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CONCRETE FORM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084935
Kind Code:
A1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form which can be assembled/disassembled quickly and easily, and enables to construct a concrete structure having multiple sides and ceiling. The concrete form includes an inside bottom support (111 ) and an outside bottom support (112) both fixed to a construction ground side by side, one pair of mounting pieces (113) placed on the inside bottom support and the outside bottom support respectively for supporting a bottom of the form at a level, panels (120) placed on the mounting pieces (113)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 supports (130) each for supporting an outside of a connection portion for the panels (120), tightening members (140) on an inside of the panel to face the vertical supports (130) respectively, first fastening means for bringing the tightening members (140) and the vertical supports (130) into close contact with panels (120), horizontal supports (150) for supporting an outside of the vertical supports (130), and gap maintaining means (160)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s (150) of the inside bottom support (111) and the horizontal supports (150) of the outside bottom support (112) constant.

Inventors:
KIM, Jun (Gui-myeon Wanju-gun, Jeonbuk 565-821, KR)
김준 (565-821 Jeonbuk)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007
Publication Date:
July 09, 2009
Filing Date:
January 02,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KOREAN PENINSULA LTD. (Woosuk University Main Building490 Hujeong-ri, Samnye-eup, Wanju-gun, Jeonbuk 565-701, KR)
주식회사 한반도 (565-701 Jeonbuk)
KIM, Jun (Gui-myeon Wanju-gun, Jeonbuk 565-821, KR)
International Classes:
E04G11/02; E04G11/14; E04G17/14
Domestic Patent References:
WO2005010290A12005-02-03
Foreign References:
DE29615968U11996-11-07
DE844058C1952-07-17
GB288356A1928-03-26
GB1555049A1979-11-07
Attorney, Agent or Firm:
PARK, Moon Su (4th floor Hyundai Building,175-9 Jamsil-dong, Songpa-gu, Seoul 138-861, KR)
Download PDF:
Claims:
시공 바닥면에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고정된 내측바닥지지대와 외측바닥지지대;

상기 바닥지지대들의 상부에 놓여져 거푸집의 하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거치대;

각 거치대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거푸집 패널;

상기 거푸집 패널과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외측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와 마주보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에 위치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와 수직지지대를 거푸집 패널에 긴밀히 밀착시키기 위한 제1조임수단;

수직지지대들의 외측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 및

내측바닥지지대의 수평지지대와 외측바닥지지대의 수평지지대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임수단은

수직지지대의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공;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끼움공측으로 확관되도록 중앙에 단턱부가 형성된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을 통과하여 밀착부재의 전면에 고정되는 관통볼트; 및

상기 관통볼트에 체결되어 가이드관의 단턱부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조임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패널의 양단부를 감싸는 보호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바닥지지대들의 외부로 양단이 돌출되도록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들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연결볼트; 및

상기 연결볼트의 양단에 체결되어 수평지지대의 전면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조임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는 소정의 연결구를 통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부수평지지대와 하부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볼트의 양단은 상부수평지지대와 하부수평지지대 사이로 돌출되며,

상기 조임너트는 상부수평지지대와 하부수평지지대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볼트는 거푸집의 내측면과 인접한 지점에서의 외경을 축소시키는 한 쌍의 오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오목부에는 거푸집 패널의 내측면에 간섭됨으로써 오목부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와셔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오목부의 외경보다는 크고 연결볼트의 외경보다는 작은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과 연결된 개방슬릿과,

상기 끼움공에 끼워진 오목부의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개방슬릿에 인접한 부위가 끼움공측으로부터 와셔의 외측으로 부분절개되어 이루어진 탄성지지부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너트는

합치가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한 쌍의 분할너트와,

상기 분할너트가 합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결속시키는 록킹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각 분할너트의 합치부에 돌출 형성된 결속공과,

각 분할너트의 결속공에 차례로 끼워지는 단일의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의 단부에 매달려 결속공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연결핀이 결속공 내부에서 항상 일정한 깊이로 끼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걸림고리와,

상기 결속공의 내부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이 결속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연결핀이 결속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전면에는 수평지지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브라켓이 끼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전면에는 제1지지브라켓이 끼워져 고정되는 상부끼움공과 하부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브라켓은 수평지지대의 전면과 하부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와, 수직지지대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와, 상기 제2밀착부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지지대의 하부끼움공에 끼워지는 수평돌기와 상기 제2밀착부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지지대의 상부끼움공에 끼워지는 후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항에 있어서,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들의 사이를 가로막는 차단부와,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와 밀착부재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차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조임부재를 통해 상기 거푸집 패널들의 측부에 각각 밀착 고정되는 한 쌍의 끼움부로 이루어진 엔드패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바닥지지대와 외측바닥지지대가 코너부를 형성하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코너부에는 인접하는 한 쌍의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외측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코너부 지지대와, 상기 코너부 지지대와 마주보도록 상기 인접하는 한 쌍의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내측에 위치되는 코너부 밀착부재와, 상기 코너부 지지대와 코너부 밀착부재를 거푸집 패널에 긴밀히 밀착시키기 위한 제2조임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바닥지지대와 외측바닥지지대가 내향 코너부들만을 갖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외측바닥지지대들의 거푸집 패널들의 상단은 내측바닥지지대들의 거푸집 패널의 상단보다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바닥지지대들의 거푸집 패널들의 상단에는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의 상단과 코너부를 형성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 거푸집 패널이 더 구비되며;

상기 각 코너부에는 양측으로 수렴하는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외측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코너부 지지대와, 상기 코너부 지지대와 마주보도록 상기 양측으로 수렴하는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내측에 위치되는 코너부 밀착부재와, 상기 코너부 지지대와 코너부 밀착부재를 거푸집 패널에 긴밀히 밀착시키기 위한 제2조임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코너부들이 만나는 꼭지점 부위에는 상기 꼭지점 부위를 커버하는 꼭지점 커버가 각 코너부의 해당 코너부 지지대들의 단부에 밀착되도록 고정되고;

코너부를 형성하지 않는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들의 사이에는 상기 거푸집 패널들의 사이를 가로막는 엔드패널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거푸집 패널의 상부에는 엔드패널과 엔드패널을 연결하는 엔드패널 연결용 센터패널이 수직으로 위치되고;

상기 센터패널과 엔드패널의 연결부 외측에는 수직지지대가 위치되며;

상기 센터패널과 엔드패널의 연결부 내측에는 상기 수직지지대와 마주보도록 밀착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대와 밀착부재는 수직지지대의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을 통해 수직지지대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밀착부재의 전면에 고정되는 관통볼트와 상기 관통볼트에 체결되어 수직지지대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조임너트로 이루어진 1조임수단을 통해 긴밀히 밀착되며;

상기 수평 거푸집 패널과 상기 센터패널의 코너부에는 밀착부재가 상기 코너부를 따라 밀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4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바닥지지대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의 제2조임수단은

나사단부가 코너부 밀착부재의 모서리부에 밀착되도록 코너부 지지대의 외측면에 관통결합되는 관통볼트와,

상기 관통볼트의 나사단부에 형성된 나사홈부와,

상기 밀착부재의 외측모서리를 통해 상기 관통볼트의 나사홈부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관통볼트에 체결되어 코너부 지지대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조임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4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바닥지지대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의 제2조임수단은

