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ELEVATOR DO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09/134045
Kind Code:
A2
Abstract:
An elevator door device includes a hanger case installed above an elevator doorway and equipped with a hanger rail arranged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a hanger plate connected with a roller rolling along the hanger rail and which moves sideways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in correspondence to the rolling of the roller along the hanger rail, and an elevator door coupled to the hanger plate and which opens/closes the elevator doorway in accordance wit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Here, the hanger plate has a first embossed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rojected in a forward direction or recessed in a rearward direction. The first embossed portion is formed to pass the line extended in the widthwise direction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a center of the roller. Accordingly, the elevator do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merits in that the partial or full strength of the hanger plate is increased to a desired level without changing the material of the hanger plate o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hanger plate, thus preventing the breakdown of the elevator door caused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hanger plate even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Inventors:
HWANG WOO SUNG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2201
Publication Date:
November 05, 2009
Filing Date:
April 28, 2009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MITSUBISHI ELEVATOR KOREA CO L (KR)
MITSUBISHI ELECTRIC CORP (JP)
HWANG WOO SUNG (KR)
International Classes:
B66B13/02
Foreign References:
KR20040003540A2004-01-13
JP2001227233A2001-08-24
US5881844A1999-03-16
Other References: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 2269934A4
Attorney, Agent or Firm:
BAE, KIM & LEE IP GROUP (KR)
특허법인 태평양 (KR)
Download PDF:
Claims: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는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엠보싱부는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는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2 엠보싱부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엠보싱부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엠보싱부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와 상기 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좌우 1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에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행거 케이스와, 상기 행거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를 통해 연결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되,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제6항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통과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엠보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제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폭 방향 양단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행거 플레이트의 강성을 증대시켜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과 관련된 안전 기준이 미흡한 실정이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EN(유럽표준) 기준의 경우 30㎏의 하중을 정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하여 도어의 변형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실제 충돌 상황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성을 충분히 담보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 개최된 승강기안전분야 국제표준화회의(ISO/TC178)에서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강도와 시험방법"과 관련하여 실제 충돌 상황과 가장 유사하게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에너지를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하는 방법을 병행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가 그 안정성을 확인 받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450[J]의 에너지(2명의 중학생(120㎏)이 시속 약 10㎞로 돌진하여 부딪히는 경우의 에너지)가 가해지더라도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경우 상기와 같은 에너지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면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가 쉽게 이탈된다는 문제가 있다.

도 9는 일정한 힘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질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의 휘어짐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도어(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등이 설치되는 행거 케이스(10)가 구비된다. 상기 행거 케이스(10)에는 구동 장치 외에도 엘리베이터 도어(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행거 레일(12)이 구비된다. 상기 행거 레일(12) 상에는 행거 레일(12)을 따라 전동(轉動)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롤러(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롤러(22)는 엘리베이터 도어(30)와 결합되는 행거 플레이트(2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엘리베이터 도어(30)는 행거 플레이트(20)에 의해 행거 케이스(10)의 행거 레일(12)과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30)의 상부는 행거 플레이트(20)를 매개로 행거 케이스(10)에 의해 지지되고, 엘리베이터 도어(30)의 하부는 도어 슈(door shoe)(32)를 매개로 가이드 레일(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30)는 안정적으로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행거 플레이트(20)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의 금속 플레이트를 단순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그 강성이 매우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30)에 일정한 힘(F)이 수직하게 작용하면 행거 플레이트(20)의 일정 부분에 휘어짐이 발생하여(도 9의 A 및 B 참조) 엘리베이터 도어(30)가 가이드 레일(4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 발생을 억제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롤러가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는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엠보싱부는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1 엠보싱부가 형성된 행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수직 방향의 힘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것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즉, 행거 플레이트에 제1 엠보싱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행거 플레이트가 상기와 같이 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에 수직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가 상방으로 휘어지지 않아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탈 방지는 제1 엠보싱부가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술하면, 행거 플레이트에 힘이 가해질 경우 행거 플레이트가 롤러와 연결되는 지점 즉,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제일 먼저 휘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에는 제1 엠보싱부가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행거 플레이트의 강도적 취약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엠보싱부는 행거 플레이트와 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좌우 1쌍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도어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보다 좌우로 이격된 지점에서 엘리베이터 도어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2 엠보싱부로 인해 행거 플레이트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에는 상기와 같은 행거 플레이트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2 엠보싱부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엠보싱부는 행거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행거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연결부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롤러가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에는 행거 플레이트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며, 상기 절곡부는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행거 케이스와, 행거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를 통해 연결하며,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되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엠보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1 내지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된 행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행거 플레이트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 도어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플레이트 소재의 재질을 변경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강성 증가를 위해 별도의 플레이트를 용접 등의 공정으로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으면서도, 손쉽고 저렴하게 행거 플레이트의 일부나 전체의 강성을 목적하는 수준에 맞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는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일정한 힘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질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의 휘어짐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행거 케이스 112 : 행거 레일

