탄올은 예방 가능한 선천성 장애 (preventable cause of birth defects), 정신 지체 (mental retardation) 및 신경 발달 장애 (neurodevelopmental disorders)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서, 임산부의 에탄올 섭취는 장기 인지 (long-term cognitive), 신경 행동 장애 (neurobehavioral disruption), 성장 결핍 (growth deficits), 및 간질 (epilepsy) (Berman and Hannigan, 2000; Mattson, 2001, Kelly et al., 2000, Sampson et al., 2000; Autti-Ramoet al., 2000)을 나타내는 중추 신경 시스템 (central nervous system)의 발달 (Zhou et al. 2000; McGoey et al., 2003; Guerri, 2002)에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산부에 있어서 알코올이 어떠한 경로에 의해 태아의 신경질환을 야기시키는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GABA B1 수용체 및 GABA B2 수용체와 관련하여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니코틴"이란, 가짓과의 식물에서 발견되는 식물의 2차 대사물질인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 염기성 유기 화합물이다. 주로 담배에서 많이 발견되며 토마토, 감자, 가지와 피망에도 적은량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코카나무의 잎에서 코카인과 같이 나오기도 한다. 대개 말린 담배잎의 0.6%에서 3.0%정도의 무게를 구성하는 물질로 담배의 뿌리에서 합성되어 잎에 축적된다. 니코틴은 곤충에 강력한 신경독성을 발휘하여 살충기능으로 작용한다. 저농도에서 (보통 담배는 약 1mg의 니코틴을 함유) 니코틴은 포유류에게 각성효과를 보이며, 이는 흡연이 습관성이 되는 주요 요소 중의 하나가 된다. 니코틴은 자극을 유발하며 이를 통해 이완, 기민, 진정, 각성효과를 보이는데, 흡연시 니코틴이 스며든 피가 수 초(second) 이내에 폐로부터 두뇌에 전달되고, 즉각적으로 아세틸콜린,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바소프레신, 알기닌, 도파민, 베타엔돌핀 등 수많은 화학 전달물질의 배출을 자극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낮은 수준의 혈중 니코틴 농도는 신경 전달을 자극하고, 높은 혈중 니코틴 농도는 활동전위의 경로를 둔화시켜 가벼운 진정 효과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으며, 낮은 복용량의 경우 잠재적으로 두뇌의 노르에피네프린과 도파민의 활동을 강화하여 정신흥분제가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마약 효과를 유발한다. 이러한 니코틴의 효과와 관련하여 니코틴과 GABA 분비 이상에 대한 연구는 알려진 바 없으며, 특히 임신 중 니코틴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과 관련하여 니코틴과 GABA와의 관계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뇌 발달 초기의 세포가 니코틴에 노출되는 경우, GABA 수용체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는 한편, 해당 세포에 후보 물질을 투여하는 경우 GABA 수용체의 발현량이 정상으로 회복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회복 가능한 물질이 비타민 C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GABA 수용체"란 GABA와 결합하여 이온 채널의 개발 여부를 조절함으로써, 흥분성 또는 억제성 신호를 전달한다고 알려진 단백질로서, 그 소단위체로서 GABA A 및 GABA B 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고, GABA B 수용체는 다시 GABA B1 및 GABA B2 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시냅스 전 GABA B 수용체 (presynaptic GABA B Receptor)가 흥분성 (excitatory) 및 억제성 (inhibitory) 신경전달물질 모두의 분비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GABA A 및 GABA B 수용체는 모두 신경 흥분능 (neuronal excitability) 및 간질화 (epileptogenesis)와 관련되어 있으며, 전신 경련 발작 (generalized convulsive seizures)의 조절에서 GABA A 수용체의 관여에 대해서는 상당한 부분이 알려져 있으나 (Mohler et al., 1996), 간질 과정 (epileptic processes)에서의 GABA B 수용체의 역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Libri et al., 1998). 또한 GABA B 수용체와 관련하여, 알코올 또는 니코틴과 관련된 구체적인 기작 또는, 상기 물질들이 GABAB 수용체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임신 중 태아의 신경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된 바는 없다.