나사단부가 코너부 지지대의 모서리부에 밀착되도록 코너부 밀착부재의 외측면에 관통결합되는 관통볼트와,

상기 관통볼트의 나사단부에 형성된 나사홈부와,

상기 코너부 지지대의 외측모서리를 통해 상기 관통볼트의 나사홈부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관통볼트에 체결되어 코너부 밀착부재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조임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볼트의 나사단부는 코너부 밀착부재의 모서리부에 밀착되도록 양측에 모따기부가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패널은

코너부를 형성하지 않는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들의 사이를 막는 차단부와,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와 밀착부재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차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조임부재를 통해 상기 거푸집 패널들의 측부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한 쌍의 끼움부로 구성되며,

상기 센터패널측에 형성된 끼움부는 밀착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밀착부재의 하단까지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지지대의 양측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외측단을 동시에 감싸는 결속수단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각 수평지지대의 단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 상부에 용접된 너트;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조임볼트; 및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조임볼트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끼움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조임볼트의 조임동작시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밀착되는 밀착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편은

수평지지대의 진입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양측단이 수평지지대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중앙부가 수평지지대 외측면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거푸집 패널은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

상부 거푸집 패널들의 각 연결부의 하부에는 하부지지대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지지대와 마주보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상부에는 상부밀착부재가 위치되며,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부밀착부재는 제3조임수단을 통해 상기 거푸집 패널에 긴밀히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조임수단은

하부지지대의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공;

상기 끼움공을 통해 하부지지대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부밀착부재의 전면에 고정되는 관통볼트; 및

상기 관통볼트에 체결되어 하부지지대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조임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하는 내측바닥지지대들의 최상단 수평지지대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지지대들의 하부를 가로지르는 하부지지대 받침대가 더 고정되고,

하부지지대 받침대는 하부가 최상단 수평지지대의 상단에 양측을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와, 상부가 상기 하부가이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하부지지대 받침대의 하부 양측을 가이드하는 상부가이드로 이루어진 조임브라켓과, 상부가이드와 하부가이드에 각각 관통체결되어 최상단 수평지지대와 하부지지대 받침대를 조여주는 조임나사를 통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 수평지지대는

최상단 수평지지대의 전면과 하부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와, 수직지지대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와, 상기 제2밀착부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지지대의 상부끼움공과 하부끼움공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수평돌와, 브라켓 본체의 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회동방향에 따라서 상부끼움공과의 걸림과 해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후크를 구비한 제2지지브라켓을 통해 수직지지대에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코너부를 이루는 한 쌍의 내측바닥지지대들 사이 및 코너부를 이루는 한 쌍의 외측바닥지지대들 사이에는 양측단이 해당 바닥지지대들의 단부 전면에 밀착되도록 코너바닥지지블럭이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임수단은

수직지지대의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공;

상기 끼움공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끼움공의 내측 전면으로 수직의 지지면을 형성시키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밀착부재의 전면에 체결되는 관통핀; 및

상기 관통핀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며, 회동상태에 따라 지지부재와의 밀착력을 달리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제1조임수단의 관통핀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관통핀의 단부에는 상기 볼트에 대응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관통핀의 단부에 힌지결합된 힌지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향해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형성된 편심접촉부와, 상기 끼움공을 향해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손잡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29항 또는 30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의 중앙에는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돌부를 관통해 밀착부재의 전면에 체결되며, 상기 나사공이 형성된 관통핀의 단부에는 상기 돌부와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패널은 패널 본체와, 상기 패널 본체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과, 상기 통공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패널 본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패널 본체와 일체성형된 보호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패널에는 밀착부재와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 패널에는 수직지지대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수직지지대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제1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패널에는 밀착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2요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재에는 상기 제2요홈에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거푸집 패널측에 위치되는 수직부와 거푸집 패널의 바깥쪽을 향해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연장된 수평부로 이루어진 기역자 형상의 채널이며,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는 거치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에는 시공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신장되면서 거치대를 부분적으로 승강시키는 높낮이조절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의 수직부에는 상기 높낮이조절부재를 통해 거치대가 시공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상기 이격공간을 커버해 주는 보조패널이 시공바닥에 지지된 상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부재는

시공 바닥면에 밀착 고정되는 바닥고정부와, 상기 바닥고정부에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나사부와, 상기 수직나사부에 체결되어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승강량이 조절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거치대의 레일부에 끼워져 승강부재와 함께 동반승강하는 끼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는 단턱을 가진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홈부의 단턱에 걸리는 걸림편이 고정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높이조절구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가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거치대는 레일부에 끼워지는 연결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의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롯홀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의 수직부에는 상기 거치대가 보조패널과는 별개로 승강되도록 상기 슬롯홀을 통해 연결핀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상기 제 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한편, 상기 레일부의 일측은 높낮이조절부재의 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부구간이 절취된 절취부가 형성된 것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Description:
콘크리트용 거푸집

본 발명은 설치와 해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바닥면에서 다면 및 천정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 콘크리트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철근골조의 외측에 다수의 거푸집을 마주보게 설치하고 마주본 상태의 거푸집 사이의 빈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다. 이때, 상기 거푸집들은 별도의 연결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시공 바닥면에 고정되는 내측바닥지지대(10a)와 외측 바닥지지대(10b)와, 상기 바닥지지대들(10a,10b)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거푸집 패널(1)과, 상기 거푸집 패널(1)들의 연결부 외측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20)와, 상기 수직지지대(20)와 마주보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1)의 내측에 위치되는 밀착부재(30)와, 상기 밀착부재(30)와 수직지지대(20)가 거푸집 패널(1)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지지대(10)는 볼트에 의해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그 상부에는 상기 수직지지대(20)가 설치되도록 양측에 벽면을 가지는 거치대(11)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지지대(20)는 이 거치대(11)를 통해 바닥지지대(10)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다.

한편,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콘크리트 벽면 표면에 밀착부재(30)로 인한 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 패널(1)의 내측면에는 밀착부재(3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의 안착홈(2)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재(30)는 안착홈(2)을 통해 거푸집 패널(1) 내측면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밀착된다.

또한, 상기 거푸집 패널(1)과 밀착부재(30)가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고 거푸집 패널(1)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거푸집 패널(1)의 내측면에는 거푸집 패널(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요홈(2a)이 형성되고, 밀착부재(30)에는 상기 요홈(2a)에 대응되는 결합돌기(31)가 밀착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조임수단(40)은 일단이 상기 수직지지대(20)를 향하는 밀착부재(30)의 전면에 밀착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고 타단이 수직지지대(20)를 관통하여 그 수직지지대(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조임나사(41)와,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외부로 돌출된 조임나사(41)의 단부에 체결되어 밀착부재(30)와 수직지지대(20)를 거푸집 패널(1)에 밀착시키는 조임너트(4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콘크리트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닥에 바닥지지대(10)를 고정시키고 상기 바닥지지대(10)의 상부에 구비된 거치대(11)에 거푸집 패널(1)을 설치한 다음, 거푸집 패널(1)의 연결부에 수직지지대(20)와 밀착부재(30)를 각각 설치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밀착부재(30)에 구비된 조임나사(41)의 단부는 상기 수직지지대(20)를 관통하여 수직지지대(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임나사(41)의 단부에 조임너트(42)를 체결시킨 다음 상기 조임너트(42)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거푸집 패널(1)의 안착홈(2) 및 요홈(2a)으로 밀착부재(30)와 수직지지대(20)의 결합돌기(31)가 각각 안착되면서 밀착부재(30)와 수직지지대(20)가 거푸집 패널(1)의 양측면에 각각 견고하게 밀착되며, 이로써 거푸집 패널(1)은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측 벽면을 형성할 수 있는 거푸집 패널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이 완성되면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끝나면 상기 거푸집 패널(1)은 해체되는데, 거푸집 패널(1)을 해체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조임너트(42)를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거푸집 패널(1)로부터 바닥지지대(10)와 거치대(11)를 해체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이 완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갖는다.

