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TUNDISH FLUX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20/067607
Kind Code:
A1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rise, on the basis of 100 wt% of a tundish flux, 40-50 wt% of CaO, 5-10 wt% of SiO2, 25-30 wt% of Al2O3, 4-10 wt% of Al, 5-20 wt% of Fe2O3, FeO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balance of MgO and other inevitable impurities.

Inventors:
JUNG SUNGHOON (KR)
CHOI SUNG MIN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5190
Publication Date:
April 02, 2020
Filing Date:
December 03, 2018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POSCO (KR)
International Classes:
B22D11/108; B22D11/111
Foreign References:
KR100579396B12006-05-12
KR20130015148A2013-02-13
KR20120057368A2012-06-05
KR20170123887A2017-11-09
US6179895B12001-01-30
Attorney, Agent or Firm:
YOU ME PATENT AND LAW FIRM (KR)
Download PDF:
Claims:
2020/067607 1»(:1^1{2018/015190

【청구범위】

【청구항 1]

전체 100중량%에 대해,

030: 40 내지 50중량%,

02 : 5내지 10중량%,

203 : 25내지 30중량%,

시: 4내지 1◦중량%,

산화물: 5내지 20중량%,

잔부 1\1的및 기타불가피한불순물을포함하는 턴디쉬 플럭스.

【청구항 2】

제 1항에서,

산화물은 6내지 20중량%를포함하는 턴디쉬 플럭스.

【청구항 3]

제 2항에서,

상기 근계 산화물은 ¾03 , 故, 또는 이들의 조합을포함하는턴디쉬 플럭스.

【청구항 4]

제 3항에서,

산화물은 ¾03를포함하는 턴디쉬 플럭스.

【청구항 5】

제 4항에서 ,

상기 턴디쉬 플럭스에서 시과 6계 산화물의 중량비는 0.25내지 2.0 인 턴디쉬 플럭스

【청구항 6】

제 5항에서'

상기 턴디쉬 플럭스의 평균 입경은 10.0ä 이하인 턴디쉬 플럭스. 【청구항 7]

제 6항에서 ,

상기 턴디쉬 플럭스의 평균 입경은 0. 1내지 7.0ä인 턴디쉬 플럭스.

Description:
2020/067607 1»(:1^1{2018/015190

【명세서】

【발명의 명칭】

턴디쉬 플럭스

【기술분야】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턴디쉬 플럭스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제강 공정에서 전달되는 용강에는 탈산 공정에서 기인하는 제강성 개재물이 주를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0 2 계 및 시 2 0 3 계 개재물이 형성되며, 이러한 개재물은 연주공정를 거쳐 압연공정에서 개재물성 결함 및 크랙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연주공정에서는 개재물의 제거를 위해 턴디쉬 플럭스를 사용한다. 0크0- 0 2 계 플럭스와◦ & 0-시 2 0 3 계 플럭스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030- 02계 턴디쉬 플럭스는산성 플럭스를 나타내는 플럭스(此 "로 불리며, 030-시 2 0 3 계 턴디쉬 플럭스는 염기성 플럭스를 나타내는 플럭스犯크크 1따)"로 불린다.요플럭스는 탈산강에 사용되고,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반면 개재물의 흡수능은 열위한 특징이 있다.한편 8플럭스는시탈산강에 사용되며,쇼플럭스에 비하여 융점이 높은 대신 개재물의 흡수능은 우위에 있다는 특징이 있다.