본 발명의 "단백질 키나제 A-α"란, GABA 수용체에서 이차 메신저 (second messenger)로 작용한다고 알려진 단백질로서, cAMP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 내 변화를 유발할 수 있고, 단백질 키나제 A-α 인산화 단계의 변화를 통해 단백질 키나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다운스트림 유전자 발현 변화를 조절할 수 있다. 급성 에탄올 노출은 cAMP-신호 네트워크의 다양한 성분을 조절하고 시험관 내에서의 연구는 에탄올이 Gαs 서브유닛 활성화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아데닐사이클라제 (AC)와 Gαs의 상호작용을 증가시키며, cAMP 및 단백질 키나제 A에 대한 증가시킴을 나타낸다. GABA B 수용체의 조절 효과는 GABA B 수용체와 함께 관찰되는 행동변화의 기초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 키나제 A-α의 약물에 대한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도3 및 도 4). 이는 에탄올이 전체 단백질 키나제 A-α의 양에 어떤 영향도 끼치지 않는다는 이전의 연구와는 상이하며, 더욱이 단백질 키나제 A-α에 대한 GABA B 수용체의 조절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단백질 키나제 A-α에 대한 발현 변화를 조사한 결과, 바클로펜 및 파클로펜 처리는 에탄올 처리보다 상위에서 단백질 키나제 A-α 변화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GABA B1 수용체, GABA B2 수용체 또는 단백질 키나제 A-α 단백질 발현량의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의 발현 확인은 mRNA 수준 또는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을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mRNA 양을 측정하기 위한 예로써 RT-PCT, 경쟁적 RT-PCR (Competitive RT-PCR), 실시간 RT-PCR (real tim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 (RPA; RNase protection assay), 노던 블롯 (Northern blotting) 및 DNA 칩 등을 들수 있으나, 상기 예에 의해서 확인 방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백질의 발현 확인은 GABA B1 수용체 , GABA B2 수용체 또는 단백질 키나제 A-α 단백질 각각에 대한 특이적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 측정법에 의해 단백질의 양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웨스턴 블롯,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 면역 분석법 (radioimmunoassay, RIA), 방사선 면역 확산법 (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 (ouchterlony) 면역 확산법, 로케트 (rocket) 면역 전기 영동, 조직 면역 염색, 면역 침전 분석법 (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 (complement fixation assay), FACS 및 단백질 칩 (protein chip)등이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백질의 양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항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표적 단백질에 특이적이고 검출 가능한 표지에 연결된 제2항체를 첨가할 수 있으며, 검출은 또한 제2항체를 첨가한 후, 제2항체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가지며, 검출 가능한 표지에 연결된 제3항체를 첨가할 수도 있다. 제2항체 또는 제3항체에 검출될 수 있는 표지는 적절한 발색성 기질과 배양시 발색을 나타내는 효소가 사용될 수 있다. 검출 가능한 부분은 분광학적, 효소적, 광화학적, 생화학적, 생체전자공학적, 면역화학적, 전기적, 광학적 또는 화학적 수단으로 검출가능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형광 마커 및 염료, 자성 표지, 연결된 효소, 질량 분광 태그, 스핀 표지, 전자 전달 공여자 및 수용자 등이 있으나 상기 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웨스턴 블롯을 이용하여 GABA B1 수용체 , GABA B2 수용체 또는 단백질 키나제 A-α 발현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대조군"이란, 알코올 또는 니코틴을 투여하지 않은 세포를 가진 집단을 의미하며, 알코올 또는 니코틴을 투여하거나 투여된 실험군 개체와 GABA B1 수용체, GABA B2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 단백질 발현량 비교를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후보 물질" 이란 임신 중 알코올 또는 니코틴 노출에 의한 신경 질환을 치료하는 활성을 테스트할 약제를 의미하며, GABA B1 수용체, GABA B2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대상으로서, 예컨대 단백질, 올리고펩티드, 소형 유기 분자, 다당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광범위한 화합물 등의 임의 분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후보 물질은 또한 천연 물질 뿐 아니라 합성 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니코틴 노출에 있어서, 후보물질로 비타민 C를 투여함으로써 GABA B 의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발달 초기의 뇌 세포"란 분화를 거쳐 개체로 성장하는 시기의 세포로서, 특히 뇌세포가 발달을 시작하는 임신 중기의 뇌세포이다. 