첫째, 종래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발생되는 측압으로 인해 거푸집이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완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도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둘째, 종래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단일면의 콘크리트 벽체만을 제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다면 벽체 즉 연결된 벽체의 제작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연결장치만으로는 다면 또는 천정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없었다.

셋째, 종래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수평조절기능이 없어서 수평상태가 아닌 경사진 바닥면에 설치될 경우에 완성된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바닥면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용 거푸집이 수평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거푸집 자체의 강도가 취약해짐은 물론,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도가 떨어져 정밀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의 안정화에 커다란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변공사도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넷째, 종래의 거푸집은 해체하고자 할 때, 거치대 하부에 바닥지지대가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거치대를 제거한 다음 바닥지지대를 해체시킬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거치대가 바깥쪽으로 강한 힘을 받고 있는 상태이고 바닥지지대는 바닥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거치대와 바닥지지대 사이에는 강한 밀착력이 발생되어 거치대의 철거작업이 매우 힘든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조적으로 안정하면서 다면 또는 천정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이 가능한 콘크리트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콘크리트용 거푸집이 시공되는 바닥면의 수평도와는 관계없이 항상 수평상태로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고 해체가 용이한 콘크리트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시공 바닥면에 나란하게 고정된 내측바닥지지대와 외측바닥지지대; 상기 바닥지지대들의 상부에 놓여져 거푸집의 하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거치대; 각 거치대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거푸집 패널; 상기 거푸집 패널과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외측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와 마주보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에 위치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와 수직지지대를 거푸집 패널에 긴밀히 밀착시키기 위한 제1조임수단; 수직지지대들의 외측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 및 수평지지대를 수직지지대에 긴밀히 밀착시키기 위한 제2조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내측바닥지지대와 외측바닥지지대가 코너부를 형성하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코너부에는 인접하는 한 쌍의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외측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코너지지대와, 상기 코너지지대와 마주보도록 상기 인접하는 한 쌍의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내측에 위치되는 코너부 밀착부재와, 상기 코너부 지지대와 코너부 밀착부재를 거푸집 패널에 긴밀히 밀착시키기 위한 제3조임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바닥지지대와 외측바닥지지대가 내향 코너부들만을 갖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외측바닥지지대들의 거푸집 패널들의 상단은 내측바닥지지대들의 거푸집 패널의 상단보다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바닥지지대들의 거푸집 패널들의 상단에는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의 상단과 코너부를 형성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 거푸집 패널이 더 구비되며; 상기 각 코너부에는 양측으로 수렴하는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외측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코너지지대와, 상기 코너지지대와 마주보도록 상기 양측으로 수렴하는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내측에 위치되는 코너부 밀착부재와, 상기 코너부 지지대와 코너부 밀착부재를 거푸집 패널에 긴밀히 밀착시키기 위한 제3조임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코너부가 만나는 꼭지점 부위에는 상기 꼭지점 부위를 커버하는 꼭지점 커버가 각 코너부의 해당 코너지지대들의 단부에 밀착되도록 고정되고; 코너부를 형성하지 않는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들의 사이에는 상기 거푸집 패널들의 사이를 가로막는 엔드패널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거푸집 패널의 상부에는 엔드패널과 엔드패널을 연결하는 엔드패널 연결용 센터패널이 수직으로 위치되고; 상기 센터패널과 엔드패널의 연결부 외측에는 수직지지대가 위치되며; 상기 센터패널과 엔드패널의 연결부 내측에는 상기 수직지지대와 마주보도록 밀착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대와 밀착부재는 제1조임수단을 통해 긴밀히 밀착되며; 상기 수평 거푸집 패널과 상기 센터패널의 코너부에는 밀착부재가 상기 코너부를 따라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거푸집에 의하면, 구조적으로 안정하면서 천정부를 갖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제작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상 수평상태로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콘크리트구조물의 정밀도가 우수해지고 거푸집의 해체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을 구성하는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거푸집을 구성하는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임너트의 사시도.

도 9a 및 9b는 각각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임너트의 록킹상태 및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지지브라켓의 설치과정을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내측바닥지지대와 외측바닥지지대가 코너부를 형성하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도 10의 "A"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수평지지대의 연결부가 결속수단을 통해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내측바닥지지대와 외측바닥지지대가 내향 코너부들만을 갖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

도 16은 도 15의 "B"에서 바라본 도면.

도 17은 도 15의 "B"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상부 거푸집 패널과 일측의 엔드패널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상부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도 16의 "C"부위 분해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수평 거푸집 패널과 센터패널의 코너부에 설치되는 밀착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최상부 수평 지지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임브라켓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지지브라켓을 이용하여 최상부 수평 지지대가 해체되는 과정을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조임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단면도로서, 각각 제1조임수단을 통해 상기 밀착부재와 수직지지대가 거푸집 패널에 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도 24의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단면도로서, 각각 제1조임수단을 통해 상기 밀착부재와 수직지지가 거푸집 패널에 밀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거푸집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분해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거푸집 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거푸집 패널의 연결부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사용상태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거치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정면도로서, 거푸집의 수평이 조절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정면도로서, 거푸집의 수평이 조절되기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내측바닥지지대 112...외측바닥지지대