개재물의 흡수능을 극대화하여 고청정강 제조를 위한 턴디쉬 플럭스 성분계는 이미 여러 가지 제안이 있고, 실 공정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턴디쉬 플럭스의 느린 용융속도와 관련한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실제 공정에서 턴디쉬 플럭스의 투입은 턴디쉬에 용강이 토출되고 난 직후에 실시되고 있으나, 투입된 턴디쉬 플럭스가 용융되어 턴디쉬 슬래그의 두께가 10ä에 도달하는데 30분 이상이 소요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연연주 중 첫 번째 차지의 경우 대기에 의한 재산화가 발생하여, 용강 내에 시 2 0 3 개재물이 형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턴디쉬 플럭스가 액상을형성한 이후에 개재물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고상 상태의 턴디쉬 플럭스는 개재물 흡수의 효과가 미미하다. 2020/067607 1»(:1^1{2018/015190

따라서, 턴디쉬 플럭스의 용융이 지연될수록 대기에 의해 시 2 0 3 개재물이 생성되어 개재물의 흡수 효율이 떨어져 용강 청정도가 악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주초기 주편의 일정량을 절단하여 스크랩 처리를 하는 것이 불가피하며, 용강 청정도에 의해 제품품질이 크게 영향을 받는극저탄 자동차용외판재의 경우주조시작 이후 약 2001 이내의 주편에 대하여 사용을 제한하고 있어 생산효율측면에서 많은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턴디쉬 플럭스의 느린 용융속도에 의한 연연주 첫 번째 차지((土3 6)에서의 용강 재산화 및 개재물 흡수능 열위에 의한용강청정도 열위의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방법이 없는실정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고자하는과제】

턴디쉬 플럭스에 첨가한 알루미늄금속(사)과 6계 산화물의 발열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열량으로 턴디쉬 플럭스의 용융 속도를 향상시킬 수 . 있다.

그 결과, 용강 재산화가 억제되어 용강 청정도를 개선하고자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알구현예인 턴디쉬 플럭스는,전체 100중량%에 대해, 0 & 0: 40내지 50중량%, 0 2 : 5내지 10중량%, 시 2 0 3 : 25내지 30중량%, 시 : 4내지 10중량%, 근계 산화물: 5내지 20중량%, 잔부 ¾¾0및 기타불가피한불순물을 포함할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6계 산화물은 6내지 20중량%를포함할수 있다. 상기 근계 산화물은 Fe 2 0 3 , 的, 또는 이들의 조합을포함할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근계 산화물은 6 2 ¾를포함할수 있다.

상기 턴디쉬 플럭스에서 시과 6계 산화물의 중량비는 0.25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턴디쉬 플럭스의 평균 입경은 10.0^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턴디쉬 플럭스의 평균 입경은 0. 1내지 7.0ä일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턴디쉬 플럭스에 발열 성분을포함시켜 용융 2020/067607 1>(그1'/1 ?2018/015190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주조업 중 턴디쉬 내 용강의 대기 재산화 억제 및 용강내 개재물을포집할수 있다.

이에 따라, 연주조업 중 첫 번째차지(此크 의 용강청정도를 개선하여 초기 주편 절사량을 저감할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설명】

도 1은 연속주조장치의 부분구성도를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진공유도용해로의 개략도를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실시예와비교예에 따른턴디쉬 플럭스의 용융 속도를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턴디쉬 플럭스투입 후 시간에 따른용강내 용존산소 농도의 변화를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턴디쉬 플럭스투입 후 시간에 따른용강내 용존시 농도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주조 길이에 따른용존산소농도의 변화를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

도 7은주조 길이에 따른용존시 손실량의 변화를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발명을실시하기 위한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아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턴디쉬 플럭스는 전체 100중량%에 대해, 0 3 0: 40내지 50중량%, 0 2 : 5내지 10중량%, 시 2 0 3 : 25내지 30중량%, 시: 4내지 10중량%, 6계 산화물: 5내지 20중량%, 잔부 ¾¾0및 기타불가피한불순물을 포함할수 있다.

턴디쉬 플럭스의 성분 및 조성 범위를 상기와같이 한정한구체적인 이유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턴디쉬 플럭스는 030: 40내지 50중량%, 0 2 : 5내지 1◦중량%, 시 2 0 3 : 25내지 30중량%를 포함할수 있다.