이러한 발달 초기의 뇌 세포는 개체에 따른 전체적 임신 기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랫트의 경우 임신 15주 내지 임신 20주 사이의 개체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랫트의 경우 상기 세포는 임신 17.5주의 모체로부터 태아의 뇌세포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달 초기의 뇌 세포에 에탄올 또는 니코틴의 투여 후 GABA B 수용체 (GABA B1 수용체 및 GABA B2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는 한편, 상기 세포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여 상기 단백질들의 발현이 감소하는 경우, 처리된 후보 물질을 임신 중 알코올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 치료제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뇌 세포는 신경 발달 초기의 뇌 세포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랫트의 신경 발달 초기 뇌 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랫트의 임신 17.5일의 피질 및 해마로 부터 분리한 세포일 수 있고, 에탄올 또는 니코틴에 노출되는 시간은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노출 시간은 단기 노출 또는 장기 노출로 구분되어 그 효과를 비교 사용할 수 있고, 단기 및 장기 노출 시간의 기준은 개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랫트의 경우에 있어서 단기 노출시간은 20분이고, 장기 노출시간은 1시간일 수 있으며, 관찰에 더욱 바람직한 시간은 에탄올에 20분 노출시킨 경우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자들은 임신 17.5일에 시험관 내의 GABA B1 , GABA B2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에서 에탄올, 바클로펜, 파클로펜, 니코틴, 비타민 C, 에탄올과 비타민 C의 병용 및 니코틴과 비타민 C의 병용에 따른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GABA B1 , GABA B2 수용체는 피질 및 해마에서 차별 발현을 나타내었다. GABA B1 , GABA B2 수용체는 해마에서 상기 약물에 의해서 증가되었다. 피질에서 상기 수용체들은 20분 동안 상기 약물에 노출됨으로써 유의적으로 발현이 증가되었다. 1시간 동안의 노출에 의해 상기 수용체의 증가시, GABA B1 수용체는 발현이 상당히 감소된 니코틴과 비타민 C 병용을 제외한 모든 약물에 대해서 증가된 발현을 나타낸 반면에, GABA B2 수용체 발현은 약물 노출 1시간 후 에탄올 및 파클로펜에 대해서는 증가하였지만 다른 약물에 대해서는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러한 측정 결과는 약물 투여에 따른 피질 및 해마의 성장기 동안 GABA B1 , GABA B2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조절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측정 결과는 단백질 키나제 A-α가 GABA B1 , GABA B2 수용체 분포와 상당히 중복됨을 나타내고, 이는 약물 투여가 단백질 키나제 A-α 전자 조절 경로의 연관을 나타내는 GABA B1 , GABA B2 수용체의 영향을 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 단백질이 피질 및 해마에서 차별 발현 패턴을 보인다는 것과 GABA B 수용체 활성은 에탄올 및 니코틴 처리시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 변화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급성 에탄올 섭취는 GABA B 수용체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것의 상호작용은 해마 GABAergic 시냅스의 전반적인 에탄올 민감성을 조절한다. 에탄올이 해마 및 다른 뇌 영역에서 GABA 분비를 증가시킨다는 관찰과 관련된 이러한 발견은 GABAergic 뉴런전달의 에탄올 조절의 추가 증거를 제공하고, 비타민 C는 알코올과 니코틴의 해로운 효과에 대항하는 뉴런보호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이러한 결과는 초기 발달 성장기 동안 에탄올 및 니코틴 섭취로 인한 세포 분화, 이동 및 뉴런 성숙 변화에 대해 GABA B 수용체가 관련되어 있다는 견해를 제공하고, 약물은 단백질 키나제 A-α 전사 조절 경로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는 GABA B 수용체에 영향을 끼친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임신 중 니코틴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태아 신경 질환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니코틴에 노출시킨 발달 초기의 뇌세포는 니코틴 단독 노출에 비해 비타민 C를 병용투여하여 노출시킨 경우 GABA B 의 발현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태아의 신경 발달 초기에 있어서, 니코틴의 노출에 대해 비타민 C가 신경 발달 과정을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유도함으로서 니코틴의 GABA B 발현 증가작용으로 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하여 적절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 연고제 등의 외용제, 좌제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형화 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주사제의 기제로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및 방부제와 같은 종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구, 정맥내, 피하, 피내, 비강내, 복강내, 근육내, 경