113...거치대 114...코너바닥지지블럭

120...거푸집 패널 125...보호대

130,370...수직지지대 131,181,331...끼움공

132,231,332...관통볼트 133,234,238,333...조임너트

134...상부끼움공 136...가이드관

135...하부끼움공 140,380,385...밀착부재

150...수평지지대 150a...최상단 수평지지대

151...상부수평지지대 152...하부수평지지대

160...간격유지수단 161...연결볼트

161a...오목부 162a,162b...분할너트

162c,162d...결속공 162e...연결핀

162f...걸림고리 162g...단턱

162h...돌출부 170...연결구

180...와셔 182...개방슬릿

183...탄성지지부 190...제1지지브라켓

191,421...제1밀착부 192,422...제2밀착부

193,423...수평돌기 194,424...후크

200,350...엔드패널 201,351...차단부

202,241,352...끼움부 210...코너부 지지대

220...코너부 밀착부재 230...제2조임수단

231,235...관통볼트 232,236...나사홈부

233,237...볼트 235a...모따기부

240...결속수단 242...관통공

243...조임볼트 244...밀착편

245...너트 300...상부 거푸집 패널

310...하부지지대 320...상부밀착부재

330...제3조임수단 340...꼭지점 커버

360...센터패널 390...하부지지대 받침대

400...조임브라켓 401...하부가이드

402...상부가이드 410...조임나사

420...제2지지브라켓 510...끼움공

520...지지부재 521...지지면

530...관통핀 531...나사공

532...홈부 540...조임부재

541...힌지부 542...편심접촉부

543...손잡이부 550...돌부

560...거푸집 패널 561...패널 본체

562...통공 563...보호커버

564...안착홈 565...제1결합돌기

570...제1요홈 580...제2요홈

590...제2결합돌기 611...수직부

612...수평부 614...절취부

620...레일부 630...높낮이조절부재

631...바닥고정부 632...수직나사부

633...승강부재 634...끼움부재

635a...단턱 635...홈부

636...걸림편 640...보조패널

641...슬롯홀 650...연결핀

660...연결부재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시공 바닥면에 나란하게 고정된 내측바닥지지대(111)와 외측바닥지지대(112)와, 상기 바닥지지대들(111,112)의 상부에 놓여져 거푸집의 하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거치대(113)와, 각 거치대(113)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거푸집 패널(120)과, 상기 거푸집 패널(120)과 거푸집 패널(120)의 연결부 외측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130)와, 상기 수직지지대(130)와 마주보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120)의 내측에 위치되는 밀착부재(140)와, 상기 밀착부재(140)와 수직지지대(130)를 거푸집 패널(120)에 긴밀히 밀착시키기 위한 제1조임수단과, 수직지지대(130)들의 외측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150)와, 내측바닥지지대(111)의 수평지지대(150)와 외측바닥지지대(112)의 수평지지대(150)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유지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 상기 내측바닥지지대(111)와 외측바닥지지대(112)와, 거푸집 패널(120)과 수직지지대(130)와, 밀착부재(140)는 각각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닥지지대(10)와, 거푸집(1)과, 수직지지대(20)와, 밀착부재(3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임수단은 수직지지대(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공(131)과, 상기 끼움공(131)에 끼워져 결합되며 끼움공(131)측으로 확관되도록 중앙에 단턱부(136a)가 형성된 가이드관(136)과, 상기 가이드관(136)을 통과하여 밀착부재(140)의 전면에 고정되는 관통볼트(132)와, 상기 관통볼트(132)에 체결되어 가이드관(136)의 단턱부(136a)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조임너트(1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140)의 전면에는 상기 제1조임수단의 관통볼트(132)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볼트(141)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볼트(132)의 나사부 단부에는 상기 볼트(141)에 대응되는 나사공(132a)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볼트(132)는 가이드관(136)에 의해 수직지지대(130)의 끼움공(131)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볼트(141)와 결합되며, 상기 조임너트(133) 역시 안정된 상태로 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거푸집 패널(120)의 내측에는 밀착부재(140)과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안착홈(121)과 요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재(140)에는 거푸집패널(120)의 요홈(121)에 대응되는 결합돌기(140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거푸집패널(120)에는 패널의 양단부를 감싸 상기 안착홈(121)과 요홈(122)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대(1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대(125)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틸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미설명부호(142)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거푸집 패널(120)의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거푸집패널(120)과 밀착부재(140) 사이를 긴밀하게 유지시켜 주는 실링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밀착부재(140)의 볼트(141)가 관통볼트(132)의 나사공(132a)에 체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너트(133)가 수직지지대(130)의 내측면에 밀착될 때까지 관통볼트(132)에 체결이 이루어시공 바닥면 수직지지대(130)와 밀착부재(140)가 거푸집 패널(120)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거푸집 패널(120)들은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지지대(130)가 모두 설치되면 수평지지대(150)가 간격유지수단(160)을 통해 상기 수직지지대(130)의 외측면에 밀착지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수단(160)은 바닥지지대들(111,112)의 외부로 양단이 돌출되도록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120)들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연결볼트(161)와, 상기 연결볼트(161)의 양단에 체결되어 수평지지대(150)의 전면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조임너트(162)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수평지지대(150)는 소정의 연결구(170)를 통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부수평지지대(151)와 하부수평지지대(152)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결볼트(161)의 양단이 상부수평지지대(151)와 하부수평지지대(152) 사이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조임너트(162)가 상부수평지지대(151)와 하부수평지지대(152)에 동시 밀착되어 조임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연결볼트(161)는 거푸집 패널(120)의 내측면과 인접한 지점에서의 외경을 축소시키는 한 쌍의 오목부(161a)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오목부(161a)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이 철거될 때 콘크리트 구조물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볼트(161)의 양단부를 제거하기 위한 절단지점이 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오목부(161a)에는 거푸집 패널(120)의 내측면에 간섭됨으로써 연결볼트(161)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와셔(18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161a)는 항상 거푸집 패널(12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셔(180)는 오목부(161a)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오목부(161a)의 외경보다는 크고 연결볼트(161)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된 끼움공(181)과, 상기 끼움공(181)과 연결된 개방슬릿(182)과, 상기 끼움공(181)에 끼워진 오목부(161a)의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개방슬릿(182)에 인접한 부위가 끼움공(181)측으로부터 와셔(180)의 외측으로 부분절개되어 이루어진 탄성지지부(183)로 구성된다.

상기 와셔(180)는 상기 개방슬릿(182)을 통해 오목부(161a)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탄성지지부(183)는 오목부(161a)가 개방슬릿(182)으로 인입될 때에는 오목부(161a)에 밀려 개방슬릿(182)측으로 밀착되고 오목부(161a)가 끼움공(181)에 완전하게 끼워진 상태에서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서 오목부(161a)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셔(180)는 오목부(161a)로부터의 이탈됨이 방지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너트(162)는 합치가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한 쌍의 분할너트(162a,162b)와, 상기 분할너트(162a,162b)가 합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결속시키는 록킹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록킹부재는 각 분할너트(162a,162b)의 합치부에 돌출 형성된 결속공(162c,162d)과, 각 분할너트(162a,162b)의 결속공(162c,162d)에 차례로 끼워지는 단일의 연결핀(162e)과, 상기 연결핀(162e)의 단부에 매달려 결속공(162c,162d)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연결핀(162e)이 결속공(162c) 내부에서 항상 일정한 깊이로 끼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걸림고리(162f)로 구성된다.

이 경우, 결속공(162c)의 내부에는 단턱(162g)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162e)에는 상기 단턱(162g)에 걸리는 돌출부(162h)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162e)이 결속공(162c)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단턱(162g)에 돌출부(162h)가 걸려 결속공(162c)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작업자는 분할너트(162a,162b)를 수평지지대(150)의 외측면에 근접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볼트(161)에 직접 체결할 수 있게 되므로 수평지지대(130)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까지 조임너트(162)를 다수 회 회전시키지 않고도 빠르고 간편하게 조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130)의 전면에는 수평지지대(15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브라켓(190)이 끼움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지지대(130)의 전면에는 상기 제1지지브라켓(190)이 끼워져 고정되는 상부끼움공(134)과 하부끼움공(135)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브라켓(190)은 수평지지대(150)의 전면과 하부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191)와, 수직지지대(13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192)와, 상기 제2밀착부(192)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지지대(130)의 하부끼움공(135)에 끼워지는 수평돌기(193)와 상기 제2밀착부(192)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지지대(130)의 상부끼움공(134)에 끼워지는 후크(194)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상부끼움공(134)은 후크(194)가 삽입되도록 슬릿홀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부끼움공(135)은 수평돌기(193)가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수평돌기(19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지지브라켓(190)은 수평지지대(150)가 설치되기 전에 미리 수직지지대(130)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돌기(193)를 하부끼움공(135)에 끼운 다음 제2밀착부(192)가 수직지지대(13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수평돌기(193)를 중심으로 제1지지브라켓(190)을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94)가 수직지지대(130)의 상부끼움공(134)으로 삽입된다. 상부끼움공(134)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제1지지브라켓(190)은 자중에 의해 상부끼움공(134)을 따라 하방으로 소폭 하강하게 되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끼움공(134)의 하단에 후크(194)가 별도의 조작력 없이 자연스럽게 걸리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13)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는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120)들의 사이를 막아 시공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면부를 형성시키는 엔드패널(2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엔드패널(200)은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120)들의 사이를 가로막는 차단부(201)와,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130)와 밀착부재(140)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차단부(201)로부터 돌출되어 제1조임수단을 통해 상기 거푸집 패널(120)들의 측부에 각각 밀착 고정되는 한 쌍의 끼움부(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끼움부(202)에는 대응되는 밀착부재(140)와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착부재(14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밀착부재(140)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다.