120 : 행거 플레이트 122 : 롤러

124 : 제1 엠보싱부 125 : 제2 엠보싱부

126 : 제3 엠보싱부 128 : 베이스 플레이트

129 : 연결 플레이트 130 : 엘리베이터 도어

150 : 엘리베이터 출입구 224 : 절곡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케이스(110), 행거 플레이트(120) 및 엘리베이터 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승장측 또는 엘리베이터 칸측 출입구(이하에서는 둘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로 기재한다)의 상부에는 행거 케이스(110)가 설치된다. 상기 행거 케이스(110)에는 엘리베이터 승장측 또는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이하에서는 둘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도어'로 기재한다)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160)와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폭 방향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행거 레일(112)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 장치(160)는 일반적으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 상기 구동 장치 본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에 감겨져 상기 구동 풀리의 회전에 의해 주회(周回) 운동하는 무단상(無端狀)의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의 주회 운동에 따라 상기 벨트에 연결된 행거 플레이트(12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행거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5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행거 레일(112)은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행거 플레이트(120)에 연결된 롤러(122)의 이동을 안내하고, 엘리베이터 도어(130)가 결합된 행거 플레이트(120)를 롤러(122)를 매개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행거 레일은 행거 케이스와 별도로 제작되어 행거 케이스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행거 케이스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행거 케이스(110)와 일체로 제작된 행거 레일(112)이 예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행거 플레이트(120)는 엘리베이터 도어(130)와 행거 케이스(110)의 행거 레일(112)을 롤러(122)를 매개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구동 장치(160)에 의한 구동력을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구동 장치 본체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은 주회 운동하는 벨트에 의해 행거 플레이트(120)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상기 행거 플레이트(1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5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좌우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정해진 경로 상에서 행거 플레이트(12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행거 레일(112)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12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22)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 상부에 2개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상부는 행거 플레이트(120)를 매개로 행거 케이스(110)에 의해 지지되고,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하부는 도어 슈(door shoe)(132)를 매개로 가이드 레일(1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안정적으로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124)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엠보싱부(124)는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L)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세로 방향'이라 함은 행거 플레이트(120)의 길이 방향 즉, 도 3의 행거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을 의미하며, '가로 방향' 또는 '폭 방향'이라 함은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즉, 도 3의 행거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을 의미하다.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도어(130)의 상단에 결합된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그 하단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부는 롤러(122)의 중심에 구비된 연결축(123)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힘이 작용할 경우 통상 상기 연결축(123) 부근에서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객의 부주의 또는 사고 등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 통상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부 양측에 연결된 롤러(12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L)을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제1 엠보싱부(1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휘어짐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즉, 행거 플레이트(120)에서 가장 휘어지기 쉬운 부분 즉, 롤러(122)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L)을 통과하도록 제1 엠보싱부(124)가 형성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플레이트(120)가 상기와 같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이탈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엠보싱부(124)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일부를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 방법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124)가 예시되고 있다.

한편,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은 통상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제1 엠보싱부(124)가 폭 방향 중심 부근에 형성될 때보다 행거 플레이트(120)의 양단 부근에 형성될 때가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 방지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행거 플레이트(120)의 양단 부근에서 연결되는 롤러(122)의 연결축(123)을 중심으로 제1 엠보싱부(124)가 좌우 1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행거 플레이트(120)의 변형은 상기와 같이 행거 플레이트(120)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경우가 문제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보다 좌우로 이격된 지점에서 도어(13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와 같은 휘어짐 외에도 행거 플레이트(120)의 비틀림이 문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제2 엠보싱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엠보싱부(125)도 제1 엠보싱부(124)와 마찬가지로 행거 플레이트(120)의 일부를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 방법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2 엠보싱부(125)가 예시되고 있다.

한편,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은 롤러(122)의 연결축(123) 등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행거 플레이트(120)에 힘이 가해질 경우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C) 부근에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제2 엠보싱부(125)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C)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행거 플레이트(120)의 비틀림은 통상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하 방향 양단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제2 엠보싱부(125)가 상하 방향 중심 부근에 형성될 때보다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하 방향 양단 부근에 형성될 때가 행거 플레이트(120)의 비틀림 방지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제 2 엠보싱부(125)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하 방향의 양단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행거 플레이트(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제1 및 제2 엠보싱부(124, 125)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8)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8)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129)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12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28)와 연결 플레이트(129)의 연결부는 휘어짐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취약함을 보완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제3 엠보싱부(12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엠보싱부(126)는 베이스 플레이트(128)와 연결 플레이트(129)를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는 상기와 같은 제3 엠보싱부(126)로 인해 상기 연결부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1 내지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된 행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플레이트 소재의 재질을 변경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강성 증가를 위해 별도의 플레이트를 용접 등의 공정으로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으면서도, 손쉽고 저렴하게 행거 플레이트의 일부나 전체의 강성을 목적하는 수준에 맞게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8는 도 6의 측면도이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케이스(110), 행거 플레이트(220) 및 엘리베이터 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와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주된 차이점은 행거 플레이트의 구성에 있으므로,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220)는 행거 플레이트(220)의 폭 방향 양단에 절곡부(2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부(224)는 행거 플레이트(220)의 폭 방향 양단에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22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224)는 롤러(122)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L)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 행거 플레이트(220)의 상부 양측에 연결된 롤러(12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L)을 따라 행거 플레이트의 휘어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224)는 제1 실시예의 제1 엠보싱부(124)와 마찬가지로 행거 플레이트(220)에서 가장 휘어지기 쉬운 부분 즉, 롤러(122)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L)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행거 플레이트(22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형성된 절곡부(224)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224)의 두께나 길이 등은 그 두께 등이 증가할수록 변형 방지에 유용하나 여유 공간이나 비용 증가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행거 플레이트의 강성을 증대시켜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