피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1. 동물 처리

암컷 (n=50) 스프래그-돌리 랫트 (250 gm 몸무게, 경상대, 신경생물학 실험실)는 온도-통제 환경인 6시에서부터 20시까지 광선하에 사료와 함께 적응시켰다. 실험군의 랫트에게는 물을 주었다. 시간에 맞춰 임신 (수정한 날을 임신 0.5일로 봄). 임신 17.5일 후 임신한 스프래그-돌리를 펜토바르비탈 나트륨(3 mg/100 g b.w) 주사를 정맥 주사 후 목을 베어 희생시켰다. 임신 17.5일에 태아를 양막으로부터 제거 분리시켰다. 상기 태아 뇌를 피질 및 해마로 나누었다.

실시예 2. 초대 세포 배양 및 약물 처리

임신 17.5일의 스프래그-돌리 랫트의 피질 및 해마를 배양하였다. 풀드 (pooled) 해마 및 피질 조직을 0.25% 트립신-EDTA로 20분 동안 처리하였고, 동결 칼슘- 및 마그네슘-유리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pH 7.4)에서 기계적 연화에 의해 해리시켰다. 원심분리하여 펠렛팅 후, 세포를 폴리-리신(0.02 g/l) 및 챔버 슬라이드로 예비-코팅된 세포 배양판에 놓았다 (1×10 6 cells/ml). 상기 배양 배지는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10% 열-불활성화 태아 우혈청, 1 mM 피루브산염, 4.2 mM 탄화수소나트륨, 20 mM HEPES, 0.3 g/l 우혈청 알부민, 50 U/ml 페니실린 및 50 mg/l 스트렙토마이신으로 구성하였다. 5% CO 2 및 95% 공기의 습도, 37℃의 온도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뉴런아교 (Neuroglia) 세포를 100 μM 시토신 β-D-아라비노 퓨라노사이드 (arabino Furanoside) (Sigma)를 포함한 배지에서 12시간 배양하여, 억제하였다. 5일 후, 피질 및 해마 뉴런 세포를 각각 다른 군에서, 정상 배지 및 에탄올 100 mM, 니코틴 50 μM, 바클로펜 50 μM, 파클로펜 100 μM 및 비타민 C 0.5 mM 및 이들의 병용을 포함하는 배지에 처리하였다. 모든 약물 처리군을 시험관 내 배양에서 20분 및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 3. 웨스턴 블롯 분석 및 약물 투여에 따른 GABA B1 수용체, GABA B2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 단백질 발현량 비교

시험관 내에서 자란 피질 및 해마의 배양된 세포로부터 얻은 샘플을 인산 완충식염수 (0.02 M PBS)로 균질화시켰다. 초원심분리 (12,000 rpm, 10분 ×2) 후, 상등액을 바이오-래드 단백질 (Bio-Rad Protein) 분석으로 측정하였고, 래인 (lane) 당 30 ㎕ 단백질을 사용하였다. 상기 가용성 분획 (30 ㎍)을 이중 12%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30% 아크릴아마이드/1% 비스/1 M 트리스/20% SDS/10% APS/TEMED) 상에서 분리하였다. 겔을 쿠마시 블루로 염색하였고, 다른 겔 상의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스막 위로 이동시켰다 (48 mM 트리스에서 1시간 동안 90 V, 39 mM 글리신, 20% MeOH 및 0.037% SDS 트랜스퍼 완충액). 비-특이적 결합을 환원시키기 위해, 니트로셀룰로스막을 차단 용액 (0.1% (v/v) 트윈 20 및 6% (w/v) 탈지유를 포함한 트리스-완충 식염수 (TBS)로 처리하였다. 면역반응을 기니어피그-유도 항-랫트 GABA B1 , GABA B2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 항체 (1:1000, 24시간, 4 ℃, Chemicon, USA) 또는 래빗-유도 항-랫트 GABA B1 수용체 항체 (1:1000, Abcam Limited, UK)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헹군 후에, Horseradish 퍼옥시다제-컨쥬게이트된 염소 항-쥐 및 기니어피그 IgG (1:10000, Bio-Rad)를 첨가하였고, 실온에서 40분 동안 배양하였다. 단백질을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ECL-감지 시약 (Amersham Pharmacia Biotech, 웨스턴 블롯팅 감지 시약)을 사용하여 화학발광 (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으로 측정하였다. 웨스턴 블롯을 컴퓨터-기초 Sigma Gel (SPSS Inc. Chicago, USA) 시스템을 사용하여 농도계측기에 의해 분석하였다. 밀도값을 평균 ±표준오차로서 표현하였다. Tukey-Kramer 다중-비교 테스트에 따른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 analysis)을 관련된 실험군 사이의 유의적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모든 경우에서, 통계적 유의미에 대한 수용 값은 p가 0.01보다 작을 때이다.