다음은 다면벽체의 시공을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벽체의 시공을 위하여, 상기 내측바닥지지대(111)와 외측바닥지지대(112)가 코너부를 형성하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코너부에는 인접하는 한 쌍의 거푸집 패널(120,120)의 연결부 외측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코너부 지지대(210)와, 상기 코너부 지지대(210)와 마주보도록 상기 인접하는 한 쌍의 거푸집 패널(120,120)의 연결부 내측에 위치되는 코너부 밀착부재(220)와, 상기 코너부 지지대(210)와 코너부 밀착부재(220)를 거푸집 패널(120)에 긴밀히 밀착시키기 위한 제2조임수단(23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내측바닥지지대(111)들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에 적용되는 코너부 지지대(210)와 외측바닥지지대(112)들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에 적용되는 코너부 밀착부재(220)들은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에 자국을 남기지 않도록 인접한 거푸집 패널(120)에 형성된 안착홈(121)과 요홈(122)을 통해 거푸집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밀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코너부 지지대(210)와 코너부 밀착부재(220)에는 상기 요홈(122)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11,2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내측바닥지지대(111)들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에 적용되는 코너부 밀착부재(220)와 내측바닥지지대(111)들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에 적용되는 코너부 지지대(210)에는 밀착되는 해당 거푸집 패널(120)들이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밀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턱(212,222)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바닥지지대(112)들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의 제2조임수단(230)은 나사단부가 코너부 밀착부재(220)의 모서리부에 밀착되도록 코너부 지지대(210)의 외측면에 관통결합되는 관통볼트(231)와, 상기 관통볼트(231)의 나사단부에 형성된 나사홈부(232)와, 상기 코너부 밀착부재(220)의 외측모서리를 통해 관통볼트(231)의 나사홈부(232)에 체결되는 볼트(233)와, 상기 관통볼트(231)에 체결되어 코너부 지지대(21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조임너트(2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바닥지지대(111)들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의 제2조임수단(230)은 나사단부가 코너부 지지대(210)의 모서리부에 밀착되도록 코너부 밀착부재(220)의 내측면에 관통결합되는 관통볼트(235)와, 상기 관통볼트(235)의 나사단부에 형성된 나사홈부(236)와, 상기 코너부 지지대(210)의 외측모서리를 통해 관통볼트(235)의 나사홈부(236)에 체결되는 볼트(237)와, 상기 관통볼트(235)에 체결되어 코너부 밀착부재(22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조임너트(238)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관통볼트(235)의 양측은 나사단부가 코너부 밀착부재(220)의 모서리부에 밀착되도록 모따기부(235a)를 갖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1,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시공시 각 거푸집에 작용하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코너부 지지대(210)의 양측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150,150)는 상기 수평지지대(150)의 외측단을 동시에 감싸는 결속수단(240)을 통해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결속수단(240)은 각 수평지지대(150)의 단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끼움부(241)와, 상기 끼움부(241)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242)과, 상기 관통공(242) 상부에 용접된 너트(245)와, 상기 너트(245)에 체결되는 조임볼트(243)와, 상기 관통공(242)을 통과한 상기 조임볼트(243)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끼움부(241)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조임볼트(243)의 조임동작시 수평지지대(150)의 상부에 밀착되는 밀착편(2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편(244)은 수평지지대(150)와의 밀착력을 극대화시키도록 수평지지대(150)의 진입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양측단이 수평지지대(15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중앙부가 수평지지대(150) 외측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형성된다. 상기 밀착편(244)의 중앙부는 조임볼트(243)의 조임동작시 수평지지대(150)와의 이격높이가 감소하도록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코너부를 이루는 한 쌍의 내측바닥지지대(111,111)들 사이 및 코너부를 이루는 한 쌍의 외측바닥지지대(112,112)들 사이에는 양측단이 해당 바닥지지대들(111,112)의 단부 전면에 밀착되게 형성된 코너바닥지지블럭(114)이 끼워진다.

다음은 천정면을 포함하는 다면벽체의 시공을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면을 포함하는 다면벽체의 시공을 위하여, 상기 내측바닥지지대(111)와 외측바닥지지대(112)가 내향 코너부들만을 갖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외측바닥지지대(112)들의 거푸집 패널(120)들의 상단은 내측바닥지지대(111)들의 거푸집 패널(120)의 상단보다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바닥지지대(111)들의 거푸집 패널(120)들의 상단에는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120)의 상단과 코너부를 형성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 거푸집 패널(3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상부 거푸집 패널(300)은 시공하고자 하는 천정면의 크기에 따라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부 거푸집 패널(300)들의 각 연결부의 하부에는 하부지지대(310)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지지대(310)와 마주보도록 상기 상부 거푸집 패널(300)의 상부에는 상부밀착부재(320)가 위치되며, 상기 하부지지대(310)와 상부밀착부재(320)는 제3조임수단(330)을 통해 상기 상부 거푸집 패널(300)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조임수단(330)은 하부지지대(3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공(331)과, 상기 끼움공(331)을 통해 하부지지대(310)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부밀착부재(320)의 전면에 고정되는 관통볼트(332)와, 상기 관통볼트(332)에 체결되어 하부지지대(31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조임너트(333)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밀착부재(320)의 전면에는 볼트(334)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볼트(332)의 나사부 단부에는 상기 볼트(334)에 대응되는 나사공(335)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 코너부에는 양측으로 수렴하는 거푸집 패널(120a,120b)의 연결부 외측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코너부 지지대(210)와, 상기 코너부 지지대(210)와 마주보도록 상기 양측으로 수렴하는 거푸집 패널(120a,120b)의 연결부 내측에 위치되는 코너부 밀착부재(220)가 설치되며, 상기 코너부 지지대(210)와 코너부 밀착부재(220)는 제2조임수단(230)을 통해 거푸집 패널(120a,120b)에 긴밀히 밀착된다.

이중,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거푸집 패널(300)과 코너부가 만나는 꼭지점 부위에는 상기 꼭지점 부위를 커버하는 꼭지점 커버(340)가 고정된다. 상기 꼭지점 커버(340)는 양측단과 하단이 각 꼭지점에서 수렴하는 해당 코너부 지지대(210)들의 단부에 밀착되도록 상부 거푸집 패널(300)의 모서리 부위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 거푸집 패널(300)에 고정된다.

한편,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를 형성하지 않는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120a,120b)들의 사이에는 상기 거푸집 패널(120a,120b)들의 사이를 가로막는 엔드패널(350)이 고정된다. 상기 엔드패널(350)은 코너부를 형성하지 않는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120)들의 사이를 막는 차단부(351)와,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130)와 밀착부재(140)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차단부(351)로부터 돌출되어 제1조임부재를 통해 상기 거푸집 패널(120a,120b)들의 측부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한 쌍의 끼움부(35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거푸집 패널(300)의 상부에는 상기 엔드패널(350)과 엔드패널(350)을 연결하는 센터패널(360)이 설치된다.