상기와 같이 030- 0 2 -시 2 0 3 계 조성의 플럭스를 기본으로 한다. 2020/067607 1»(:1^1{2018/015190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의 플럭스가개재물흡수측면에서 가장우수할수 있다.

구체적으로, 50중량%를포함할수 있으며 , 0 2 는 5 내지 10중량%를포함하는 한편, 시 2 0 3 는 25내지 30중량%를포함할수 있다. 이러한 범위는 0 3 0- 0 2 -시 2 0 3 계에서의 턴디쉬 플럭스의 융점을 감안하여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500°〔 이하의 플럭스융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0크0, 0 2 , 사 2 0 3 성분범위는 액상플럭스의 점도가 가장낮은 영역으로플럭스의 개재물흡수능도뛰어난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턴디쉬 플럭스는 알루미늄 금속과 6계 산화물을 같이 포함할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시: 4내지 10중량%포함할수 있다.

알루미늄금속의 함량이 4중량%미만일 경우, 발열반응에 의한 발열량이 적어서 들럭스의 용융속도가크게 증가하지 못하는문제점이 있을수 있다.

한편, 알루미늄금속의 함량이 10중량%초과일 경우, 플럭스 내의 알루미늄금속이 전량 발열반응에 의해 시 2 0 3 가되지 못하고용강내에 녹아 들어 용존 알루미늄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목표한용강 성분계를 벗어날위험이 있을수 있다.

¾계 산화물은 5내지 20중량%포함할수 있다.구체적으로,상기 6계 산화물은 6내지 20중량%를포함할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10내지

20중량%만큼포함할수 있다.

산화물의 함량이 너무 적을 경우, 알루미늄과의 반응이 충분하지 못해 용융에 필요한 열량이 충분하지 않을수 있다. 계 산화물의 함량이 너무 많을 경우, 용강 재산화위험이 증가할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과 산화물의 중량비(시序군계 산화물)는 0.25내지

2의 범위일 수 있다.구체적으로,중량비가 0.25미만일 경우,턴디쉬 플럭스 내의 Fe 2 0 3 가 10중량%이상 잔존할수 있다. 이에, 산화, 환원 반응이 충분하지 않아 2 0 3 에 의한용강 재산화가발생할수 있다.

한편, 중량비가 2초과일 경우, 반응 이후에도 알루미늄이 잔존하여 용강내의 알루미늄농도를높일 수 있다. 2020/067607 1»(:1^1{2018/015190

구체적으로, 알루미늄과 계 산화물의 중량비가상기 범위일 경우, 발열 반응 이후 최종 턴디쉬 플럭스의 성분이 6플럭스犯33 때)와 유사할수 있다. ^플럭스어크 比 11)0"란, 염기성 플럭스를 나타내는

◦30-사 2 0 3 계 턴디쉬 플럭스를 의미하며, 개재물의 흡수능이 우수할수 있다.이에 , 개재물흡수능이 우수한동시에 발열 속도가빠른플럭스를 제공할수 있다.

이때, 6계 산화물은 ¾ 2 0 3 ,能0,또는 이들의 조합을포함할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¾0 3 를포함할수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과 근계 산화물을동시에 첨가하는 경우, 산화, 환원 반응을통해 열량을 생성할수 있다.

턴디쉬 플럭스 내 알루미늄과 근계 산화물에 의한발열반응의 원리를 설명하면 하기 반응식 1과 같다.

[반응식 1]

2/11 + 62¾ =시 2 0 3 + 2 6 반응식 1과 같은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발열 반응이 유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 반응으로 의 사 당 16.40의 열량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식 1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턴디쉬 플럭스의 승온 및 용융에 필요한 열량을 일부혹은 전량 확보하여 턴디쉬 플럭스의 용융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턴디쉬 플럭스에 의한 반응열은 20 0/10½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반응열은높을수록좋기 때문에 상한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턴디쉬 플럭스의 평균 입경은 10.0ä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0. 1 내지 7.0ä일 수 있다.