3-1. 랫트 뇌의 피질 및 해마에서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 발현을 증가시키는 에탄올 섭취

그 결과, 시험관 내에서 20분 및 1시간 동안 에탄올 노출시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가 임신 17.5일에 뇌의 피질 및 해마 영역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발현이 상당히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도 1 및 도 2).

또한 본 발명자들은 에탄올과 비타민 C의 병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대조군과 비교시, 해마에서는 GABA B1 및 GABA B2 의 발현이 상당히 증가하는 반면에, 피질에서는 단백질 수준에서 GABA B1 은 증가되고 GABA B2 는 감소되었다 (도 1 및 도 2). 이는 GABA B2 보다 GABA B1 mRNA가 초기에 더 높은 발현 패턴을 보임을 나타내며,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는 명확한 분배 패턴을 나타내고, 뇌의 여러 지역에서 초기 성장기 동안 잠재적으로 다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3-2. 피질 및 해마에서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 발현시 니코틴 효과

니코틴이 GABA B 수용체 발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임신 17.5일에 시험관 내에서 대조군 및 니코틴 처리군의 피질 및 해마 초대 배양 세포에서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분 및 1시간 니코틴 처리군이 피질 및 해마에서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도 1 및 도 2). 이는 니코틴이 피질 및 해마에서 GABA B1 및 GABA B2 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본 결과는 급성 니코틴 노출은 GABA B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만성 및 장기간의 노출은 니코틴에 대해 GABA B 수용체를 민감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니코틴과 비타민 C의 병용 효과를 시험하였다. 해마에서 GABA B1 및 GABA B2 모두는 대조군과 비교시 1시간 처리군에서는 증가되었으나, 피질에서 GABA B1 은 변화가 없었던 반면에 GABA B2 는 대조군과 비교시 단백질 수준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다 (도 1 및 도 2). 이러한 결과는 비타민 C와 니코틴 병용 처리군은 GABA B1 수용체의 발현에 유효한 효과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며, 비타민 C는 부분적으로 GABA B2 수용체 발현시 니코틴 효과를 상쇄시킨다는 것을 제시한다.

3-3. 시험관 내 바클로펜 및 파클로펜 처리에 대한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의 발현

시험관 내에서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 발현 변화 확인은 뉴런세포 상에서 GABA B 수용체의 작용제 및 길항제인 바클로펜 및 파클로펜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시 20분 및 1시간 바클로펜 및 파클로펜 처리군이 해마에서는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피질에서는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가 20분 동안 바클로펜 및 파클로펜 처리군에 대해서는 증가된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에, 1시간 처리군은 GABA B1 에 대해서는 증가를 나타냈으나, 바클로펜에 대해서는 GABA B2 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파클로펜의 경우, GABA B1 및 GABA B2 모두 상당히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도 1 및 도 2)

3-4. 피질 및 해마에서 단백질 키나제 A-α 발현시 에탄올의 조절 효과

단백질 키나제 A-α 발현시 에탄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웨스턴 블롯을 행했고 그 결과, 에탄올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시 피질 및 해마에서 단백질 키나제 A-α 농도의 발현이 증가됨을 나타냈다(도 3 및 도 4).