상기 센터패널(360)과 엔드패널(350)의 연결부 외측에는 수직지지대(370)가 위치되며, 상기 센터패널(360)과 엔드패널(350)의 연결부 내측에는 상기 수직지지대(370)와 마주보도록 밀착부재(380)가 위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대(370)와 밀착부재(380)는 제1조임수단을 통해 긴밀히 밀착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거푸집 패널(300)과 상기 센터패널(360)의 코너부에는 상기 코너부를 따라 밀착부재(385)가 볼트 고정된다.

한편, 도 17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하는 내측바닥지지대(111)들의 최상단 수평지지대(150a)의 상부에는 상부 거푸집 패널(30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지지대(310)들의 하부를 가로지르는 하부지지대 받침대(390)가 더 고정된다.

상기 하부지지대 받침대(390)는 상기 최상단 수평지지대(150a)의 상부에 고정된 조임브라켓(400)과 조임나사(410)를 통해 고정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브라켓(400)은 하부가 최상단 수평지지대(150a)의 상단에 양측을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402)와, 상부가 상기 하부가이드(40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하부지지대 받침대(390)의 하부 양측을 가이드하는 상부가이드(4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임나사(410)는 상부가이드(402)와 하부가이드(401)에 각각 관통체결되어 나사단부가 최상단 수평지지대(150a)와 하부지지대 받침대(390)에 밀착고정된다.

그리고,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상단 수평지지대(150a)는 최상단 수평지지대(150a)의 전면과 하부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421)와, 수직지지대(13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422)와, 상기 제2밀착부(422)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지지대(130)의 상부끼움공(134)과 하부끼움공(135)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수평돌기(423)를 구비한 제2지지브라켓(420)을 통해 수직지지대(130)에 지지되도록 한다.상기 제2지지브라켓(420)의 측부에는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회동방향에 따라서 상부끼움공(134)과의 걸림과 해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후크(424)가 구비된다.

그리고 코너부를 이루는 한 쌍의 내측바닥지지대(111,111)들 사이 및 코너부를 이루는 한 쌍의 외측바닥지지대(112,112)들 사이에는 코너바닥지지블럭(114)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천정면을 포함하는 다면벽체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거푸집을 설치 및 사용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루는 다면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거푸집이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내측바닥지지대(111)들과 외측바닥지지대(112)들이 내향 코너부들만을 갖도록 바닥에 수평상태로 고정되면, 각 바닥지지대(111,112)의 상부에 거치대(113)가 설치되며, 이 거치대(113) 상부에 수직지지대(130)가 설치된 다음 수직지지대(130)와 마주보도록 거푸집 패널(120)과 밀착부재(140)가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외측바닥지지재(112)들에 설치되는 거푸집 패널(120)들은 내측바닥지지대(111)들에 설치되는 거푸집 패널(120)들보다 시공될 천정면의 두께만큼 길게 형성된다. 이때, 거푸집 패널(120)의 양측단에 형성된 요홈에 밀착부재(140)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결합되면서, 상기 거푸집 패널(120)과 밀착부재(140)는 동일면을 이룬 상태로 밀착부재(140)와 수직지지대(130)가 거푸집의 양측면에 각각 견고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시공될 콘크리트 구조물 벽면에 자국이 남지 않는다.

한편, 상기 내측바닥지지대(111)와 외측바닥지지대(112)가 이루는 각각의 코너부에 양단이 각각 상기 내측바닥지지대(111,111)와 외측바닥지지대(112,112)에 접하도록 코너바닥지지블럭(114)이 끼워진다. 이 코너바닥지지블럭(114)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이후 바닥지지대들(111,112)의 철거 이전에 상기 바닥지지대들(111,112)로부터 인출시켜 철거 유격을 제공함으로써 양생된 콘크리트에 밀착된 상태인 바닥지지대들(111,112)의 철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상기와 같이 수직지지대(130)가 모두 설치되면 수직지지대(130)의 외측면에 제1지지브라켓(190)이 조립되고, 이 제1지지브라켓(190)에 하부가 지지된 상태로 수평지지대(150)가 간격유지수단(160)을 통해 수직지지대(130)의 외측면에 밀착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대(150)는 소정의 연결구(170)를 통해 상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며, 이 사이로 간격유지수단(160)의 연결볼트(161)가 바닥지지대들(111,112)의 외부로 양단이 돌출되도록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120)들을 수평으로 관통설치된다. 연결볼트(161)가 설치되면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120)들의 내측으로 와셔(180)가 끼워진다. 상기 와셔(180)는 개방슬릿(182)을 통해 연결볼트(161)의 오목부(161a)에 끼워지게 되며, 일단 오목부(161a)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탄성지지부(183)가 오목부(161a)의 하단을 탄성지지하게 되므로 오목부(161a)로부터의 이탈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렇게 하면, 연결볼트(161)의 오목부(161a)가 항상 거푸집 패널(120)들의 내측면에 정확하게 위치됨과 동시에 와셔(180)가 거푸집 패널(120)의 내측면에 지지되면서 연결볼트(161)의 유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간격유지수단(160)의 조임너트(162)가 연결볼트(161)의 단부에 체결되어 수평지지대(150)를 수직지지대(130)에 긴밀히 밀착시킨다.

한편, 상기 조임너트(162)는 한 쌍의 분할너트(162a,162b)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분할너트(162a,162b)를 수평지지대(150)의 외측면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연결볼트(161)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지지대(150)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까지 조임너트를 다수 회 회전시키지 않고 빠르고 간편하게 체결작업 및 해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할너트(162a,162b)의 합치부에 돌출 형성된 결속공(162c,162d)에 연결핀(162e)이 삽입된 상태에서 록킹이 이루어지며, 걸림고리(162f)에 손가락을 걸고 가볍게 잡아당기면 도 9b와 같이 연결핀이 결속공(162c,162d)의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연결핀(162e)은 돌출부(162h)가 결속공(162c)의 단턱(162g)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 결속공(162c)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작업도중 연결핀(162e)이 분실될 염려가 없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루는 각 다면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거푸집들이 완성되면, 각 거푸집들의 코너부가 연결된다. 상기 거푸집들의 코너부는 코너부 지지대(210)와 코너부 밀착부재(220)와 제2조임수단(230)을 통해 연결된다.

즉, 외측바닥지지대(112)에 설치된 코너부의 거푸집 패널(120)들은 나사단부가 코너부 밀착부재(220)의 모서리부에 밀착되도록 코너부 지지대(210)의 외측면에 관통볼트(231)가 관통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코너부 밀착부재(220)의 모서리부를 통해 볼트가 상기 관통볼트(231)의 나사단부에 형성된 나사홈부(232)에 체결되고, 관통볼트(231)에 끼워진 조임너트(234)가 코너부 지지대(210)의 내측면에 밀착될 때까지 조여짐으로써 견고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바닥지지대(111)에 설치된 거푸집 패널(120)들은 나사단부가 코너부 지지대(210)의 모서리부에 밀착되도록 코너부 밀착부재(220)의 외측면에 관통볼트(235)가 관통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코너부 지지대(210)의 모서리부를 통해 볼트(236)가 상기 관통볼트(235)의 나사단부에 형성된 나사홈부(236)에 체결되고, 관통볼트(235)에 끼워진 조임너트(236)가 코너부 밀착부재(220)의 내측면에 밀착될 때까지 조여짐으로써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관통볼트(235)의 나사단부 양측에 모따기부(235a)가 가공될 경우, 관통볼트(235)의 나사단부가 코너부 밀착부재(220)의 모서리부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되므로 관통볼트(235)와 볼트(236)가 안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푸집 패널(120)의 코너부가 모두 연결되면, 결속수단(240)을 통해 상기 코너부 지지대(210)의 양측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150)가 일체로 연결된다.