보다구체적으로, 턴디쉬 플럭스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일수록 용융속도가빠를수 있다.

상술한바와 같은 턴디쉬 플럭스는 연속주조공정에서 용강에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개시된 구성을통해 설명하는 바와 같다. 2020/067607 1»(:1^1{2018/015190

도 1은 연속주조장치의 부분구성도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바와 같이 , 래들 (1)로부터 토출된 용강이 턴디쉬 (2)의 침지노즐 (3)을 통해 몰드 (4)에 주입되면서 용강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용강자체의 열원 이외에 외부적인 열원이 없기 때문에 주조중 용강의 온도하락및 응고에 따라서 노즐 막힘 현상이 증가할수 있다. 침지 노즐에서 용강의 토출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주조를중단하게 된다.

따라서, 연속주조공정에서의 용강의 온도 하락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목적으로 턴디쉬 플럭스 (5)를투입할수 있다. 구체적으로, 턴디쉬 플럭스 (5)는용강이 래들 (1)로부터 턴디쉬 (2)로토출되는 시점에 투입될 수 있다.

이후, 투입된 턴디쉬 플럭스 (5)가용융되어 대기와용강사이에 10ä 이상의 액상슬래그층을 형성함으로써, 대기와용강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 대기에 의한용강 재산화를 억제할수 있다. 또한, 용강위에서 용강의 온도 하락을 억제하여 보온 역할을 할수도 있다. 뿐만아니라, 제강공정에서 넘어오는 개재물을흡수할수 있다.

이하본 발명의 바람직한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하기 실시예는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플럭스의 조성과플럭스에 성분에 따른 발열량 (반응열)을 하기 표 1에 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턴디쉬 플러스 100중량%에 대한각성분의 중량을표 1에 개시하였다. 표 1에 개시하진 않았지만, 잔부는 ¾ 0및 기타불가피한 불순물일 수 있다.

【표 1】

2020/067607 1»(:1^1{2018/015190

표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1은 발열 성분인 알루미늄

금속(시)과 6계 산화물을포함하지 않는 경우이다.

비교예 1은상온으로부터 용융까지 필요한 열량이 100 § 의 플럭스 당 1550이다. 비교예 1과 같이 발열 성분을포함하지 않는 경우, 용융에 필요한 열량을용강의 전도 및 복사열로부터 얻을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겠지만플럭스의 용융속도가느릴 수 있다.

한편, 실시예의 경우 발열 성분을모두포함하고, 알루미늄과 Fe계 산화물의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반응에 의한 발열량도증가하는 것을 알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3의 경우에는, 턴디쉬 플럭스의 승온 및 용융에 필요한 대부분의 열량을 반응을통해 확보할수 있다.

한편, 알루미늄 산화물 중 1종만포함하는 비교예 3 내지 5의 경우에도 발열 반응이 충분하지 못한 것을 알수 있다.

알루미늄 금속만포함하는 비교예 3 및 4의 경우 반응열이 일부 발생하였다. 이는 알루미늄과 반응에 의한 열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다만, 0 2 의산소 친화도가높아, 알루미늄과 ¾0 3 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보다 매우낮은 것을 알수 있다.

이는실시예에 비해 열위한수준임을 알수 있다.

【표 2] ; 2020/067607 1»(:1^1{2018/015190

상기 표 2는실시예 2와같은조성에 입경만달리하여 플럭스용해 속도를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동일한시및 ¾0 3 농도를 가지지만, 입경이 다른실시예 2와비교예 6의 플럭스용해속도를측정한결과, 평균 입경이 작을수록 플럭스용해속도는증가하는 것을 알수 있다.

이는평균 입경이 작을수록시과 ¾0 3 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발열반응의 반응속도가증가하기 때문이다.