본 발명의 측정 결과는 에탄올이 전체 단백질 키나제 A-α의 양에 어떤 효과도 일으키지 않는다는 이전의 보고와는 다르다. 이어서 바클로펜 및 파클로펜은 피질에서 20분 및 1시간 동안 단백질 키나제 A-α의 현저히 감소된 발현을 나타냈고 반면에, 해마에서는 20분 동안은 증가되나, 1시간 후에는 감소되었다 (도 3 및 도 4).

또한 본 발명자들은 에탄올과 비타민 C의 병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피질 및 해마 모두에서 나타나는 단백질 키나제 A-α 농도는 1시간 처리 (도 3 및 도 4) 후 대조군에 대해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비타민 C는 단백질 키나제 A-α에서 에탄올 효과와 반대되는 작용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3-5. 피질 및 해마에서 단백질 키나제 A-α 발현을 조절하는 니코틴

단백질 키나제 A에 대한 니코틴의 생화학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임신 17.5일에 시험관 내의 피질 및 해마 세포에서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피질 및 해마에서 니코틴은 20분 동안 단백질 키나제 A-α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1시간 후 피질은 아무런 변화도 없었으나 해마는 니코틴 처리 후 단백질 키나제 A-α 발현이 더욱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도 3 및 도 4). 또한 본 발명자들은 단백질 키나제 A-α에 대한 니코틴과 비타민 C의 병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시간 처리 후 해마 및 피질은 대조군과 비교시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도 3 및 도 4), 이는 비타민 C는 니코틴과 병용하여 노출되거나 피질 및 해마 뉴런 배양액에서 단독으로 존재할 때 단백질 키나제 A-α의 발현시 유의미한 효과를 지닌다는 것을 제시한다.

실시예 4. 면역-형광법 및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α의 동시-국소화 및 분배

GABA B1 및 GABA B 수용체 및 단백질 키나제 A의 분배 변화를 직접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이중 표지된 면역-형광법 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신 17.5일에 시험관 내의 폴리-D-리신-코팅된 챔버 슬라이드 상에서 자란 초대 피질 및 해마 세포 배양에서 면역형광법을 실시하였다. 상기 배양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가 포함된 PBS로 5분 동안 고정시켰고, 5분 동안 0.3% Triton X-100가 포함된 PBS로 투과시켰고, PBS에서 두 번 세척하였다. 상기 세포를 37℃에서 1시간 동안 10% BSA가 포함된 PBS로 예비-배양하였고, 4℃에서 하룻밤동안 1차 항체에 노출시켰다. 면역반응을 기니어피그-유도 항-랫트 GABA B1 , GABA B2 수용체 (1:500, 24 시간, 4 , Chemicon, CA, USA) 및 래빗 항-랫트 단백질 키나제 A-α (1:500, Santa Cruz, USA)를 사용하여 배양을 하여 실시한 후, 세포를 헹구고 나서, 2차 항체를 1:100으로 컨쥬케이트된 항-래빗 IgG-TRITC 및 FITC, 1:150으로 컨쥬게이트된 항-기니어피그 IgG-FITC (DAKO Cytomation, Denmark)의 농도로 적용시켰다. 이중 염색을 위해, 배양을 평행하게 실시하였다. 글라스 커버 슬립을 봉입제 (mounting medium)로 글라스 슬라이드 상에 고정시켰다. Zeiss 형광 현미경(Zeiss, Germany) 및 공초점 현미경(Olympus, Japan)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얻었다. 상기 사진을 소프트 이미지 시트템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그 결과, 면역형광법 이미지는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가 주로 단백질 키나제 A-α와 동시-국소화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GABA B1 및 GABA B2 수용체는 주로 세포질에서 발견되고 약간은 핵에서도 발견되지만, 반면에 단백질 키나제 A는 핵, 수상돌기 (dendrites), 세포질에서 국소화된다 (도 5,6,7).

상기 결과들을 바탕으로 에탄올은 GABA B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켜, 비정상적인 증가로 인한, 알코올 노출에 의한 신경 질환을 일으킨다는 것과, 니코틴이 GABA B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켜 비정상적인 증가로 인한 니코틴 노출에 의한 신경 질환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