즉, 각 수평지지대(150)의 단부가 상기 결속수단(240)의 끼움부(241)에 끼워시공 바닥면 상기 끼움부(241)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242)에 체결된 조임볼트(243)가 오른쪽으로 회전되면서 조임볼트(243) 단부에 미리 조립된 밀착편(244)의 중앙부를 가압하여 수평지지대(150)의 상부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밀착편(244)은 수평지지대(150)의 진입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양측단이 수평지지대(15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중앙부가 수평지지대(150) 외측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수평지지대(150)를 매우 견고하게 결속시켜 줄 수 있다. 따라서,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압력에 의해 거푸집이 손상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코너부 지지대(210)의 양측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150)가 견고하게 결속되면, 상기 내측바닥지지대(111)들의 거푸집 패널(120)들 상단에 상부 거푸집 패널(300)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 거푸집 패널(300)은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120b,120b)의 상단과 코너부를 형성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코너부는 상술한 코너부 지지대(210)와 코너부 밀착부재(220) 및 제2조임수단(230)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코너부들이 만나는 상부 거푸집 패널(300)의 꼭지점 부위에는 꼭지점 커버(340)가 설치된다. 상기 꼭지점 커버(340)는 상부 거푸집 패널(30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크류 고정되는데, 이 상태에서의 꼭지점 커버(340)의 선단은 상기 꼭지점을 이루는 세 코너부의 코너부 지지대(210)들의 단부에 밀착된 상태이다.

상부 거푸집 패널(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엔드패널(350)을 이용하여 코너부를 형성하지 않는 마주하는 거푸집 패널(120a,120b)들의 사이를 가로막아 시공될 콘크리트 벽면의 단부를 형성시킨다. 상기 엔드패널(350)은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부(352)가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130)와 밀착부재(14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조임부재를 통해 상기 거푸집 패널(120a,120b)들의 측부에 밀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엔드패널(350)과 엔드패널(350) 사이는 센터패널(36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센터패널(360)은 센터패널(360)과 엔드패널(350)의 연결부 외측에 수직지지대(370)가 위치되고 센터패널(360)과 엔드패널(350)의 연결부 내측에 밀착부재(380)가 위치되면 제1조임수단을 통해 엔드패널(350)에 긴밀히 밀착된다.

엔드패널(35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수평 거푸집 패널(370)과 상기 센터패널(360)의 코너부에 밀착부재(385)가 볼트로써 고정된다. 이때, 상기 센터패널(360)측을 향하는 엔드패널(350)의 끼움부(352)는 밀착부재(380)의 하단까지만 형성되므로 밀착부재(380)와 간섭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센터패널(360)측을 향하는 엔드패널(350)의 끼움부(352)가 형성되지 않은 앤드패널(350)의 상부에는 밀착부재(380)와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안착홈 및 요홈(353)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재(380)에는 상기 안착홈 및 요홈(353)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도 17참조)

한편, 상부 거푸집 패널(300)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마주하는 내측바닥지지대(111)들의 최상단 수평지지대(150a)의 상부에 하부지지대 받침대(39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하부지지대 받침대(390)는 하부지지대(310)들의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양단이 각각 최상단 수평지지대(150a)의 상부에 놓여진다. 이때 각각의 최상단 수평지지대(150a)에는 하부지지대 받침대(390)가 놓여질 위치에 조임브라켓(400)이 미리 견고하게 조임고정된 상태로서, 상기 하부지지대 받침대(390)는 이 조임브라켓(400)의 상부조임부(402)에 놓여진 후 견고하게 조임고정된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상단 수평지지대(150a)는 제2지지브라켓(420)을 통해 수직지지대(130)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3b에서와 같이 상기 제2지지브라켓(420)은 후크(194)를 상부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도 23c에서와 같이 바깥쪽으로 그대로 수평이동시켜 수직지지대(1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제2지지브라켓(420)이 제1지지브라켓(190)과는 달리 최상단 수평지지대(150a)가 상부 거푸집 패널(300)의 하부지지대(310)들로부터 큰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부로 힘을 가하지 않고 바깥쪽으로 그대로 수평이동시킴으로써 수직지지대(1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천정면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이 완성된다. 거푸집이 완성되면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되고 양생 및 건조과정을 거친 후에 설치된 거푸집은 철거된다.

거푸집의 철거과정은 상기한 설치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는데, 연결볼트(161)는 중간부분이 콘크리트와 함께 일체화된 상태이므로 콘크리트 외부로 돌출된 부분만 제거된다. 작업자는 거푸집 패널(120)들을 철거하기 이전에 상기 연결볼트(161)의 돌출부를 적절한 공구를 이용하여 잡아 비틀어 제거한다. 상기 연결볼트(161)의 돌출부를 잡아 비틀게 되면 오목부(161a)가 인장되면서 외경이 급격하게 작아져 쉽게 절단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철거되는 바닥지지대들(111,112)은 코너바닥지지블럭(114)을 빼낸 다음 철거된다. 코너바닥지지블럭(114)은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상기 바닥지지대들(111,112)로 인가되는 압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코너바닥지지블럭(114) 대신 코너부의 바닥지지대들(111,111)(112,112)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경우,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바닥지지대들(111,111)(112,112)간에 큰 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결국 인력으로는 바닥지지대들(111,111)(112,112)을 철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너바닥지지블럭(114)에 의해 바닥지지대들(111,111)(112,112)의 철거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은 철거된 이후 거푸집 제작시 모두 재이용이 가능하므로 거푸집 제작비 절감이나 재활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조임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조임수단은 수직지지대(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공(510)과, 상기 끼움공(510)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끼움공(510)의 내측 전면으로 수직의 지지면(221)을 형성시키는 지지부재(520)와, 상기 지지부재(520)를 통과하여 밀착부재(140)의 전면에 체결되는 관통핀(530)과, 상기 관통핀(530)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며 회동상태에 따라 지지부재(520)와의 밀착력을 달리하는 조임부재(5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공(510)의 내측에 고정된 지지부재(520)는 강도적으로 우수한 스틸 플레이트가 적당하며 용접을 통해 수직지지대(130)에 미리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520)의 중앙에는 관통핀(5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5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홀(522)은 관통핀(53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관통핀(530)이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140)의 전면에는 상기 관통핀(530)을 체결시키기 위한 볼트(141)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핀(530)의 단부에는 상기 볼트(141)에 대응되는 나사공(5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핀(530)은 지지부재(520)에 의해 끼움공(510) 내부에서 볼트(141)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밀착부재(140)의 중앙에는 돌부(550)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531)이 형성된 관통핀(530)의 단부에는 상기 돌부(550)와 대응되는 홈부(5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볼트(541)는 돌부(550)를 관통하여 밀착부재(140)의 전면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핀(530)은 홈부(532)에 돌부(550)가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141)와 체결되므로, 예컨대 타설된 콘크리트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진동기(미도시)를 동작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볼트(141)와의 양호한 체결력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조임부재(540)는 상기 관통핀(530)의 단부에 힌지결합된 힌지부(541)와, 상기 지지부재(520)를 향해 상기 힌지부(541)로부터 연장형성된 편심접촉부(542)와, 상기 끼움공(510)을 향해 상기 힌지부(541)로부터 연장형성된 손잡이부(543)로 구성된다. 상기 편심접촉부(542)는 힌지부(541)를 중심으로 곡률이 갈수록 커지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조임부재(540)는 지지부재(520)에 대하여 균일하고 안정된 밀착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관통핀(530)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조임부재(540)는 힌지핀(544)을 통해 서로 연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관통핀(530)의 홈부(532)를 밀착부재(140)의 돌부(55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밀착부재(140)의 볼트(141)를 관통핀(530)의 나사공(531)에 체결시키고, 손잡이부(543)를 이용하여 힌지핀(544)를 중심으로 편심접촉부(542)가 지지부재(520)에 밀착되도록 힌지부(541)를 회전시키면(도면상 아래방향),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130)와 밀착부재(140)가 거푸집 패널(560)의 양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거푸집 패널(560)들이 견고하게 연결된다.