실험예 1: 용읍속도측정

실시예와비교예에 따른용융속도 및 재산화 억제 수준을판단하기 위하여, 301¾급진공유도용해로와상용되는 연속주조기를 이용하였다. 도 2는 진공유도용해로의 개략도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를 이용하여, 상기 표 1에 개시된 비교예 1과실시예 2에 따른플럭스를투입했을 때 용융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용존시의 함량이 20¾ 111인 용강을 용해한 이후

1600°〔로유지시킨 상태에서 40 의 플럭스를 투입하였다. 이때, 플럭스 용융시간 확인을위해 진공유도용해로 가시창을통해 비디오 촬영을 실시하여 도 4에 개시하였다.

도 3은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턴디쉬 플럭스의 용융 속도를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따른 턴디쉬 플럭스의 경우 용융에 소요되는 시간이 19분이 소요되는 것을 알수 있다. 한편, 실시예 2에 따른 턴디쉬 플럭스의 경우용융 시간이 3분으로 매우 짧은 것을 알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는 비교예에 알루미늄금속과 계 산화물을더 포함함에 따라턴디쉬 플럭스의 용융속도가증가한 결과를 확인할수 있다. 2020/067607 1»(:1^1{2018/015190

실험예 2: 용강의 청정도(용존산소및 알루미늄농도) 측정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전체 산소량 및 용존시량을측정하기 위하여 석영관 샘플러를용강내에 침적시키는 방식으로 용강 샘플링을

실시하였다.

본실험에서 사용한용강은 카본농도가 0.003중량%수준의 자동차용 극저탄소강이었다 .

그 결과는도 4내지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턴디쉬 플럭스투입 후 시간에 따른용강내 용존산소 농도의 변화를그래프로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턴디쉬 플럭스가용융 완료되는시점을

기준(0분)으로, 용융완료 이후 시간에 따른 전체奸 ) 산소의 거동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전체奸 ) 산소량은용강내에 녹아있는 용존 산소와개재물을 형성하고 있는 개재물산소의 합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전체奸야 ) 산소량은용강의 청정도를 나타내는 대표 지표로사용되며, 전체(그 ) 산소량이 낮을수록 용강 청정도는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플럭스를투입한 용강 샘플의 성분 분석 결과, 실시예 2는용융완료시점(0분)에서

전체奸아 )산소의 함량이 이후에도 20抑이수준을유지하는 것을 알수 있다.

다만, 비교예 1의 경우용융 완료시점에서 전체 산소의 함량이 23? 이고, 이후 35?1^1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용강의 청정도가더 우수함을 알수 있다. 도 5는 턴디쉬 플럭스투입 후 시간에 따른용강내 용존시 농도의 변화를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경우 턴디쉬 플럭스를 투입하기 전 용강내 용존 알루미늄의 함량은 0.017중량%이고, 플럭스투입 후용융 완료 시점(0분) 이후 0.016중량%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비교예 1의 경우 턴디쉬 플럭스를투입하기 전 용강내 용존 알루미늄의 함량은 0.016중량%이고, 용융 완료 시점(0분) 이후 0.004중량%로 급감하였다.

이는, 비교예 1에 따른 턴디쉬 플럭스는용융이 완료되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데 따른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바와 같이, 비교예 1은실시예에 따른플럭스보다용융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었다. 이에 따라, 비교예 1에 의한플럭스를 이용하는 경우 용융 시간이 길어지며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 용강내 용존 알루미늄이 대기 중 산소와반응함에 따라급감한 것이다.

[반응식 2]

4A1 + 30 2 = 2A1 2 0 3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실시예를 적용한 경우 턴디쉬 플럭스의 빠른용융에 따라용강의 재산화 반응이 억제됨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주조길이에 따른발열성 측정

한편, 상용 연주기를통한발열성 턴디쉬 플럭스 테스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및 2와동일한조건하에서의 비교를 위하여 동일

캐스트 (Cast )에서 Y strand에는 비교예 1을 130kg투입하였으며, X st rand에는실시예 2에 따른플럭스 70kg을투입한후 비교예 1을 60kg 투입하였다.