한편,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 패널(56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거푸집 패널(560)은 패널 본체(561)와, 상기 패널 본체(561)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562)과, 상기 통공(562)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패널 본체(56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패널 본체(561)와 일체성형된 보호커버(56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거푸집 패널(560)의 외측면 전체가 일체성형을 통해 제작된 합성수지나 스틸로 이루어진 보호커버(563)에 의해 보호되므로 강도적으로 우수하여 패널 본체(561)의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제작이 용이하며 철거된 이후에도 재활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거푸집 패널(560)의 양단에는 밀착부재(140)와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안착홈(564)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실링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거푸집 패널(560)에는 수직지지대(130)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돌기(565)가 더 형성됨과 함께 상기 수직지지대(130)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565)에 대응되는 제1요홈(5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지지대(130)와 거푸집 패널(560) 사이에 실링력이 강화되므로 이 부분을 통해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설가능성이 매우 적어진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패널(56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거푸집 패널(560)는 밀착부재(140)와의 결합을 위한 제2요홈(580)을 더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밀착부재(140)에는 상기 제2요홈(580)에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59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거푸집 패널(560)에 제2결합돌기(590)가 형성되고 밀착부재(140)에 이에 대응되는 제2요홈(580)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거푸집 패널(560)과 밀착부재(140)와의 실링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 패널(560)이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밀착부재(140)와 결합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미설명부호(142)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거푸집 패널(560)의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거푸집 패널(560)과 밀착부재(140)의 사이를 긴밀하게 유지시켜 주는 실링부재이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110)의 하부에 거치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부(620)와, 상기 레일부(620)에 끼워진 상태로 시공 바닥면에 고정되며 자체적으로 신장되면서 거치대(110)를 부분적으로 승강시키는 높낮이조절부재(630)와, 상기 높낮이조절부재(630)를 통해 거치대(110)가 시공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상기 이격공간을 커버해 주는 보조패널(6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거치대(110)는 거푸집 패널(1)측에 위치되는 수직부(611)와, 거푸집 패널(1)의 바깥쪽을 향해 수직부(61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연장된 수평부(612)로 이루어진 기역자 형상의 채널로서, 상기 수평부(612)의 상단 양측에는 거치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벽면(613)이 형성된다. 상기 거푸집 패널(1)과 수직지주관(30)들은 상기 거치대(110)의 벽면(613)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세워진다.

상기 거치대(11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부(620)는 일측(621)이 거치대(110)의 수평부(612)의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후 수직부(611)측으로 수평절곡되고, 타측(622)이 상기 수평절곡부위와 동일 높이의 수직부(611)로부터 수평부(612)의 단부를 향해 수평으로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부(620)의 일측은 상기 레일부(620)로 끼워지는 높낮이조절부재(630)의 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부구간이 절취된 절취부(614)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레일부(620)에는 높낮이조절부재(630)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높낮이조절부재(630)는 시공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못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바닥에 고정되는 바닥고정부(631)와, 상기 바닥고정부(631)에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나사부(632)와, 상기 수직나사부(632)에 체결되어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승강량이 조절되는 승강부재(633)와, 상기 승강부재(633)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거치대(110)의 레일부(620)에 끼워져 승강부재(633)와 함께 동반승강하는 끼움부재(63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633)와 끼움부재(634)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승강부재(633)의 상부에는 단턱(635a)을 가진 홈부(635)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634)의 하부에는 상기 홈부(635)의 단턱(635a)에 걸리는 걸림편(636)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633)가 나사산을 따라 승강회전할 때, 끼움부재(634)가 승강부재(633)를 따라 회전하지 않고 레일부(620) 내부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110)가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거치대(110)는 레일부(620)에 끼워지는 연결부재(660)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660)는 상기 거치대(110)의 레일부(620)에 끼워지는 수평끼움부(661)와, 거치대(110)의 수직부(611)에 밀착되는 수직밀착부(662)를 갖는다.

상기 수평끼움부(661)는 레일부의 일측(621)의 수평절곡부면에 지지되도록 단부가 하방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수직밀착부(662)는 레일부(620)의 타측(622)에 끼워지도록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660)는 인접한 거치대(110)의 후단과 전단에 수평끼움부(661)의 양단이 각각 끼워져 인접한 거치대(110)를 상호연결시킨다. 따라서, 거치대(110)와 거치대(11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경우, 상기 수직밀착부(662)가 틈새를 막아주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틈새를 통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한편,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10)의 수직부(611)에는 보조패널(640)이 연결된다. 상기 보조패널(640)은 상기 높낮이조절부재(630)를 통해 거치대(110)가 시공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상기 이격공간을 커버해 준다. 따라서, 보조패널(640)은 상기 거치대(110)가 보조패널(640)과는 별개로 승강되도록 연결되며, 연결된 상태에서는 항상 패널 하부가 시공바닥에 지지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패널(640)의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롯홀(641)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110)의 수직부(611)에는 상기 슬롯홀(641)을 통해 보조패널(640)을 연결하는 연결핀(650)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거푸집(100)을 통해 거푸집(100)의 수평상태가 조절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0)의 경사진 지면상에 설치되어 거치대(1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작업자는 거치대(110)가 수평이 될 때까지 낮은 쪽에 있는 높낮이조절부재(630)의 승강부재(633)를 일방향(승강부재(633)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0)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승강부재(63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부재(633)가 수직나사부(632)를 따라 승강하게 되는데, 승강부재(633)와 연결된 끼움부재(634)가 승강부재(633)와 함께 상승하면서 거치대(110)를 부분적으로 밀어 올리는 것이다. 이때, 끼움부재(634)는 승강부재(633)를 따라 회전하지는 않으므로 승강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레일부(620)와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높낮이조절부재(630)의 조작에 따라 거치대(110)가 상승되면, 보조패널(640)의 슬롯홀(641)을 따라 거치대(110)와 시공바닥면 사이는 이격되나, 거치대(110)의 상승과는 별개로 보조패널(640)은 항상 시공바닥면에 하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거푸집(100) 시공이후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거치대(110)의 하부와 시공바닥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이후, 거푸집(100)을 해체시킬 때에는 높낮이조절부재(630)의 바닥고정부(631)에 고정된 못과 같은 고정부재를 제거한 다음 승강부재(633)를 타측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승강부재(633)가 수직나사부(632)로 체결이 진행되면서 바닥고정부(631)가 시공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는 높낮이조절부재(630)를 거치대(110)의 레일부(62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높낮이조절부재(630)가 레일부(620)로부터 분리되면, 작업자는 거치대(110)를 바깥쪽으로 잡아당겨 거치대(11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