그 결과, 스트랜드 (strand) 별 주조길이에 따른 전체 (Total ) 산소량 거동을측정하여 도 7에 개시하였다.

도 6은주조길이에 따른용존산소농도의 변화를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따른 턴디쉬 플럭스를 투입하여 연속주조한경우, 주조길이 (cast ing length) 에서의

전체 (Total ) 산소량은 52ppm이다. 이후, 주조가진행됨에 따라 전체 (Total ) 산소량이 점차줄어들어 주조 길이 8m이후에서는용강내 전체 (Total ) 산소량이 25내지 30ppm으로 일정한수준을유지하였다.

한편, 실시예 2에 따른턴디쉬 플럭스를투입하여 연속주조한 경우, 주조 길이 2m시점에서부터 전체 (Total ) 산소량이 27ppm이었고, 주조가 진행된 이후에도 25내지 30ppm수준의 전체 (Total ) 산소량이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실시예에 따른플럭스를 이용하는 경우, 용융 시간이 짧아 초기 주조 단계에서 재산화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수 있다.

도 7은주조 길이에 따른 용존 A1 손실량의 변화를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주조 길이에 따른용강내의 용존 알루미늄 (A1 ) 손실 ( loss) 거동을 측정하여 도 7에 개시한 것이다.

연속주조공정에서 용존 A1 loss란, 제강에서의 마지막공정인 LF Ladle Furnace) 혹은 RH(Rheinstahl huttenwerke&Heraus)처리 후 연주로 래들이 이송되기 직전 채취한소강 샘플내의 용존 A1 농도와, 연주단계에서 채취한샘플의 용존 A1 농도의 차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제강마지막 단계에서의 용존 A1 농도를 가준으로, 연주 이송후용강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대기와의 반응 및 슬래그와의 반응등에 의해 용존 A1 농도가낮아져 용존 A1 loss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용존 A1 loss는 전체 (Total ) 산소와함께 용강 청정도를 나타내는지표로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한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따른플럭스를 적용한 경우용존 A1 loss는주조길이 lm시점 llOppm에서 주조길이 8m이후 60ppm수준으로 점차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수 있다. 한편, 실시예 2에 따른플럭스를 적용한 경우주조길이 2m시점에서 용존 A1 loss가 60ppm에 불과하고, 주조진행에 따라 계속유지됨을 알수 있다.

즉, 도 7로부터도실시예에 따른플럭스를 적용하는 경우, 초기 주조 단계에서 대기와의 반응을 억제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즉, 비교예 1과 같은 턴디쉬 플러스를용강에 첨가할 경우, 연주 첫 번째 차지 (charge , 1회 취련 완료된 쇳물의 회수)에서 플럭스의 용융이 충분하게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용강이 대기와반응하는시간이 길어지며 용강중의 산화원소인사과 대기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A1 2 0 3 개재물 형성이 용이할수 있다. 이 개재물은 제강공정에서 생성된 개재물과 함께 몰드 내로유입되어 개재물성 표면결함과내부품질 불량등을 유발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턴디쉬 플럭스의 개재물 흡수가미흡하여 이후 2020/067607 1»(:1^1{2018/015190

차지(此3대6)에 비해 용강 청정도도 매우 열위할수 있다. 이의 경우, 높은 품질을요구하는 극저탄자동차용 외판재에 사용할수 없기 때문에, 첫 번째 차지의 주편 사용에 제약이 있을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플럭스는 연주조업 초기 재산화를 억제하는데 탁월한효과가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초기 주편의 용강청정도 향상으로 초기 주편 절사량 저감 및 주편 사용 제한완화가가능함을 알수 있다. 본 발명은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구체적인 형태로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실시예들은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한다.

【부호의 설명】

1: 래들

2: 턴디쉬

3: 침지노즐

4: 몰드

5: 턴디쉬 플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